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검색결과 1,883건 처리시간 0.204초

Acanthamoeba pustulosa와 A. palestinensis의 동위효소 및 rDNA PCR-RFLP 양상의 유사성 (Close relatedness of Acanthomoeba pintulosa with Accnthcmoebc palestinensis based on isoenzyme profiles and rDNA PCR-RFLP patterns)

  • 김영호;옥미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59-266
    • /
    • 1996
  • 형태학적 제3군 가시아메바의 taxonomic validity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 제3군에 속하는 6종의 가시 아메바 즉 A. culbertsoni A. healyi A. palestinensis. A. pustulosa, A. royreba 및 A. lenticulata의 type strain들의 동위효소. 미토콘트리아 DNA 및 small subunit(ssu) rDNA의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양상을 비교하여 이들의 taxonomic validity를 검토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RFLP 양상은 분리주간에 서로 심한 차이를 보였다. A. palestinensis와 A. pustulosc는 거의 동일한 rDNA RFLP(추정 염기 치환율 2.6%) 및 동위효소의 양상을 보여 A. palestinensis와 A. pustulosc는 같은 종으로 판단되었다. 그외의 종들은 서로 아주 다양한 rDNA RFLP 및 동위효소의 양상을 나타내어 독립종으로 인정되었다.

  • PDF

한국산 황기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Astragalus L. (Fabaceae) in Korea)

  • 최인수;김소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7-238
    • /
    • 2015
  • 표본과 야외조사를 기초로 한국산 황기속의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루어 졌다. 그 결과 한반도에는 다음과 같은 8종 1변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 laxmannii subsp. laxmannii (자주개황기), A. dahuricus (자주황기), A. sikokianus (강화황기), A. uliginosus (개황기), A. schelichowii (긴꽃대황기), A. setsureianus (설령황기), A. mongholicus var. dahuricus (황기), A. mongholicus var. nakaianus (제주황기), A. sinicus (자운영). 최근의 황기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결과들을 참조하여 한국산 종들의 학명이 재정리 되었다. 기존에 탐라황기를 포함한 자주개황기의 학명으로 쓰이던 A. adsurgens를 A. laxmannii subsp. laxmannii에 포함시켰다. 한반도 특산으로 강원도에서 처음 기재된 정선황기는 강화황기와 동종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한국산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던 설령황기와 긴꽃대황기에 대해 분류학적 실체와 형태적 특징을 자세히 밝혔다. 또한 한국산 종들의 이명을 포함한 학명 정리와 분류학적 견해를 기술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Taxonomic status of three taxa of Elsholtzia (E. hallasanensis, E. springia, and E. splendens var. fasciflora) (Lamiaceae) based on molecular data

  • Lee, Chang Shook;Hwang, Kung Ae;Kim, Jin Ok;Suh, Hyoung Min;Lee, Nam Soo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9-266
    • /
    • 2011
  • Elsholtzia hallasanensis, E. springia, and E. splendens var. fasciflora (Lamiaceae) were reported recently as new species or new varieties of E. splenden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reappraise the taxonomic status of these additional taxa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Korean Elsholtzia taxa except E. saxatilis, which is distributed in North Korea, molecular studies based on the nrDNA (ITS) and cpDNA (rpl16, and trnH-psbA) sequences of seven taxa of Elsholtzia and one outgroup were carried out. The molecular data support that E. angustifolia and E. minima are distinct species from E. splendens and E. ciliata, respectively, because they have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show monophyly. The molecular data also support that E. splendens has a very close taxonomic relationship with both E. hallasanensis and E. springia. We found that E. splendens var. fasciflora, with multiple inflorescence, was based on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on the monophyly of its trees, suggesting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variety. Elsholtzia springia, with the same sequences and the sa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E. hallasanensis after transplanting, should be treated as a synonym of E. hallasanensis. Moreover, we consider the taxonomic status of E. hallasanensis as E. splendens var. hallasanensis (Y. Lee) N.S. Lee & C.S. Lee, stat. nov.

