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librarian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초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인력 문제의 상황과 맥락 (A Contextual Understanding about the Irregular Position School Librarian Problem in Korea)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5-234
    • /
    • 2014
  •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인력 문제에 대해 구조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비정규적 인력이 확대된 배경과 계기를 살펴보고 비정규직 인력의 직무상 주요 문제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비정규직 인력 문제의 표면과 이면의 내용과 구조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여 문제의 성격과 내적 갈등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제안되거나 진행되고 있는 비정규직 인력 문제의 해결 방안에 대해 점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요청되는 기본적인 자세를 제안하였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Analysis of Self Images for Teacher Librarians)

  • 변우열;이병기;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4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여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측정 결과 사서교사는 스스로를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춘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시당하고 비활동적'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중에서는 교육경력이 평가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배 사서교사의 조언자 내지는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선배 사서교사와 후배 사서교사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도서관협회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서교사 배치를 의무화하여 직업적 안정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 간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해서 전문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사서교사 평가제도로서 현행 교원평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System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21-443
    • /
    • 2008
  • 우리나라 사서교사 평가제도로서 현행 교원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교원평가제도는 사서교사의 직무수행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타당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현행 평가기준을 적용하면 사서교사는 낮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 직무수행 성과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이를 통해서 사서교사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in the LIS(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ield of Librar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97
    • /
    • 2013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규명하고, 가치실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국민 대다수가 경험하는 초 중 고 학생을 이용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일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문헌정보학의 지속적 연구분야로서 그리고 양질의 사서직 진출분야로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가치실현을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인력배치에 대한 도서관계의 협력과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성 높은 사서교사의 양성과 더불어 학교도서관 현장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의 이용자 집단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ser Groups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45
    • /
    • 2005
  •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 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 도교육청 관내의 초 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308개 초 중등학교의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독서교육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행사 활성화 방안 (A Study on Event Revitalization for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85-404
    • /
    • 2009
  • 이 논문은 서울, 인천, 경기의 초 중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교육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행사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교육 관련 행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둘째, 독서 및 도서관에 관련된 행사를 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하여 독서교육 관련 행사를 홍보해야 한다. 넷째, 독서교육 관련 행사 추진을 위한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섯째, 독서교육 관련 행사 추진을 위하여 행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여섯째, 사서교사는 사회적 기념일을 통한 독서교육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 PDF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관한 연구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Image of Teacher-Librarian as Profession)

  • 한윤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1-234
    • /
    • 2001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사회문화적 전망을 진단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 25명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그들이 갖고 있는 서서교사에 대한 이미지와 직업으로써의 선호도를 물었다. 또한 학교도서관현장에서 요구하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교과목 교사들이 사서교사의 부재를 통하여 느끼는 부족함이 무엇인지를 조사함으로써 도출하여 보았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았으며, 그들이 갖고 있는 사서교사의 이미지는 정적이고 지루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하는 직업인이고 사서교사를 직업으로 선택하고 싶어하는 경향은 낮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아직 우리나라에서의 사서교사직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은 빈약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 기민진;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1-468
    • /
    • 2009
  • 사서 및 사서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서(사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각종 시험에서 채택되는 교과목에 대한 교육 영역과 교육 내용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국가고시에서 요구되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술한 현장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사서 및 사서교사의 자격기준 및 임용고시와 관련된 국가의 고시 및 령과 시행규칙 등을 검토하고 둘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교과목들의 타당성을 검토하며 셋째, 전술한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도출된 교과목들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도서관 현장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토의를 통하여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은 개별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정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쓰거나 발표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인 '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인 '정보표현하기'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탐구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의 탐색 전략과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 그리고 탐구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등을 지도함으로써 사회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의 탐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을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