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s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교사의 환경관련 수업에 대한 교사전문성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eaching Environmental Subjects)

  • 손연아;김경란;민병미;최돈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74-18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raw out factors which elementary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study, bot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applied: First, randomly selected 483 elementary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self responded to 5 evaluation areas by Hungerford et al. (1994) to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ism through the use of five point Likert scale. Second, 2 elementary teachers' environmental classes were observ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n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shown in the class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483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2 teachers fer analyzing classroom instruction who performed a self-evaluation gave themselves mid-scores on the Hungerford et al.'s 5 evaluation areas. However, the result of self-evaluation did not correspond with the result of actual class observation and teacher interview. That is, the actual environmental classes conducted by 2 teachers did not seemed to reflect the evaluation areas which were the foundation of the study: the conceptual awareness, the investigation & evaluation,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reference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rogram and in-service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 PDF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on the Adjustment of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세루;박지영;조홍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37-157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초등학교 일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25명과 담당하고 있는 초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과 학교적응은 하위요인 모두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은 내용지식 및 내용교수법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직무스트레스는 초등학교 일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경력교사 대상 요구조사를 통한 성찰적 교사교육 방안 모색 -수업 전문성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f a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Plan through Survey of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ing on the Area of Teaching Professionalism)

  • 이선영
    • 한국어교육
    • /
    • 제29권1호
    • /
    • pp.109-137
    • /
    • 2018
  • The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i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bove the current level. The type of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experienced teachers is broadly divided into top-down education and bottom-up education. So far, studies on top-down education were commo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emphasizing the need for bottom-up education, driven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for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71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The contents of the survey consisted of opinions regarding existing teacher education, the need for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existing teacher re-education experience. Also, 91%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intend to participate in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particular, respondents showed high demands for 'peer coaching', 'peer observation', and 'teaching portfolios' among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Lastly, many respondents selecte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encouraging learner's utterances', and 'leading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as sub-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at they wish to improve through teacher re-education.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Explor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박경희;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77-98
    • /
    • 2007
  • 교사 전문성의 수준은 곧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영재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곧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 모색의 기반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지식기반, 능력기반, 상황기반 전문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교급별 및 교과별 교사 인식의 차이를 다변량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교사들이 초등 교사에 비해 전공 교과 전문지식 획득과 첨단지식 및 정보 습득 측면에서 또한, 과학 교사들이 수학 교사에 비해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영재교육 평가방법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ll a U.S. Earned Ph.D. Help a Teacher Educator Apply Theory to Practice in Korea?: A Case Study

  • Lee, Yoo-Jean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3호
    • /
    • pp.199-222
    • /
    • 2009
  • As great attention is given to a high quality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more and more in-service an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re looking for an opportunity to study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to become better qualified teachers. However, after receiving a degree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many teachers fail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ir own teaching due to their tensions of identity, beliefs,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within the changes of sociocultural settings. By using sociocultural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explores how formal training and Ph.D. studies in the U.S. have influenced a Korean teacher educator in applying theory to practice in relation to her identity, beliefs,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during 30 years of her teaching experience. Rather than facing tensions, the teacher educator has been willing to change her roles, broaden and deepen her beliefs in teaching and knowledge about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ontinue her professional developmen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provided.

  • PDF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Awareness Level and Sensitivit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With a Focus on 3~5 year old Homeroom Teacher's)

  • 장윤정;황윤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203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유아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 민감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 민감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 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전문성 인식이 높은 수준의 교사는 낮은 수준의 교사에 비해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민감성이 높은 수준의 교사는 낮은 수준의 교사에 비해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과 민감성의 수준 향상은 교사의 전문적인 역할수행능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on for Teaching)

  • 좌승화;이해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93-201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인 교직에 대한 열정은 긍정심리자본과 교사전문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교직열정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고정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5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27-53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 교과교육학지식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부족한 부분, 즉 교직이 완전한 전문직으로 거듭나기 위해 보완해야할 부분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지원 방안을 고찰하였다. 동료교사들로부터 추천을 받은 6명의 교사들은 과학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과학 내용 지식,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에 대한 지식, 전문성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 등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사의 고유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교과교육학지식, 즉 사회의 일반 구성원들이 교사가 소유하고 있기를 기대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을 학생 이해 자체를 목적으로 한 교사의 체화된 지식이며, 과학교사들이 나름대로 지니고 있는 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알아듣게 가르칠 것인가들 오랫동안 고민한 결과 축적된 노하우라고 설명하였다. 과학교사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문제점이나 부족한 부분으로 책임을 묻지 않는 시스템, 지속적인 자기 개발에 대한 외부의 인정과 요구 결여, 동료의식의 부족, 자신감 부족에서 비롯된 폐쇄성, 업무량 과다. 관리자의 경영 능력이나 목표 의식 부재, 교사 자격시험의 신뢰도와 타당도 부족, 교직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처우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