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authorit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Mathematics Anxie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Sex)

  • 김현미;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9-106
    • /
    • 2006
  • 학생들이 수학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경험과 정서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불안의 요인이 되며, 이러한 수학불안은 효과적인 수학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 요인을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교사 요인, 환경요인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후, 수학불안 요인들이 학년 및 성별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학불안 요인들은 수학성취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ing Responsive Teaching's Effect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in Small Group Argumentation)

  • 하희수;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3-75
    • /
    • 2017
  • 본 연구는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생산적인 과학적 논변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 30명과 교사 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자극과 반응 단원의 논변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측정 활동의 결과를 예상하고, 활동을 통해 결과를 얻고, 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논변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 활동은 정수리, 척추, 손등 위에서 핸드폰 진동 감지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연구자들은 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을 알고자 교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각 소집단 활동과 교사 인터뷰를 녹음 녹화하였다. 녹음 기록을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반응적 지원의 시작점이 될 학생 사고를 이끌어내는 질문과 함께 소집단 실행에 개입하였다. 교사는 논변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생의 사고를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에서 생산적 프레이밍을 드러냈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에서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며 논의의 활성화를 지원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평가자의 관점을 지양하고 학생의 아이디어에 반응하여 반박 발화를 함으로써 논변 활동의 일원으로 참여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참여를 통해 소집단 내의 인지적 권위 구조를 변화시켰으며, 학생들에게 논변 활동에서 기대하는 실행의 예시를 보여주어 생산적 프레이밍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 결과 학생들은 생산적인 과학적 실행을 보였고, 이는 학생들의 변화된 인식론적 프레이밍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학생이 과학적 논변 활동에서 진정한 과학적 실행에 참여하도록 생산적 프레이밍을 지원하는 교사의 반응적 교수 전략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교 안전사고가 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afety Accident on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 최미리;박정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535-548
    • /
    • 2007
  • 학교 안전사고가 학교 교사들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안전사고가 학교 교사들에게 주는 피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06년 인천지역 학교의 학급 담임 11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였고 안전사고의 실태, 학교 안전사고가 학교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 안전사고로부터 교사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성된 설문을 조사하고, 통계처리를 위해 문항별 백분율(%)을 산출하고 남녀별, 경력별, 직급별 변인간 차이를 알기 위해서 $X^2$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 안전사고 실태 1) 안전사고 발생 시간은 쉬는시간과 교과시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의 성별에 따라 안전사고 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안전사고 발생 장소는 교실과 운동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2) 사고원인은 학생의 부주의와 학생간의 다툼이 가장 큰 원인이며 사고원인에서는 경력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안전사고가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1)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을 때는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바꾸거나 포기하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성별, 경력, 직급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교사들의 안전사고 개선방향으로는 면책특권 민사적 책임순으로 나타났다.

  • PDF

18~19세기 동아시아 여성의 가체문화와 의미 (Gache(加髢) Culture and Position of East Asia Wome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임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95-406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what meaning East Asian women showed in their costume history through a discourse of hair adornments such as wigs and that Gache was not just a luxury decor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Gache hair trends with Eonjeun-meori (braid wraps around the entire head) in the Joseon dynasty (Korea), Gigye(旗?) hair in the Quing dynasty (China) and Mage(?) hair in the Edo period (Japa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n of East Asian Gache cultur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as analyzed from the internal desires of women.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magnification by the hair decoration was identified with self-authority and used as a sign to express self-respect or a desire for self-esteem. The extended Gache was an external body extension to raise self-authority and increase activeness. Second, self-satisfaction through showing off was associated with a women's search for identity. There was excessive consumption to boast status, wealth and femininity, but the mania continued because women obtained psychological satisfaction by feeling that their sacrifices for the Confucian order were compensated. Third, the frenzy of Gache was accepted as a way for women to resist social regulations and find themselves as main participants in social activities. Showing their appearance in East Asian Gache culture was a way of inner self-searching and a process for women to find themselves as a social entity.

학습자의 역학적 에너지에 대한 개념변화 중에 살펴본 물리지식과 앎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Physics Knowledge and Physics Knowing During Conceptual Change in Mechanical Energy)

