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ifoli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적송수피 색소 성분의 화학적 조성과 섬유 염색성 (Dyeabilities with Various Fabr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rown Colorants from Pine Bark)

  • 김용숙;배순이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8-146
    • /
    • 2013
  •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functions of brown colorants extracted from pine bark(Pinus densiflora) have been studied. Dyeing test using multifiber fabrics with extracted colorants were preliminary carried out. Dyeing conditions and fastness tests of selected fabrics have been also studied. The brown colorants were produced 1.5% concentrations by solvent extraction from milled pine bark using methanol. The colorants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as best choice by a criteria of solid quantity and dyeability on fabrics.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identified as mixtures of taxifolin epicatechin and procyanidin by LC/MS analysis. The brown colorants could be dyed not only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silk and wool but also synthetic fiber as nylon and semi-synthetic fiber as viscose rayon. Maximum K/S values was shown at 400 nm according to different fiber with color appearance of redish brown.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dyeing conditions was 4 and above $80^{\circ}C$, respectively. The brown colorants had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Butylated hydroxyanisole as standard and weak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compared to kanamycin.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dry cleaning and light fastness for cotton, nylon and silk dyed with the brown colorants were carried out by KS K method. Most of color fastness such as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and dry cleaning were represented as 4-5 grade. However, light fastness was reported as 2-3 grade. From this studies, brown colorants produced pine bark have a high potentials for natural dyeing on fabrics with antioxidant activity.

Low Density Lipoprotein-oxidation Inhibitory Phytochemicals from the Fruits of Rhus parviflora

  • Shrestha, Sabina;Park, Ji-Hae;Cho, Jin-Gyeong;Lee, Dae-Young;Kang, Ji-Hyun;Li, Hua;Jeong, Tae-Sook;Kim Cho, Somi;Lee, Dong-Sun;Baek, Na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09-112
    • /
    • 2015
  • Fruits of Rhus parviflora were extracted with 80% aqueous methanol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using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H_2O$, successively. Purification of EtOAc fraction led to isolation of fifteen polyphenols of which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2D-NMR. Most compounds apart from compound 10 inhibited low density lipoproteinoxidation within $IC_{50}$ value of $10{\mu}M$. Among compounds, taxifolin (2),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ide (13), agathisflavone (5) sulfuretin (4), and aureusidin (3) showed $IC_{50}$ values 0.9, 0.8, 5.8, 2.9, and $2.4{\mu}M$ which were of highly significant in comparison positive control butylated hydroxytoluene with $IC_{50}$ value of $2.1{\mu}M$. The results indicate fruits of R. parviflora as a source of antihypercholesterolemic compounds.

Flavonoids의 약리작용(I) -Flavonoids 구조와 과민반응 억제작용과의 상관성-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s (I) -Relationships of Chemical Structure of Flavonoids and their Inhibitory Activity of Hypersensitivities-)

  • 김창종;정진모
    • 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48-364
    • /
    • 1990
  • The activities of twenty-one flavonoid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on the hypersensitivity reaction against various antigens were studied in vitro and in vivo. 1. Generally flavonoids inhibited significantly the homologou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induced by reaginic antibody as compared as anaphylaxis by compound 48/80-induced mast cell degranulation, and so more strongly active in the IgE-mediated anaphylaxis than non-IgE-mediated anaphylaxis. 2. Flavonids inhibited remarkably Arths reaction, hemolysin titer, delayed hypersensitivity, haemagglutinin titer, rosette forming cells and plague forming cells against sheep red blood cells, and so it exhibited that flavonoids inhibited type 2, 3 and 4 hypersensitivity. 3. Quercetin, kaempferol, hesperetin, disodium cromoglycate, malvin and baicalein were active dose-dependently in the all types of hypersensitivity. Fisetin, daidzein, morin, narigin, flavone, catechin, rutin, hesperidin, neophsperidin, apigenin and chrysin were significantly active in the various types of hypersensitivity, but apigenin, rutin and catechin were less active in the delayed hypersensitivity. Taxifolin was significantly active in PCA and histamine-induced anaphylaxis except other types of hypersensitivity. Rotenone and cyanin also inhibited all types of hypersensitivity, but they are toxic. 4. Based on these results from hypersensitivity, the following flavonoi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became apparent. 1) Flavonoids with $C_{2-3}$ double bond in C-ring were more active than that of $C_{2-3}$ saturation. 2) Flavonoids with $C_4$ ketone group in C-ring were more active than abscence of them except catechin and malvin. 3) Flavonoids with benzene ring at positions 2 or 3 in C-ring exhibited same activities. 4) Flavonoids with opening of the C-ring does not abolish their activities. 5) The glycosylated flavonoids in position 3 or 7 was less active than their aglycone. 6) Flavonoids with the more hydroxy group in A and B-ring were more active. 7) Flavonoids with or without $C_3-OH$ did not change their activities.

