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question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8초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간의 인식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for enhancement of Effective Children-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s Teaching Capacity through Recognition Comparison between Nursery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지영;한상길;서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85-1794
    • /
    • 2015
  •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한 영유아교사 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지역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14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고, 차이검증을 위해 ${\chi}^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에 대해 영유아 교사 모두 경청과 놀이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아교사는 스킨십과 칭찬을 강조한 데 비해 유아교사는 발문과 칭찬을 통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수방법도 영아교사는 놀이를 비중 있게 여겼으나 유아교사는 설명, 협동의 중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도 영아교사는 자기평가를 우선시하였고 유아교사는 관찰일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해 영아교사는 관찰기록을 흥미나 욕구 파악, 발달 분석에 활용해야 하고, 체계적인 수업 계획 및 평가를 중심으로 교수법이 개선되어야 하며 수업자료 구입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이에 비해 유아교사는 교수 계획, 발달 분석에 활용해야 하고 진학이나 교육관련 모임 참여를 통해 교수법이 개선되어야 하며 장학평가 등을 통한 포상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 과학 교사가 보유한 과학 교사에 대한 이미지 (The Image of Science Teachers suggest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송하영;김영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33-46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보유한 선호 기피하는 과학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구시 소재 경북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중 고등학교에서 경험한 가장 기억에 남는 선호 기피하는 과학 교사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업 상황, 과학 교사의 이미지의 2가지 영역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각각은 다시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졌다. 먼저, 과학 수업 상황에서 선호하는 수업 형태는 실험, 관찰, 체험, 관측이었으며 기피하는 것은 문답법이었다. 수업자료로는 프린트, 학습지, 보고서 등의 인쇄 매체를 선호하며 판서자료(칠판)를 기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교과지도 방법으로는 이론, 개념 중심으로 지도하는 것을 선호하며 일방적인 암기나 문제 풀이는 기피하였다. 교과 내용 설명방식으로는 상세하게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설명 부족, 학생을 이해시키지 못하는 방식을 기피하였다. 또한 화기애애,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는 수업 분위기가 되기를 바라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많았고 딱딱, 지루, 조용한 학습 분위기를 기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과학 교사의 이미지에서는 교사의 자질로 인격과 의견을 존중할 줄 아는 자상하고 배려심 깊은 선생님을 선호하고 있었고 반대로 학생에게 신경 쓰지 않고 학생을 인격적으로 무시하는 선생님을 가장 싫어하였다. 교사의 특성 면에서는 맑고 씩씩한 목소리와 밝은 표정, 온화한 표정을 선호하고 튀는 외모와 딱딱한 스타일을 싫어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실증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선호하거나 기피하는 교사의 이미지는 교육 행정가, 학생, 학부모, 교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산파법 적용 수학 수업 실행 (Future Mathematics Teacher's Carrying Out a Mathematics Class Using a Socrates' Method)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89-1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교육현장에서 '산파법의 이해와 적용'을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예비수학교사들로 하여금 산파법에 의한 가상수학수업을 설계, 실행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3학년 44명의 학생들이 정규 강좌시간을 활용하여 조별프로젝트 활동으로 산파법 적용 수업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차에 걸쳐 실행된 수업활동결과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예비 수학교사의 산파법 적용 수학수업 실행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의 수업구성실행이 예비수학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과학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의문 유형과 초등교사들의 설명 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lanations and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s on Scientific Phenomena)

  • 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49-160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lanations and the patterns of students' questions types on scientific phenomena.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collected questions related to scientific phenomena from 255 $3rd{\sim}6th$ students in 2 elementary schools. Classifying the students' questions collected, 20 representative questions for each type were selected. Data regarding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from 62 teachers of 3 elementary schools we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for each science field show that the students in the 3rd, 4th, and 5th grades have the most questions regarding biology, and those in the 6th grade have more questions regarding earth science. Regarding question types, object exploration questions and explican exploration questions formed the majority. Moreover,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conjectural question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usal question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explanation, the following explanation types could be discerned; conjecture, hypothesis, prediction, teleological explanation, information given to feed exploration questions, as well as verification and information supply fer verification purposes. There were 4 kinds of relationships between question types and explanation types. One was the explanation fitting to each question type, a second was the explanation with additional content than the question required, a third was where the explanation was inappropriate to the question, and a forth was where the teacher responded that they "don't know."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questioning as a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explanation, will help to promote discussion regarding scie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 PDF