  • 문성숙;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99-51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학술자들이 역학적 에너지에 대하여 배우는 동안 과학지식 교과서 내 물리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앎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규명하고 역학적 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기초개념에 대한 변화과정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6명의 대학생을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과학지식 교과서 내 물리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앎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세 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권위에 의해 물리지식을 받아들이기, 교사에 대한 인식에 의해 물리지식을 받아들이기, 과학지식은 인간의 다양한 사고의 산물이라는 인식에 의한 이해. 과학지식이 다양한 인간사고의 산물임을 인식하는 참여자가 초인지활동을 활발하게 하였으며 역학적 에너지의 값에 대하여 과학적 개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외 범주에 속하는 참여자들은 수업시간에 초인지 활동을 활발하게 하지 않아 수동적이었으며 역학적 에너지의 값에 대하여 비과학적 개념을 갖고 있었다. 위치에너지를 포함하여 역학적 에너지의 값에 대하여 비과학적 개념을 가진 참여자들의 개념변화과정을 살펴보면, 과학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에너지의 정의가 대안적 개념을 유지하게함을 볼 수 있었다. 참여자가 위치 에너지의 옴의 값에 대한 대안적 개념을 극복하는데 과학 지식의 도구적 성질을 이해하고 공식을 물리적 현상과 연결 지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upon Kindergarten Teachers' Commitment of Teachers)

  • 하정윤;김진화;정민진;나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적 리더십이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과 교직헌신 수준을 확인한 후,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 변인들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의 유치원 교사들로 2016년 7월 12일부터 26일까지 온라인과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1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산적 리더십 및 교직헌신의 인식 차이는 차이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분산적 리더십과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과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직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직헌신은 교직경력과 학력, 유치원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과 교사들의 교직헌신 하위요인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 하위요인 중 유치원 상황과 교사 리더십이 교직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치원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원장의 리더십 보다는 교사 자신이 리더라는 생각과 책임과 영향력, 권한 등을 충분히 인식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이 더 많은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원장의 각종 책임과 권한을 적절히 위임할 필요가 있다.

개념제시자의 특성이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ructors' Characteristics on the Concept Change of Korean High-School Students.)

  • 임정수;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0-350
    • /
    • 1996
  • Knowledge is compos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cept structure already held by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 and learning can be said to be the active process of solving the cognitive conflict caused by this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in showing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and finding out the elements which the teacher has to own, through examining several forms of pre-conception or mis-conception of the inertia, the force-equilibrium, the action and reaction, the heat, and the electric current, and then finding out their solution and studying student's change in science concepts. For this study, the types of concept on the five above-mentioned materials which students have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cept-classifying question paper, and the classes to which the class mode for the change of concepts applied, were practised in each different classroom by each different instructor - a professor, a scientist, a teacher, and two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effect of the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se classes, and each different instructor' influence on the change of concept in students. were examined. The result of my study is as follows; 1. Students have various types of pre-concep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science concept, and these types of pre-conception tend to last even after learning in class. 2. The thoughts on the correct science concept of the high school third-grade students who learned the physics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who don't learn the physics yet, were nearly equal those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by receiving the physics class through the cognitive conflict course were greatly changed especially that students showed the distinct change on mechanics and electric current. 3. Students didn't show the remarkable change of the science concept on the five materials in the four kinds of experimental classes by each different instructor but in the part of mechanics, there was the distinct change between the class by professor and those by the students.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authority and the attitude of the concept demonstrator. 1) The authority, the kind attitud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expe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rrect concept-formation of mechanics part -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is-conception caused by the intuitive belief. 2) In the class by instructor with the democratic teaching method, the change of concept took place more easily, because in his class students could discuss the subject freely, so that they might experience the thought course to give them the confidence on the science concept.

  • PDF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과학내용지식 측면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교사들이 지닌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과학내용 지식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과학교사들은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지니고 있으며, 교사의 권위는 내용지식을 많이 아는 데서 나온다고 생각하며, 과학 엘리트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때로는 교사 자신의 오개념으로 인해 수업 중에 표현 오류가 발견되고, 교사가 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생각나는 것을 모두 언급하는 산발적 내용 전개가 발견되며, 초임이나 비전공자가 진행할 경우 수업시간이 남아도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초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경력교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은 과학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교사지식에 의해 매개되므로, 초임 과학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SMK)을 과학 내용교수지식(PCK)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중·고 보건교사들의 메르스 발생 시 대응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achers' Countermeasures Against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s, Including MERS)

  • 전은경;이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75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react to infectious disease like MER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1,267 school health teachers. Results: When MERS was an epidemic, school health teachers who took the 'leading' role were 92.4%. A school heath teacher's counter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showed a high score during MERS outbreak (3.81) compared to regular days (3.59). Conclusion: Based on such results, it has been determined that schools need to keep two types of procedures manual, such as 'countermeasures on a regular basis' and 'countermeasures in the event of a pandemic disease outbreak' manual in the staff offices so that anyone can view them at any ti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gulations to strengthen their authority so that school health teachers can take the role of control tower, in a professional capacity, when communicable disease is spreading. In order to prevent any confusion and chaos, there should be a unitary reporting system at each school when dealing with an epidemic. School health teachers need to get continuous training to reinforce their abilities to react to communicable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