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Seed Extrac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골프장에서 차나무류 추출물과 화학 방제제를 이용한 지렁이 분변토 발생 관리 (Management of Earthworm Casts using Pesticides and Tea Tree (Camellia oliefera) Extracts in Turfgrass of Golf Courses)

  • 신종창;김종경;최성환;전병덕;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5-41
    • /
    • 2016
  • 지렁이 분변토는 골프장이나 경기장에서 경기력 저하와 잔디 관리의 균일성을 떨어트리는 위해요소이다. 본 연구는 골프장에서 지렁이 분변토 감소를 목적으로 화학적 방제제(bifenthrin GR+clothianidin GR, ethoprophos GR, imidacloprid SC, picoxystrobin WG, thiophanate-methyl WP)와 차나무(Camellia oliefera) 추출물의 효과를 골프장에서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지렁이 분변토 수가 감소하였으며 thiophanate-methyl WP의 지렁이 분변토 발생 억제효과가 가장 높았다. 차나무 추출물 처리도 지렁이 분변토 발생 효과를 보였는데 펠렛형 차나무 종자추출 부산물과 차나무 추출물 액상제형이 차나무 추출물 입상제형에 비하여 효과가 높았으며, 차나무 추출물이나 부산물 처리가 분변토 관리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녹차씨 전처리와 추출 조건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추출 수율 및 항효모 활성 (Extraction Yield and Anti-Yeast Activity of Extract from Green Tea Seeds by Pretreatment and Extraction Conditions)

  • 양은주;선유경;위지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51-1357
    • /
    • 2016
  • 항효모 활성이 우수한 녹차씨로부터 천연 보존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원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을 평가하였다. 과피 유무에 따른 녹차씨의 추출 결과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며, 추출 수율은 과피를 제거한 속씨에서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에 따른 녹차씨의 수분 함량은 항효모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추출 수율은 7.3% 수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쇄 공정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나, 원료의 입도가 작은 믹서 분쇄 원료에서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 오일을 추출한 부산물인 탈지 녹차씨를 추출하여 보존소재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항효모 활성은 녹차씨 추출물과 같았으며, 탈지 방법에 따라 수율은 다르게 나타나 헥산 추출 탈지 녹차씨보다 압착 탈지 녹차씨의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 평가에 따라 천연 보존소재를 추출하기 위한 원료로서 과피가 포함된 녹차씨를 수분 함량 7.3%로 건조한 후 롤밀 분쇄하여 착유기로 오일을 추출한 탈지 녹차씨를 제조하였다. 탈지 녹차씨를 추출 용매에 따라 추출한 후 수율 및 항효모 활성을 조사한 결과 경제성이 높은 추출 용매는 물이 적합하였다.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탈지 녹차씨의 추출결과 $90^{\circ}C$ 추출에서는 항효모 활성이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수율과 항효모 활성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물을 용매로 하였을 때 $50^{\circ}C$, 4시간 추출 조건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효소를 이용한 아스트라갈린 합성 반응의 최적화 (Reaction Optimization for Enzymatic Synthesis of Astragalin)

  • 이슬비;정대원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394-398
    • /
    • 2012
  • 아스트라갈린(AS)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캠페롤(KR)에 글루코스가 하나 결합해있는 배당체로서, 천연에는 미량만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tea seed extract (TSE)에 포함되어 있는 camelliaside A (CamA) 및 camelliaside B (CamB)로부터 복합효소인 Mash에 의한 부분가수분해에 의해 AS를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Mash에 의한 TSE의 선택적 가수분해에 의해 AS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반응 온도, 효소량 및 반응물의 농도 등의 변수에 따른 반응성을 검토하였다. 반응 온도, 효소량 등이 증가할수록 AS의 생성 반응은 빨랐으나, 일단 생성된 AS가 급격하게 KR로 변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응 속도 및 AS의 선택성 측면을 고려하면, $50^{\circ}C$에서 TSE 대비 2배의 Mash를 사용하여 15%의 기질 농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朱木)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효능효과 (The Extracting Methods of the Seeds of Yew(Taxus cuspidata Sieb) by Solvent Extraction and Its Efficacy)