담화 맥락을 고려한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반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on of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 김성훈;전유선;강훈식;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59-471
    • /
    • 2022
  • 이 연구는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워크숍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4학년 예비과학교사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과학교사들은 워크숍에 참여하였고 이들이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담화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과학교사가 자신의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발문 유형을 적극적으로 고려', '학생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 부족', '학생의 응답 여부를 중요한 반성 요소로 고려', '발문 빈도를 바탕으로 한 발문 평가', '단일한 발문에 초점을 둔 반성', '다양한 PCK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 부족'의 6가지 주요 특징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 맥락을 고려한 교사의 발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교사의 인식 및 실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Elem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eachers' Cognition, and an Experiment Case)

  • 한유화;전은선;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9-35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실험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험 수업의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교사 인식,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탐구 요소가 과학 실험 수업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2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의 2차시 수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제시, 증거수집, 현상설명 및 기존 과학지식의 연결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었으나, 의사소통 및 정당화 요소는 많지 않았다. 또한 제시된 수준은 주로 교사 주도적이었다. 교사들은 의사소통 및 정당화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실제 실험 수업에 이를 반영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실험 수업에서 학생들은 시간의 대부분을 증거수집에 할애하였으며, 실험 결과인 증거를 기반으로 현상을 설명하거나 기존 지식과 연결하는 활동, 그리고 의사소통 및 정당화의 활동은 거의 하지 못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Analyz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based on Gender Roles Identity)

  • 윤정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1-20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roles and creativity.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17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niversities around the Busan area. The researchers have collected statistical data by questioning pre-service teachers about creative thinking tests, creative personality tests, and gender role identification awareness tests. The data was interpreted by the Pae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the one-way ANOVA method, and the $Sch\acute{e}ffe$ Post-hoc comparison metho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group perceived of high androgyny typ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in important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such as fluency, elaborateness, ness, and openness. This result meant that the more a pre-service teacher was aware of the identity of gender roles, the more she or he thought creatively. Additionally, the acceptance of authority, an element of the creative personality factor,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 high feminity type group. On the other hand, self 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disciplined imagin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 group which perceived the identity of androgyny type roles.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을 적용한 보건교육 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 김은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1-177
    • /
    • 2004
  • Recently,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attempted to implement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approaching multiple intelligences, teachers have applied the same structural approach which has been so successful with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easy to learn and implement, fun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produce profoundly positive outcomes along a remarkable number of dimensions. Different structures are designed for different outcomes, including enhanced mastery of subject matter, improved thinking skills, team building, class building, development of social character and 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lassroom management, classroom discipline, and development of and engagement of each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Cooperative learning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teaching strategy.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enhances student learning by: 1) providing a shared cognitive set of information between students, 2)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the material, 3) ensuring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health knowledge, 4) providing formative feedback, 5) developing social and health group skills necessary for success outside the classroom, and 6) promot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different cultural and socio-economic groups.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s and techniques in health education are following. Flash Card, Focused Listing, Structured Problem-solving, Paired Annotations, Structured Learning Team Group Roles, Send-A-Problem, Value Line, Uncommon Commonalities, Team Expectations, Double Entry Journal, Guided Reciprocal Peer Questioning, What if. Because the purpose of health education is the practice, therefore health specialists have to guide powerful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may improve its effectiveness.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PCK 특징 (Characteristics of Teaching Orientation and PCK of Science Teachers i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41-461
    • /
    • 2023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그에 따른 PCK의 특징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반구조화 면담, 수업관찰 및 현장노트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참여교사의 과학 교육 목표 지향과 과학 교수·학습 지향의 조합으로 범주화하여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과학 개념형성-탐구 수업' '과학 개념 및 탐구 과정 적용-탐구 수업' '과학 개념 및 탐구 과정 적용-강의식 수업' '과학 정보 분석 및 판단-탐구 수업' '과학적 태도 함양-탐구 수업' '과학적 태도 함양-강의식 수업' '과학·기술·사회 상호관계 인식 함양-탐구 수업'의 교수 지향을 추출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 교육 목표 지향과 관계없이 '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는 '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와 다르게 다양한 탐구 활동을 위한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 이해 점검을 위한 질문 전략, 반복 강의 전략 등의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과학 개념 형성-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 형성을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실시간 모둠 활동을 수행하는 전략, 코로나 19 이전 수행하던 대면 모둠 활동을 가상 실험, 학생 개별 실험으로 대체하여 수행하는 전략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이 드러나지 않은 반면, '과학 개념 형성-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탐구 수업 관련된 학생의 학습 어려움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상호작용 읽기전략을 통해서 본 한국 대학생들의 독해과정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English reading process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reciprocal reading strategy)

  • 나경희;이선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209-235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reciprocal teaching procedure for improving Korean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of English 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qualitative features, if any, in students' use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presented in the process of Reciprocal Reading Procedure (RRP).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study, transcripts of the students' dialogue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used different four kinds of read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RRP (questioning, clarifying, predicting, summarizing). The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he readers with limited knowledge of vocabulary had difficulty in moving on to the next level. Additio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practical EFL classroo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