저영양세균중(低營養細菌中)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 및 메타놀이용균(利用菌)의 분류학적위치(分類學的位置)에 관(關)하여 (A Study on the Taxonomic Status for Nitrogen-Fixing, Methanol Utilizing Oligotrophic Bacteria)

  • 신관철;황경숙;하토리 타카하시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63-168
    • /
    • 1989
  • 분리(分離)된 저영양세균(低營養細菌)중,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과 메타놀 이용균(利用菌)의 대부분이 분류학상(分類學上)새로운 균(菌)으로서 특정지을 수 있었다. 분리된 질소고정균의 경우 형태적 생리적인면에서 Azospirillum에 대응하는 균이라 생각되어 졌으나, 균체지방산조성 및 키논종(種)에 있어서 명확한 차이점을 보여 Azospirillum 속의 새로운 균주로써 추정되었다. 메타놀이용균중 부속기갖는 세포로된 균주들은 prosthecate bacteria(Hyponycrobium sp.)에 대응하는 균이라고 추정되어졌다. 그이외의 regular irregular rods를 나타내는 메타놀이용균에 대해서는 균체지방산조성면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는 것이 주목되어져 균체지방산조서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갖고 화학분류(化學分類)의 측면에서 재검토한 결과 유사도(類似度) 85-90% level에서 8개 cluster로 나뉘어졌다. 일부, cluster에 속하는 균주는 Pseudomonas sp.와 유사한 균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외의 균주들에 대해서는 분류학적 검토가 더욱더 필요로 한다.

  • PDF

낙동강에 서식하는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식물 먹이 자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t Diet Resource of Nutria(Myocastor coypus) Habitat in Nakdong-river)

  • 이도훈;이창우;길지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91-511
    • /
    • 2013
  • In this study, three survey areas in Changnyeong, Miryang and Jinju of the confirmed the habitation of nutria and carried out the performance on the plant diet resource. From the habitat trace survey in the nutria habitat, a total of 336 trace points was shown. There were 181 trace points (54%) confirmed from St. 1 as the highest showing, followed by 52 trace points (15.4%) from St. 2, and 103 trace points (30.6)% from St. 3.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habitat area were a total of 182 taxonomic group with 57 families, 99 genus, 16 hybrids, and 1 race. The vascular plant living types in the habitat area are 1-year plant (Th, Th(w)) for 63class groups (34.6%), hemicryptophyte (H) for 42class groups(23.1%). plants, trees, crop plants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research cases on the diet plants of nutria, there are 195 taxonomic groups in a total of 39 families, 126 genus, 183 breeds, and 12 hybrids. In the study areas, feeding the plants was confirmed by the 7 taxonomic groups, aquatic plant, terrestrial From the total of 182 taxonomic groups discovered in the habitat area, 20 class groups, in 3 habitation region, 10 class groups of commonly appearing 49 class groups were shown to be the breed confirmed for diet in existing case studies, and assuming from it basis, the nutria habitating in the survey area is considered to have the supply of diverse diet resource to have flawless habitation. This is implication of having potential breeding possibility.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Pteriomorph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 Jun, Je-Cheon;Kim, Jin Hee;Park, Young Jae;Kang, Hee Woong;Chung, Jae Seung;Chung, Ee-Y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4
    • /
    • 2012
  • The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ies and ultrastructures of the sperm nucleus and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are the vase type and long cone shape, respectively. Spermatozoa are approximately $45-50{\mu}m$ long including a sperm nucleus (approximately $2.60{\mu}m$ long), an acrosome (about $0.63{\mu}m$ long), and a tail flagellum (approximately $44-47{\mu}m$ in long).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ight and left basal rings in the acrosomal vesicle of this specie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and also the anterior apex part of the acrosomal vesicle shows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al vesicle were found in Pectinidae and other several families in subclass Pteriomorphia.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 in most species in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In addition, the satellite fibres are found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this species, a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pecies of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Accordingly, structut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found in the acrosomal vesicle, four mitochondria in the sperm midpiece and the appearance of the satellite fibers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C. (S.) swiftii in Pectinidae (subclass Pteriomorphia), can be employed for phylogenetic and taxonomic analyses as taxonomic key or a significant tool.

