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k preference inventor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또래추천을 통한 초등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가능성 탐색 (Investigation of the Possibility for Identification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Peer Recommendation)

  • 안현주;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577-595
    • /
    • 2014
  •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법으로서 또래추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재 선발에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있는 D초등학생 4, 5, 6학년 학생 355명과 J초등학생 4, 5, 6학년 학생 165명과 각 반의 담당 교사 16명이다. 연구를 위해 또래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간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선호검사에서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들 간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 선호는 또래추천 학생이 미추천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하위영역별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는 창의적 인성의 심미성을 제외하고 모두 또래추천 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학년별 또래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들 간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과제 선호검사에서는 5, 6학년은 모두 또래 추천 학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4학년 학생은 창의적 인성을 제외하고 또래추천 학생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 및 또래로부터 모두 추천받은 학생과 교사 추천만 받은 학생의 창의적 인성, 성취동기,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 선호를 비교해 보았을 때, 동료 및 교사 모두에게 추천받은 학생이 교사에게만 추천받은 학생보다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선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초등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또래 추천 방법은 교사추천을 보완하는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문간호실무를 위한 조직환경과 간호사의 근무의욕간의 관계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Nurses' Task Motivation)

  • 강소영;엄영란;한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3-36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a) describing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embedded in nursing care units and (b) examining its relationships to nurses' task motivation. Method: Using the Nursing Work Index Revised (NWI-R) and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WPI),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20 registered nurses on 26 nursing care units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Result: Mean scores were 12.9 on a 5-20 score range of an autonomous environment scale, 7.3 on a 3-12 score range of a collaborative environment, and 15.8 on a 7-28 score range of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 Nurses' age, educational level, job position, working period at the hospital and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The extent to which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accounted for task motivation was $19.5\%$. Conclusion: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professionalism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that nurses perceived within the nursing care units. When nurses care for patients, the degree of task motivation depends on the work environment supporting the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대학병원 간호부서의 조직창의성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t Nursing Care Units of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 강소영;서영준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20
    • /
    • 2004
  •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t nursing care units of university hospitals. Using some items of the Creative Nursing Practice Index(CNPI), the Nursing Work Index-Revised(NWI-R), and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WPI),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543 nurses at 49 nursing care units in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ata collected from the individual respondents were aggregated and transformed into the secondary data at organizational leve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rganizational creativity has positive relationships to task motivation, including enjoyment and challenge to work, and work environment supporting nurses' autonomy and collaboration. Task motivation of the units and autonomous work environment explained 16.3% and 7.9% respectively in the variance of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rganizational crea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hallenge and autonomous environ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nursing managers should make an effort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f nursing units by motivating their staff to challenge to a novel way of doing at work and making the work environment more autonomous.

  • PDF

창의수업활동이 대학생의 학업동기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NFTM-TRIZ 창의 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Effects of Creativity Instruction Activities on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 Based on NFTM-TRIZ Creativity Education Model)

  • 김훈희;최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277-286
    • /
    • 2015
  • 본 연구는 창의수업활동이 대학생의 학업동기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및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학기 동안 NFTM-TRIZ 창의 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한 창의 교양 수업을 수강한 대학교 1, 2, 3, 4학년 남 녀 학생들 73명이었다. 측정도구는 학업동기 검사의 자기효능감 척도와 실패내성 척도, 진로성숙도 검사의 태도척도를 활용하여 15주 수업 전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을, 분석 방법은 백분율, t-검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첫째, 창의수업활동은 대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선호수준, 진로 결정성과 타협성 등에서 유의미한 효과(p<.01)가 있었다. 둘째,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 두 변인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p<.05)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시사점,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