  • 조춘구;김인영
    • 생약학회지
    • /
    • 제33권4호통권131호
    • /
    • pp.364-371
    • /
    • 2002
  • Yew (Taxus cuspidata Sibe) selected cultivation as drug, food and decorative plant in Gyong-gi province in Korea. To extract the water soluble active ingredients, as a extracting method, there was extracted with 20g of dried seeds with each 20g of butylene glycol(BG) and propylene glycol(PG), and 40 mL of water mixing 72 hours at $40{\pm}5^{\circ}C$, and then they were filtrated by 400 mesh. Appearance of extract of seeds was pale brown, $pH=4.5{\pm}0.5$, $gravity=1.013{\pm}0.05$, a reflective $index=1.373{\pm}0.05$, and yield=75%. Also, to extract the high purity oil from seeds, it minutely pulverized the dried seeds and added the hexane, mixing 2 hours at $20{\pm}57^{\circ}C$. And then, this filtrated it with 400-mesh. It got the purified oil through evaporating them at $55^{\circ}C$ during under vacuum. As the results, appearance was slightly brown, gravity=0.922 acid value=0.12, saponification value=192, and it should be obtained the $40{\pm}5%$ of yield. As the efficacy evalution of cosmetic fiel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by NBT method were stronger 86.0% from extract of talus seeds than 52.0% from green tea extract and 35.0% from skullcap extract as well a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by DPPH method were stronger 93.7% from extract of seed than 60.3% from extract of green tea and 27.1% from extract of skullcap. These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 plant extracts. The collagen synthesis rate on the activating fibroblast for Taxus cuspidata Sibe extract showed 35.43%. As the activity of the skin elasticity, PPE(porcine pancreatic elastase)-inhibitory activities of talus extract was 50.8%.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more effective to be taken 41.1% of taxus seed oil than 24.2% of steady glycyrrhetinate (SG) as a control.

Protective effect of the standardized green tea seed extract on UVB-induced skin photoaging in hairless mice

  • Lim, Jae-Youn;Kim, Ok-Kyung;Lee, Jeongmin;Lee, Min-Jae;Kang, Namgil;Hwang, Jae-Kw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398-403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on skin can induc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caus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collagen degradation. Thus, chronic exposure of skin to UVB irradiation leads to histological changes consistent with aging, such as wrinkling, abnormal pigmentation, and loss of elasticit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standardized green tea seed extract (GSE) on UVB-induced skin photoaging in hairless mice. MATERIALS/METHODS: Skin photoaging was induced by UVB irradiation on the back of Skh-1 hairless mice three times per week and UVB irradiation was performed for 10 weeks.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control, UVB irradiated control group, positive control (UVB + dietary supplement of vitamin C 100 mg/kg), GSE 10 mg/kg (UVB + dietary supplement of GSE 10 mg/kg), GSE 100 mg/kg (UVB + dietary supplement of GSE 100 mg/kg), and GSE 200 mg/kg (UVB + dietary supplement of GSE 200 mg/kg). RESULTS: The dietary supplement GSE attenuated UVB irradiation-induced wrinkle formation and the decrease in density of dermal collagen fiber. In addition, results of the antioxidant analysis showed that GSE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compared with the UVB irradiation control group.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GSE 200 mg/kg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expression of MMP-1, MMP-3, and MMP-9 and an increase in expression of TIMP and type-1 collagen. CONCLUSION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etary supplement GSE could be useful in attenuation of UVB irradiation-induced skin photoaging and wrinkle formation due to regulation of antioxidant defense systems and MMPs expression.

Molluscicidal Effec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Substances for Controlling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Lamarck)

  • Il Kyu Cho;Woo Young Cho;In Sun Cho;Heon Woong Kim;Seonghoon Hyeong;Jang Hyun Park;Young Sig Kim;Kil Yong Kim;Gi-Woo Hyo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96-407
    • /
    • 2023
  •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has been utilized as a natural and eco-friendly control of weeds in rice paddy fields. However, P. canaliculata can damage other crops.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plant extracts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that are reportedly effective against pests in the control of P. canaliculata was investigated. The four plant extracts were effective against P. canaliculata and ranked in descending order as green tea seed (Camellia sinensis) > root of red spider lily (Lycoris radiata) > leaves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 root of sophora (Sophora flavescens). The mortality rate of P. canaliculata was increased using 200 to 2000 mg/kg of green tea seed powder. However, shrubby sophora root extrac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mortality rate. The LC50 and LC90 of green tea seed, tobacco leaves, shrubby sophora root, and red spider lily root were 900 and 2800 mg/L, 956 and 2320 mg/L, 2162 and 5325 mg/L, and 512 and 1054 mg/kg, respectively. The LC50 and LC90 of ground powder of C. sinensis, N. tabacum, S. flavescens and L. radiata were 248 and 646 mg/L, 403 and 733 mg/L, 409 and 905 mg/L, and 493 and 1141 mg/L, respectively. The findings indicate the remarkable control potency of green tea seeds against the golden apple snail. An organic material incorporating the four plant powders may help control green apple snail in an ecosystem-friendly manner.