한라산 고유 한라송이풀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position of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awa, an endemic plant of Mt. Halla)

  • 조원범;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0-137
    • /
    • 2011
  • 제주도 한라산에 자라는 한라송이풀은 고유종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awa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이 식물은 근연종인 P. amoena, 구름송이풀 또는 이삭송이풀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분류학적 처리가 혼동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 식물의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라송이풀과 근연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 및 핵 리보소옴 DNA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한라산의 이 식물은 꽃받침 열편, 화판 상순과 하순의 길이 비, 식물체의 선모 밀도, 개화기 근생엽의 유무 및 염기서열 자료에서 P. amoena 및 구름송이풀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한라송이풀은 외부형태 및 ITS 염기서열에서 동북아에 분포하는 이삭송이풀과 뚜렷이 구별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형태 및 분자생물학적 자료는 한라송이풀이 이삭송이풀로 통합되는 것을 지지하였다.

한국산 개나리족(Tribe Forsythieae; Oleaceae)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in Korea)

  • 김동갑;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9-203
    • /
    • 2004
  • 한국산 개나리족 식물의 분류학적 한계를 규명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논의하고자 2속 8분류군 25집단으로부터 33개의 형태형질을 측정하여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개나리족 8분류군 외에 향선나무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미선나무속의 분류학적 한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고 근연분류군인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의 79.6%를 설명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각 속별로 크게 3개의 유집군이 형성되었고, 개나리속은 개나리-산개나리-의성개나리 유집군과 만리화-장수만리화 유집군으로 구분되었다. 미선나무속집단은 분류군의 구분 없이 무작위적인 배열을 나타냄으로써 종하분류군들은 기본종의 개체변이로 생각된다. 향선나무는 개나리족의 개나리속집단과 미선나무집단과는 명확하게 독립적인 군집을 형성하여 족 간의 뚜렷한 한계를 나타내었다.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국화과: 등골나물족)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note of Ageratina altissima and Eupatorium rugosum (Asteraceae: Eupatorieae))

  • 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1-264
    • /
    • 2019
  •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즉, Eupatorium속에서는 전혀 다른 기준표본에 근거해 이미 존재하였던 E. altissimum L. 때문에 대체명으로 E. rugosum이 공표되었고, Ageratina속에서는 종소명 'altissima'를 사용하고 있던 종이 없었기 때문에 원명에 근거해 A. altissima의 학명이 공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표된 이름들이 국내에서는 서로 다른 분류군으로 인식되면서 분류학적 혼란이 야기된 것으로 사료된다. 형태 및 분자 형질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 근거해 서양등골나물의 정명은 A. altissima이다.

Taxonomic hierarchy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and Korean indigenous novel Proteobacteria species

  • Seong, Chi Nam;Kim, Mi Sun;Kang, Joo Won;Park, Hee-M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97-214
    • /
    • 2019
  • The taxonomic hierarchy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was assessed, after which the isolation and classification state of Proteobacteria species with valid names for Korean indigenous isolates were studied. The hierarchical taxonomic system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began in 1809 when the genus Polyangium was first reported and has been generally adopted from 2001 based on the road map of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Until February 2018, the phylum Proteobacteria consisted of eight classes, 44 orders, 120 families, and more than 1,000 genera. Proteo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various environments in Korea have been reported since 1999, and 644 species have been approved as of February 2018. In this study, all novel Proteobacteria species from Korean environments were affiliated with four classes, 25 orders, 65 families, and 261 genera. A total of 304 species belonged to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257 species to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82 species to the class Betaproteobacteria, and one species to the class Epsilonproteobacteria. The predominant orders were Rhodobacterales, Sphingomonadales, Burkholderiales, Lysobacterales and Alteromonadales. The most diverse and greatest number of novel Proteobacteria species were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Proteobacteria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territory of Korea, with especially large numbers from the regions of Chungnam/Daejeon, Gyeonggi/Seoul/Incheon, and Jeonnam/Gwangju. Most Halomonadaceae specie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and solar salterns were halophilic or halotolerant. Air-borne members of the genera Microvirga, Methylobacterium, and Massilia had comm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C content, major respiratory quinones, and major polar lip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