  • PDF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s of Caesalpinia decapetala var. japonica

  • Le, Thi Thanh;Ha, Manh Tuan;Hoang, Le Minh;Vu, Ngoc Khanh;Kim, Jeong Ah;Min, Byung 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143-152
    • /
    • 2022
  • In our study, sixteen known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quercetin (1), methyl gallate (2), caesalpiniaphenol C (3), 8S,8'S,7'R-(-)-lyoniresinol (4), 7,3',5'-trihydroxyflavanone (5), sappanchalcone (6), sappanone A (7), taxifolin (8), fisetin (9), fustin (10), (+)-catechin (11), brazilin (12), 3,4,5-trimethoxyphenyl β-ᴅ-glucopyranoside (13), 1-(2-methylbutyryl)phloroglucinol-glucopyranoside (14), (+)-epi-catechin (15), and astragalin (16) and one mixture of two conformers of protosappanin B (17/18) were isolated from the stems of Caesalpinia decapetala var. japonica.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ased on a comparison of their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with those of literatur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represents the first isolation of compounds 3, 4, 8, 9, and 10 from C. decapetala and compounds 13 and 14 from the Caesalpinia genus. All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α-glucosidase enzyme. Among them, two flavonols (1 and 9), one chalcone (6), and one homoisoflavanone (7) exhibited an inhibitory effect on α-glucosidase action with an IC50 range value of 5.08-15.01 μM, strong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acarbose, IC50 = 152.22 μM). Kinetic analysis revealed that compounds 1 and 9 showed non-competitive α-glucosidase inhibition, while the inhibition type was mixed for compounds 6 and 7.

로즈힙의 영양학적 기능 및 생리활성에 대한 문헌적 고찰 (The nutritional func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ose hip (Rosa canina fruits): A systematic review)

  • 정태환;황효정;신경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9-376
    • /
    • 2022
  • 본 총설은 로즈힙의 영양학적 기능성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들을 조사하여 로즈힙의 다양한 효능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로즈힙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문에서 언급한 것처럼 로즈힙에는 유용한 비타민 및 무기질 성분들이 풍부하고 β-카로틴, β-시토스테롤, 카테킨, 라이코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닌, 퀘르세틴, 탁시폴린, 엘라그산 및 살리실산 등의 기능성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골관절염 개선, 체지방을 감소, 피부의 노화를 방지, 심혈관 질환률 감소, 항균·항당뇨 및 항암 효과가 뛰어나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화학적 합성물질이나 약물과 비교하여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로즈힙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로즈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으며, 로즈힙은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다양한 질환을 예방 및 개선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고내후성 활엽수종의 추출성분을 이용한 신기능성 물질의 분리 및 생리활성 (Bioactivities and Isol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from Decay-Resistant Hardwood Species)

