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librarian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 사서교사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esent Educational Aspect of Korean Teacher Librarians and Their Supply-demand Problems)

  • 김성준;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1-186
    • /
    • 2008
  •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양성현황과 수요전망을 통해서 사서교사 양성체제와 수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서교사의 교육체제, 양성기관 현황 및 양성인원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양성능력을 전망하고, 사서교사 선발현황과, 한국도서관협회 기준, 학교도서관진흥법의 기준을 적용하여 필요한 사서교사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서교사 수급불균형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미래의 수요에 필요한 적정 인원을 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직과정 승인인원의 재조정과 사범대학의 문헌정보교육과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 PDF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Teachers' Training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0
  •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제도는 사서교사가 양성과정을 통해 충분한 전문성을 습득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성제도의 개선이 불가피하다. 이 연구는 사서교사 양성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교원자격검정령의 기본이수과목을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 기본이수과목의 개선방향을 설정한 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교과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현장상황을 반영하여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제안된 개선안은 현 8개 기본이 수과목에 문헌정보교육론, 정보활용 및 협동수업론, 장서개발론을 추가하여 총 11개 교과목으로 구성되었다.

사서교사의 지위향상을 위한 일연구

  • 이춘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97-132
    • /
    • 1985
  • Many educators and teacher-librarians have emphasized many times on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chool library. But actually the necessity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chool library is not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ones in the educational system. Therefore I tried to find out several ways o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promotion of the teacher-librarian focusing 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chool library. In order to develop the school library, it is necessary that the function of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maximized and transformed to effective syste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methods : 1) Transform the present school library into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2) Connect the running system S.L.M.C. to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3) Emphasis of the reading education. 4) Guidance on the use of library. At last I studied on the definition, the legal status and the education of the teacher-librarian.

  • PDF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의 협력수업 사례 연구 - S고등학교 학생의 학습흥미도 변화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Chinese Language Teacher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a Main Focus on Students' Degree of Interest in Learning at S High School)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65-88
    • /
    • 2014
  • 본 연구는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 협력으로 이루어진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서 PBL에 의한 협력 수업을 운영할 때 바람직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PBL 문제 제시 방법, 차시별 수업 내용, 학생 결과물의 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PBL 수업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교과 흥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PBL에 참여한 후에 학생들의 학습관련 성취욕, 학습 실행력, 흥미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Library Law of Korea and Japan)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51
    • /
    • 2017
  •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제정의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은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 아닌 NGO 활동이 학교도서관법 제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학교도서관법 구성요소 중 공통되는 요소는 목적, 정의, 국가의 책무, 설치, 업무, 인적자원, 협력망, 교육 등이다. 학교도서관 업무는 한국의 경우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와 여러 가지 행사 개최 등 학교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한국의 경우 사서교사, 실기교사, 사서 중에서 아무나 둘 수 있도록 하고 의무규정이 아니라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일본은 사서교사와 학교사서로 구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은 한국은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일본은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은 한국의 경우 독서교육과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일본은 도서관 이용지도 만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사서교사 교유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3-203
    • /
    • 2011
  •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선장방법으로써 교육실습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개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으로 사전교육, 실습프로그램, 지도교사, 실습환경, 실습기관의 조직적 분위기를 선정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모형에서는 사서교사의 주요 전문성 신장경로인 대학교육과정, 교육실습, 현장경험 및 자기계발이 역할인식과 직무수행 역량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습프로그램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선장경로 중 교육실습은 직무수행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은 사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정으로써 실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육실습의 효과적 전개방안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제고,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사전준비, 지도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nd Needs on Imple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55-2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기반으로 한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 운영 시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사서교사 선택과목 운영에 대한 인식과 요구, 선택과목 운영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온라인 조사하여 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서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높았으며, 선택과목 운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특히 연구·선도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들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보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및 운영 기반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선택과목 운영에 있어서 사서교사에 대한 학생, 교사들의 교육적 역할 인식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성별, 지역, 경력 등과 같은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사서교사 대상의 고교학점제 연수 및 지원, 독서, 미디어, 정보활용능력과 연계된 선택과목 개설 및 교과서 개발, 독서, 미디어, 정보활용능력 교육 관련 과목 필수 이수 제도화 등을 제안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 임용 및 자격시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Teachers'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in the Korea and U.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7-149
    • /
    • 2011
  • 교사는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적정 수준의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학교 현장에 배치하기 위해서 교사 양성과 자격, 임용에 관한 사항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법령에 의거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임용시험을 거쳐 학교에 배치한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주교육부와 교사인증기관에서 Praxis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의 교사 임용시험은 1차, 2차,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차 시험은 교과 전공 지식을 평가한다. 반면, 미국의 교사자격시험인 Praxis는 I, II, III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Praxis II는 교과 지식과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는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를 위한 자격, 임용 제도를 고찰하고, 한국과 미국의 객관식 시험 문항을 비교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Library Assited Instruction Ba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46
    • /
    • 2006
  • 도서관활용수업은 학교도서관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구 사서교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교실 수업과 구별된다. 따라서 도서관활용수업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에서 정보자료를 이용하는 활동과 관련어 있으며, 사서교사가 도서관활용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정보활동을 어떻게 지원하고, 도와줄 것이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과정의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이 수행하는 정보활동을 추출하구 이 정보활동을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 모형 (정보제시-안내형, 정보탐색-정리형, 정보분석-해석형, 정보종합-표현형, 정보탐구-프로젝트형, 정보탐구-토론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은 실제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고려하여 수업 준비 및 계획, 도입, 전개, 정리로 구분하여 구조화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로 도서관활용수업에 참여하는 주체 즉,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학생이 수행해야 할 각각의 역할과 활동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PDF

예비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 - 심층 면담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n the Education Practicum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 임정훈;강봉숙;박주현;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75-9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현행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실습 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사서교사 33명(사범대학 6명, 교직이수 16명, 교육대학원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혼합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사서교사는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예비할 수 있고, 향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질적 탐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인식과 학교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의 확대, 시기의 분산, 상시실습 체계의 구축, 현장교사와 지속적인 논의,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