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based Curriculum System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7초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교육훈련과정 설계방안 (A Study on Desig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with Key Competencies)

  • 구자길;이재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109-122
    • /
    • 2007
  • The original element for development in current society is recognized as knowledge, technology and information. It has been developed and improved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through the occupational standards that closely connected system among work,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in every country.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 standards that was standardized the required competency element, performance criteria, range statement, assessment guideline in machinery industry, also developing the educ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competency to be able to apply department of relevant machinery industry in vocational high school. Occupational standards and key competencies were developed by expert in field engineer and verified about contents and level system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i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on SCID model, and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was verified by teacher, professor and student belonging to training organization.

  • PDF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수학 수업 사례 고찰 - 한국내 프랑스 외국인학교를 중심으로 - (A Case of the competencies-based mathematics lessons of one French foreign school)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1-108
    • /
    • 2012
  • 최근 들어 OECD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제시한 이래, 핵심역량은 학교 교육과정의 새로운 비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도 2007년 이래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한국인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선정하여 이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여 왔으며, 2011년에는 기존 연구를 계승하여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및 평가방안, 그리고 교사교육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을 선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뉴질랜드 중학교 네 곳, 한국 내 프랑스 및 영국 외국인학교 각각 한 곳, 한국의 국제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수학 교사 및 학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프랑스만을 대상으로 하여, 프랑스에 관한 학습자의 핵심역량 강조에 따른 프랑스 교육 동향을 소개하고 한국 내 프랑스 외국인중학교 수학교사의 수업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 PDF

학습자의 핵심역량에 기초한 수학교육 실태 탐색 - 뉴질랜드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n the reality of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learner's competencies)

  • 최승현;황혜정;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15-238
    • /
    • 2012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OECD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제시한 일을 계기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한국인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선정하여 이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여 왔다. 특히, 2011년에는 기존 연구를 계승하여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및 평가 방안, 그리고 교사교육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을 선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뉴질랜드 중학교 네 곳, 한국내 프랑스 및 영국 외국인학교 각각 한 곳, 한국의 국제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수학 교사 및 학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본고에서는 뉴질랜드 소재 중학교 4곳과 한국내 프랑스외국인학교를 대상으로 핵심역량기반의 수학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 PDF

Taiwanese Science Curriculum Reform and Earth System Education

  • Chang, Chun-Ye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 /
    • pp.3-10
    • /
    • 2003
  • Curriculum reform has been a significant emphasis for most of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for the past few years. It was the first time for Taiwan to develop a new Science and Life Technology curriculum Standards (SaLTS) for grades 1 through 9 compulsory educations. The SaLTS features integrated science content with the aim at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science and encouraging students to apply science to their everyday life, which is practically well aligned with the philosophical essence and foundations of Earth Systems Education (ESE).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inclusion of ESE into the forthcoming science curricula of Taiwan and worldwide and provides some exemplary ESE-inspi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ules that have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secondary schools of Taiwan. Hopefully, this paper can shed some light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ESE-based science curricula, instructional modules,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PDF

예비교사를 위한 ICT 활용 교육과정 모형 (Model of ICT Utiliz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철현;신수범;유인환;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7-95
    • /
    • 2000
  • 현재까지의 컴퓨터교육은 주로 초 중등 학생의 정보소양 함양에 치중해 왔다. 이에 반해, 학교교육에서 핵심적 변수가 교원임에도 불구하고 교원의 정보통신기술함양 교육에는 소홀한 경향이 짙다. 또한 교원 양성대학에서 예비 교사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려는 노력도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초 중등 컴퓨터교육에서 ICT 활용 교육의 위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에서 교원에게 요구되는 ICT, 교사 업무 영역별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lCT 활용 능력 및 교원양성대학 컴퓨터교육의 방향을 토대로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

필리핀 학교교육의 실태와 특징: 산베다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tuation and Trait of the Philippines School Education)