  • 배영수;이상용;오덕환;최돈하;김영균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93-101
    • /
    • 2000
  • 아까시나무의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물푸레나무 및 느릅나무의 수피를 채취하여 아세톤-물 혼합용액(7:3, v/v) 으로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수용성으로 분획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조제한 후 메탄올-물 등의 용리용매로 Sephadex LH-20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물푸레나무에서는 aesculitin 및 그 파생물인 fraxetin 등 다량의 쿠마린 화합물과 에스테르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느릅나무로부터 C-7에 xylopyranose와 apiofuranose와 같은 5탄당이 결합된(+)-catechin 배당체 화합물과 procyanidn B-3를 단리하였다. 아까시나무에서는 leucorobinetinidin의 C-4에 ethoxyl 기가 결합된 flavan 유도체 화합물과 robinetin 등의 flavanonol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현사시나무에서는 taxifolin 등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배당체인 sakuranetin-5-O-glucopyranoside를 단리하였으며 살리신 유도체인 salireposide 등을 단리하였다. 내후성 시험에서는 목재블록에 부후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후 중량감소를 측정하는 방법과 목분-agar 배지에 부후균을 접종한 후 균사의 생장 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아까시나무가 다른 시룓르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메탄올 추출머리를 하지 않은 시료가 처리한 시료보다 좋은 균사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시험에서는 물푸레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아까시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도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두 분획으로부터 단리된 주요 단리화합물에 대해서는 물푸레나무의 aesculetin이 가장 높았으며 아까시나무의 robinetinidin도 비교적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나 틈새시장(niche market) 마케팅 등에 적용 가능하리라 여겨진다.된다.다.산물로 판단되었다.징하며 WLWQ에 적용되는 몇 가지 제약을 관찰하고 이를 일반적인 언어원리로 설명한다. 첫째, XP는 주어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XP가 목적어 혹은 부가어 등 다른 기능을 할 경우 생략 부위가 생략의 복원 가능선 원리 (the deletion-up-to recoverability principle)를 위배하기 때문이다. 둘째, WLWQ가 내용 의문문으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양의 공리(the maxim of quantity: Grice 1975) 때문이다. 평서문으로 해석될 경우 WP에 들어갈 부분이 XP의 자질의 부분집합에 불과하므로 명제가 아무런 정보제공을 하지 못한다. 반면 의문문 자체는 정보제공을 추구하지 않으므로 앞에서 언급한 양의 공리로부터 자유롭다. 셋째, WLWQ의 XP는 주제어 표지 ‘는/-은’을 취하나 주어표지 ‘가/-이’는 취하지 못한다(XP-는/-은 vs. XP-가/-이). 이는 IP내부 에 비공범주의 존재 여부에 따라 C의 음운형태(PF)가 시성이 정해진다는 가설로 설명하고자 했다. WLWQ에 대한 우리의 논의가 옳다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기닌다. 첫째, WLWQ의 존재는 생략에 대한 두 이론 즉 LF 복사 이론과 PF 삭제 이론 중 전자의 입장을 지지한다. 둘째, WP를 XP로부터 복원할 때 부분 자질만 복사된다. 이는 어휘가 통사층위로 들어온 이후에도 어휘 자질들이 완전히 동결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지시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ance and stress, and high threshold voltage. Besides, sheet resistance and stress value, rms(root mean square) by AFM were observed. On the electrical

