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ap vaccin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임신 중 Tdap 접종에 대한 임부들의 인식, 태도 및 행동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Maternal Immunization with Tetanus Toxoid, Reduced Diphtheria Toxoid, and Aellular Pertussis (Tdap) among Pregnant Women)

  • 이신혜;진보경;백경숙;조용선;이택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3호
    • /
    • pp.141-147
    • /
    • 2018
  • 목적: 임신 중 tetanus toxoid, reduced diphtheria toxoid, and acellular pertussis (Tdap) 접종의 효과 및 안전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임신 중 Tdap 접종률은 낮다. 이에 저자들은 임신 중 Tdap 접종에 대한 임부들의 인식,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소재 대학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임부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설문지를 통해 임신 중 Tdap 접종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행동을 수집한 단면 설문조사다. 결과: 총 184명의 임부들이 설문지 작성을 완료하였다. 이 중 158명(86%)의 임부들은 의사로부터 백일해 및 Tdap 백신에 대한 정보를 안내 받지 못했고, 166명(90%)의 임부들은 임신 중 Tdap 접종의 필요성을 알지 못했다. 현 임신기간 중 Tdap 접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임부 중 7%만이 백일해 및 백신에 대한 이해를 묻는 5문항 중 3문항 이상 올바르게 답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의사의 추천(adjusted odds ratio [OR], 236.2; 95% confidence interval [CI], 12.6-4,432), 백신이 효과적이라는 믿음(adjusted OR, 40.21; 95% CI, 2.35-687.7), 백신이 안전하다는 믿음(adjusted OR, 19.83; 95% CI, 1.54-255.9) 등이 Tdap 접종을 결정하는데 유의하게 중요한 요인이었다. 결론: 대부분의 임부들이 Tdap 접종에 대하여 적절하게 안내를 받지 못하거나, 추천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임부들의 Tdap 접종률을 향상시키는 데에 의료기관 종사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Recommendation for the use of newly introduced Tdap vaccine in Korea

  • Choi, Kyong-Min;Kim, Kyung-Hyo;Kim, Yae-Jean;Kim, Jong-Hyun;Park, Su-Eun;Lee, Hoan-Jong;Eun, Byung-Wook;Jo, Dae-Sun;Choi, Eun-Hwa;Hong, Young-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4호
    • /
    • pp.141-145
    • /
    • 2011
  • Pertussis is an acute respiratory infection characterized by paroxysmal cough and inspiratory whoop for over 2 weeks. The incidence of pertussis has decreased markedly after the introduction of DTwP/DTaP vaccine, but the incidence of pertussis has increased steadily among young infant and among adolescents and adults in many countries. Td vaccine was used in this age group but the increase in pertussis has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Tdap vaccine. The Tdap vaccine is a Td vaccine with a pertussis vaccine added and is thought to decrease the incidence and transmission of pertussis in the respective age group. In Korea, two products are approved by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which are ADACEL$^{TM}$ (Sanofi-Pasteur, Totonto, Ontario, Canada) and BOOSTRIX$^{(R)}$ (GlaxoSmithKline Biologicals, Rixensart, Belgium) for those aged between 11-64. This report summarizes the recommendations approved by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Recommended immunization schedu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mmunization Guideline (8th edition) released by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in 2015

  • Kim, Jong-Hyun;Choi, Eun Hwa;Park, Su Eun;Kim, Yae-Jean;Jo, Dae Sun;Kim, Yun-Kyung;Eun, ByungWook;Lee, Jina;Lee, Soo-Young;Lee, Hyunju;Kim, Ki Hwan;Kim, Kyung-Hy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12호
    • /
    • pp.461-465
    • /
    • 2016
  • This report includes the recommended immunization schedule tab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the 8th (2015) and revised 7th (2012) Immunization Guidelines released by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KPS). Notable revised recommendations include: reorganization of the immunization table with a list of vaccines on the vertical axis and the corresponding age on the horizontal axis; reflecting the inclusio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vaccine,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and hepatitis A vaccine into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since 2012; addition of general recommendations for 2 new Japanese encephalitis (JE) vaccines and their interchangeability with existing JE vaccines; addition of general recommendations for quadrivalent meningococcal conjugate vaccines and scope of the recommended targets for vaccination; and emphasizing catch-up immunization of Tdap vaccine. Detailed recommendations for each vaccine may be obtained from the full KPS 8th Immunization Guidelines.

창원에서 유행한 백일해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rtussis Epidemic in Changwon)

  • 장준원;강진한;최재원;이학성;마상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1호
    • /
    • pp.37-43
    • /
    • 2017
  • 목적: 백일해는 백신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지만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최근 창원 지역에서 발생한 백일해 환자의 역학적인 특징과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2015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창원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는 환자 중 1주 이상의 기침을 하면서 발작적인 기침, 기침 후 구토, 흡기 시 '흡' 소리(whooping), 야간 기침이 동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백일해에 대한 배양, 중합연쇄반응검사를 실시하였고, 혈액의 항백일해 독소 항체검사(anti-pertussis toxin of ELISA kit, IBL International GmbH)를 실시하였다. 기저에 질환이 있거나 최근 1년 안에 DTaP 혹은 Tdap 백신 접종을 한경우에는 제외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대상 환자 50명 중 진단된 환자는 37명이었다. 이 중 중합연쇄반응검사에서 양성인 환자는 2명이었고 혈청검사에서 양성인 환자는 37명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생후 1개월부터 15세였다. 항생제 사용 후 모든 환자가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론: 2015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창원 지역에 백일해의 유행이 있었으며,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발생하는 백일해 역학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