  • 정용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1-133
    • /
    • 2010
  • Nowaday our school education have been undergone decisive influences by the entrance and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system. To enter universities which belong to top classes in Korean society could be look upon the important success of school education, and it could be equaled to the quality of competent teacher(teacher's professionalism). However, the creativity and knowledge composition ability in the school education will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e coming of 21st century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and globalization society. In this situation, we try to trace about the system and style of foreign school education which is unfamiliar to us, spontaneously we should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which affects to our school education. In this paper, we have reviewed about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Philippines school education(San Beda College Alabang and Rizal Campus). Of course, we tried to observe the practical education activities including a curriculum, teacher, teaching and studying method and student activity. Through this trial, we tried to suggest the effective environment and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our school education. Philippines school education 1) could be achieved educational ideas and goals based on the spirit of school establishment, 2) could be gained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he system of Coordinator and Prefect, 3) could be conducted learner-centered lessons by the learning method of exploration, discussion, task-resolving, 4) was able to created a pleasant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고교학점제 준비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Operation Cas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사례를 통해 가정과 교육공동체에서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한 강원도 지역 H 고등학교의 운영 과정을 5개월간 모니터링 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운영 내용을 파악하였다. H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준비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매력적이고 의미 있는 가정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과 평가를 개선하고,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가정교과 영역의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정과 교사 공동체 및 관련 학회는 지역의 가정교과 연구회를 하나로 연결하는 공고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수업 연구 결과를 확산하는 채널로 삼을 필요가 있다. 가정교과 교원양성기관은 변화하는 교원양성정책에 발맞추어 예비교사가 현장에서 다교과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교육과정을 혁신하고, 현장교사 재교육을 위한 질 높은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초·중등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의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User-centered Design Guidelines on Onlin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at primary/secondary schools)

  • 차현진;황윤자;노은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11-5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해외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에 대한 우수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NCIC와 고교학점제 사이트를 중심으로 74명의 모니터단 설문 조사를 통해 UX/UI 사용성 문제와 요구를 도출하였다. 해외사례 분석과 모니터단 설문 결과를 바탕을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 관련된 과업을 수행하는 온라인지원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함으로써,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시스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개발될 시스템의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How Are the Novice Getting to Be the Expert? : A Preliminary Case Study on Japanese Science Teachers

  • Ogawa, Masakata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82-1102
    • /
    • 2002
  • Most of comparative studi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so far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policy, pre- and in-service training system and curriculum, and certificate system. While such superficial information can be readily obtainable, it does not necessarily enable us to make access to reality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respective countries, because practic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science teachers is deeply embedded into respective socio-cultural environment or climate.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reality in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lternative approaches of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This paper aims at pursuing an alternative way to approach reality of Japanes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 email survey of free description method with 29 in-service science teachers with a variety of years of experience in Ibaraki Prefecture, Japan, revealed that Japanese scien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expertise through very close daily-based communication with their peer science teachers. At least, within their consciousness, neither form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nor pre-service training programs have had much stronger effects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n such non-formal, daily-based, deep, apprenticeship-typed or in some sense, family-typed commun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conduct meaningful comparative studies, we should take much more attention to how to make access to reality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2018년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의미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2018 'Comprehensive Plan for Vitaliz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1-60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2018년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2018년 민주 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에서의 추진과제 중 첫째, 학교 민주시민 교육 강화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가 시민성 함양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교원 전문성 신장 및 교육활동 지원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교원 연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셋째,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습 공간 재구조화 및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 구현을 위해 노후 학교 개축 또는 리모델링을 통해 학생 안전 및 학습권 보장한다. 넷째, 학생 자치 활성화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생의 요구와 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와 참여 체험 중심의 수업과 자치 활동 등을 강화한다. 다섯째, 민주시민 교육 지원 체계 구축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역할과 전문성을 존중하는 상호협력 체제구축 및 지역사회와 교육공동체 간 상호협조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