  • PDF

높은 아치형 지중강판 구조물의 시공 중 거동 분석 (Behaviors of the High-profile Arch Soil-steel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 이종구;조성민;김경석;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1-84
    • /
    • 2003
  • 지중강판 구조물은 강판부재 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에는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그 주변을 양질의 흙으로 뒷채움하여 주변 흙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한다. 그러나, 구조물 측면을 뒷채움할 때나 최소토피고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활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강판부재내에 과도한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설계기준에서는 허용변형량을 제시하여 시공 중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Duncan(1979)과 McGrath 등(2001)은 강도해석법을 제안하여 시공 중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강판의 소성강도 이내로 제한하고 있지만, 허용변형량은 경험적으로 규정한 값이고 강도해석에 의한 구조 안정성 검토는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되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하여 실험적 검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높은 아치형 구조물에 대한 실규모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시공 중 거동과 활하중에 대한 하중지지 거동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시험시공 구조물의 허용변형량을 '높이의 1.45%' 로 추정할 수 있었는데 이는 설계기준의 허용값인 '높이의 2%' 보다 작은 값이었다. 또한, 계측결과를 Duncan과 McGrath 등이 제안한 강도해석결과와 비교하여 Duncan은 성토하중에 의한 모멘트는 과소평가하고 활하중 모멘트는 과대평가 하지만 McGrath 등은 두 값을 모두 실제와 근접하게 예측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방법에 의한 소성힌지에 대한 안전율은 실제 안전율과 잘 일치하여 두 방법 모두 시공 중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대한 구조 안정성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나 길항력(6.4 ㎜)은 남아있었다. 또한 분자량 10kDa 이하의 분획에서는 chitinase 활성은 없으나 길항력(5.2㎜)은 나타내었고, 80℃에서 열처리하여도 길항력(5.0mm)이 남아있어 효소 이외 다른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catech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건조 및 처리 온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tier taste and the Doenjang with P. japonica Powder had the least sweet taste. In th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e Doenjang with P. japonica powder was the lowestEX>로 측정되었고, 계사내 지붕의 표면 온도는 최고 $29^{\circ}C$가 측정되었다. 계사 내 표면 온도 및 닭의 표면 온도는 계사내 공기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ill in a good agreement with those predicted by Rohsenow's formula, which was based on nucleate boiling. For the condenser, the wall temperatures were practically uniform, and the measured values of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1.7 times

유용미생물에 의한 저이용 산채류의 복합발효 중 생리활성 성분 및 항염증 변화 (Changes in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underutilized wild vegetables by complex fermentation using beneficial microorganisms)

  • 심상협;최하경;이다은;나수창;황대일;오효빈;임이택;김태영;김대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87-297
    • /
    • 2024
  • 저이용 임산자원으로 보고된 꾸지뽕 및 돌배를 이용하여 koji, yeast, LAB을 통한 단일 및 복합 발효를 진행하였고, 복합발효를 이용하는 것이 생리활성물질 전환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폐 및 기관지에 효능이 있다고 밝혀진 더덕 및 도라지와 혼합하여 국균 및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복합발효물의 기간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pH와 총산도는 발효초기부터 24일 차까지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고, 반면 °Brix와 고형분 함량은 6일 차에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Phenolic compound를 분석한 결과로 chlorogenic acid, 4-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caffeic acid는 발효초기(각 5.43±0.16 ㎍/mL, 12.30±0.17 ㎍/mL, 6.79±0.19 ㎍/mL, 28.14±0.87 ㎍/mL)부터 18일 차까지(각 29.81±0.30 ㎍/mL, 34.22±0.13 ㎍/mL, 28.86±0.50 ㎍/mL, 45.65±0.26 ㎍/mL)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ferulic acid, taxifolin, cinnamic acid, quercetin은 12일 차까지 증가하다가(각 23.22±0.67 ㎍/mL, 11.55±0.26 ㎍/mL, 0.84±0.01 ㎍/mL, 1.63±0.02 ㎍/mL) 18일이 지나면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각 17.74±0.19 ㎍/mL, 6.80±0.09 ㎍/mL, 0.72±0.01 ㎍/mL, 1.81±0.02 ㎍/mL).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활성(DPPH, ABTS)은 발효 초기부터 18일 차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4일부터는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항산화활성이 높은 성분인 chlorogenic acid, 4-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및 caffeic acid의 함량 변화와 비슷한 경향으로 phenolic compound에 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O 생성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발효초기보다 6일 차 때 NO의 생성이 급격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55.1% to 87.7%), 그 후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 양상 실험에서도 역시 6일 차 이후로 iNOS, COX-2, TNF-𝛼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꾸지뽕, 돌배, 더덕 및 도라지를 혼합하여 유용미생물(koji, yeast, LAB)을 이용해 복합발효를 했을 시, 12-18일 사이에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저이용 임산자원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