•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styles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플립러닝 교수법을 통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선호교수법 변화의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Teaching Style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rough Flipped Learning Methods)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40-4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anging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teaching styles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o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study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applic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class, which is one of the specialized liberal arts subjects operated for student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For the survey study, a tool adapted to the domestic conditions of Kolb's learning style test tool and Felder & Silverman's preferred teaching style test tool was used. In addition,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the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teaching style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for one semester, the learning style showed a tendency to change from an accommodative to a divergent learn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ferred teaching styl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organization and the area of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was presented.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Second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in Relation to Their Science Teachers' Teaching Styles in Korea)

  • 김영신;서유선;임수민;이효녕;윤회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7-37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o recognize students' science anxiety about science teachers' different teaching styles. One hundred seventy-four science teachers and 2,122 students participated. The teaching style questionnaire and the 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SAMS) with teaching style were administered to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Teaching sty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science anxiety related to each teaching style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student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teaching styles: expert, provider, facilitator and enabler. Most teachers fell under the expert style category and the least under enabler style. This indicated that numerous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employ a teacher-directed style rather than a student-centered style in class. Second, students felt the highest science anxiety with experts and the lowest science anxiety with enablers. The students' science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different teaching styles (p<.05). Even though female students felt higher science anxiety than male students towards all four teaching styl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by teaching style than high school studen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eachers to reduce students' science anxiety in classes based on results.

초등교사의 과학과 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eaching Styles for Science Class)

  • 정재훈;김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styles for science class.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teaching style test and the science anxiety test. The teaching style test was taken in 29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science anxiety test was taken in 1,5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for science class were most in provider, expert and least in enabler.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for science class were highest in facilitator and lowest in Enabler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he teaching styles in elementary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increased as grade goes up.

중학생의 학습양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 탐색 (Exploration of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teaching styles)

  • 최규리;최경희;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5
    • /
    • 2009
  • 학생들의 능력이나 적성 등을 고려하여 교육 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습 시에 나타나는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이 그들의 교수양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는 20명의 경력 교사들과의 개별면담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학습양식에 대한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네 가지 유형을 보였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는 교수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둘째,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양식을 채우거나 보충할 수 있는 형태의 교수 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셋째, 다양한 교수양식을 제공 하는 유형, 넷째, 교사의 신념에 따른 자신 있는 교수 양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유형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양식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춘 교수양식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hinking Styles and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of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o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 김정겸;이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05-1915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이기 위한 내적변인임을 밝혀 유아교사에게 맞는 적절한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 충남.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346명의 유아교사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의 관계에서는 사고양식의 사법적, 군주제, 전체적, 내부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전문의식에는 사법적, 내부적 사고양식과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교육애에는 입법적, 내부적, 보수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열정에는 입법적, 군주제, 무정부제,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가 특정 사고양식을 발휘하고 인성개발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Style and Teaching Experiences of Professors in Higher Institutions

  • LEE, Jeong G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2호
    • /
    • pp.113-13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eaching styles of professors who teach adult students in selected higher institutions. It also identified whether professors' teaching styles were teacher-centered or learner-centered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teaching styles and such instructor demographic variables as gende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aught level of courses. This study used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Scale(PALS) (Conti,1983) to measure instructional preferenc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through a personal data inventory.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data were examined for significance at the .05 level of confidence by means of analysis of variance.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teaching styles of full-time professor, as represented by the seven subscores from the standardized instrument on the PALS. The seven subscores were: (1) learner-centered activities, (2) personalizing instruction, (3) relating to experience, (4) assessing student needs, (5) climate building, (6)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and (7) flexibility for personal development. The study establish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s on the PALS between participants when examined by the number of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Behavior Style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 Classes)

  • 조진호;최영선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29-143
    • /
    • 2018
  • 본 연구는 수산 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들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연구문제인 상관분석 결과 교사의 교수행동유형과 학생의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는 모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의 수업 중 목표 달성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 개별 성향을 파악한 후 학생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수기법을 사용하여 교사의 명확한 진행을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회귀분석 결과 수산 해운계고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은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 교수행동유형은 내용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방법만족에 대해서는 상호작용 교수행동유형, 다양성 교수행동유형, 개별화 교수행동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평가만족에 대해서는 명확성 교수행동유형, 다양성 교수행동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 교사는 내용적 수업만족은 학생별 교과 내용의 이해차이를 고려한 교수방법의 적용하고, 방법적 수업만족의 경우 상호작용, 개별화, 다양성 교수유형을 고려하며, 명확한 정보 전달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수유형을 적용한다면 학생의 평가적 수업만족을 높인다고 밝혔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차이 및 교사 특성별 사고양식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of student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nd thinking styles of teachers by characteristics)

  • 윤소정;윤경미;유순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19-4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영재학교와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특성에 따라 사고양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영재 고등학생 191명과 일반 고등학생 245명, 교사 73명이 참가하여 사고양식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은 차이가 있었다.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입법적, 행정적, 사법적, 전체적, 계급주의적, 내부지향적 사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학교 교사와 일반학교의 교사의 사고 양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 근무연한에 따라 교사의 사고양식에 차이를 보였다. 교직 경력이 오래될수록 보다 행정적, 지엽적, 보수적 사고양식을 보였다. 넷째, 교사의 성별, 가르치는 과목에 따른 교사의 사고양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재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서 또한 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선발에 있어서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해 학생과 교사의 사고양식을 고려하는 것이 요청된다.

수학적 사고 요소를 이용한 수학 교수 양식 분석틀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about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eaching styles)

  • 박지현;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243-262
    • /
    • 2013
  • 본 연구는 인지적 측면에서 수학 교사의 교수 양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에서 서로 대비되는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인지적 사고 요소들을 탐색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 요소들을 시각적 양식과 분석적 양식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양식과 두 가지 양식이 대등하게 나타나는 혼합적 양식을 수학 교수 양식으로 설정하고, 교사들의 양식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학 교수 양식 분석틀을 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Amidon & Flanders, 1967)에 적용하여 교사들의 수학 수업을 통해서 교수 양식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수학 수업에서 교사들이 사용하는 수학적 언어를 분석한 결과, 실제로 시각적 양식, 분석적 양식, 혼합적 양식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보육교사의 어린시절 학대경험, 훈육방식 및 사회적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discipline styles, social support on childcare efficacy)

  • 노명숙;신리행;박소영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9-11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discipline styles and social support on childcare efficac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 For this study's purpose, 2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ren's schools in J city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child abuse experience, discipline styles, social support and childcare efficac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study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sub-domain of occupational position and marriage status. Second, childcare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discipline styles and childcare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buse experience. Third, general teaching efficacy regarding childcare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 influence of physical abuse, which is a sub-variabl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The general efficacy of teach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ogical discipline and coercive discipline, which are sub-variables of discipline methods.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in terms of childcare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family variable which is a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within childcare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logical discipline, a sub-variable of physical abuse, and disciple styles, a sub-variabl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Conclusion: From these findings, childcare teachers' childhood abuse experience was a factor affecting childcare efficacy in discipline, social support, and sub-variab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edy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encourage appropriate discipline styles, and to encourage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care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