녹차종자 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Green Tea Seed)

  • 양희선;김재용;김홍출;노일섭;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9-773
    • /
    • 2006
  • 녹차종자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녹차 종자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녹차 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과 비교하였다. 녹차 메탄올추출물기 수소공여능은 $100{\mu}g/mL$ 농도 이상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녹차종자 메탄올추출물은 $1000{\mu}g/mL$ 농도에서 21.8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종자 및 녹차 메탄올추출물이 $1000{\mu}g/mL$ 농도로 처리된 흰쥐의 간 균질물에서 MDA의 생성량이 대조구의 86 Mol/g에 비하여 각각 60 및 50 Mol/g로 낮게 나타내어 이들 추출물은 항산화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녹차종자 및 녹차 메탄올추출물은 $1000{\mu}g/mL$ 농도에서 A549 및 SW480 세포에 대하여 각각 20%, 50% 이상의 성장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종자 메탄을 추출물이 $500{\mu}g/mL$의 농도 처리된 암세포는 대조구에 비하여 상대적인 세포 수의 감소되었으며, 심한 형태학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대식세포 RAW264.7에 녹차 및 녹차종자 메탄을 추출물이 1, 10, 100및 $1000{\mu}g/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이들 추출물은 $100 {\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유도하였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 그 농도는 각각 0.77와 2.04 uM로서 녹차종자 메탄을 추출물이 녹차 메탄을 추출물보다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Antibacterial Effect of Eucalyptus Oil, Tea Tree Oil, Grapefruit Seed Extract, Potassium Sorbate, and Lactic Acid for the development of Feminine Cleansers

  • Yuk, Young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2호
    • /
    • pp.82-92
    • /
    • 2021
  • Purpos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microbes in the vagina decrease due to th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high recurrence rate of female vaginitis due to this suggests that a new treatment is needed. Methods: In the experiment, we detected that 10% potassium sorbate solution, 1% eucalyptus oil solution, 1% tea tree oil solution, 400 µL/10 mL grapefruit seed extract solution, 100% lactic acid, 10% acetic acid solution, and 10% lactic acid solution were prepared and used. After adjusting the pH to 4, 5, and 6 with lactic acid and acetic acid in the mixed culture medium, each bacterium was inoculated into the medium and incubated for 72 h at 35℃. Incubate and 0 h each. 24 h. 48 h. The number of bacteria was measured after 72 h. Results: In the mixed culture test between lactic acid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lactic acid bacteria showed good results at pH 5-5.5. Potassium sorbate, which has varying antibacterial activity based on the pH, killed pathogenic bacteria and allowed lactic acid bacteria to survive at pH 5.5. Conclusion: The formulation ratio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feminine cleanser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ntibacterial agents.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the future.

탈지 녹차씨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 안정성 및 산막 형성 억제능 평가 (Stability of Anti-Yeas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xtracts on Yeast Film Formation)

  • 양은주;서예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7-334
    • /
    • 2017
  • 탈지 녹차씨 추출물을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보존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물 또는 7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효모 활성을 평가하였다. 탈지 녹차씨 추출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세균과 곰팡이에서는 일부 지시균을 저해했지만, 효모 지시균 5종에 대해서는 모두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효모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추출 용매에 따른 활성은 75%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2배 정도 활성이 우수하였다. 탈지 녹차씨 추출물의 온도, pH, NaCl 처리에 대한 항효모 활성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물과 75% 에탄올 추출물 모두 pH 3~9와 0~20% NaCl 처리에 안정하였으며, 온도에 대한 영향은 $70^{\circ}C$, 24시간 및 $121^{\circ}C$, 15분 처리에 항효모 활성이 2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다른 온도 처리에는 모두 안정하였다. 산막효모인 P. membranifaciens가 첨가된 식품 모델에 탈지 녹차씨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한 후 산막 형성이 억제되는지 평가하였다. 물과 75% 에탄올 추출물은 간장에서 각각 $156{\mu}g/mL$, $39{\mu}g/mL$, 장아찌 소스에서 각각 $156{\mu}g/mL$, $78{\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산막 형성을 억제하였다. 김치에서 물 추출물은 $78{\mu}g/mL$ 이상, 75% 에탄올 추출물은 $39{\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산막 형성 억제능이 나타났다. 항효모 활성 안정성이 우수하며 실제 식품에서 산막효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탈지 녹차씨 추출물은 효모의 부패를 저해할 수 있는 천연 보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납투여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녹차, 감잎, 홍화 열수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Persimmon Leaf and Safflower Seed on Heme Synthesi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ead-Administered Rats)

  • 김명주;조수열;장주연;박지윤;박은미;이미경;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1-196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및 홍화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 하였다. 녹차잎,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여 사육한 결과 헤마토크릿치, 헤모글로빈 함량 및 적혈구 수는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로 감소 정도가 완화되었다. 혈액과 간조직 ALAD 중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톡투여 군이 유의 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열수 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되었는데 그 효능은 혈액학적 성상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 AST, ALT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에 의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잎과 홍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활성 및 GSH 함량은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GSH-Px 활성은 감소된 반면,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으로 인한 적혈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가 완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