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raxacum platycarpum 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민들레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Taraxacum platycarpum D. Leaves Using Hericium erinaceum Mycelia)

  • 김연숙;정미연;유범석;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는 민들레잎을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후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별 및 발효 전과 발효 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량, 염증관련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민들레잎을 발효한 후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항염증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NO 생성 및 iNOS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항염증 소재로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포공영 클로로포름 분획의 김치 유산균 및 효모에 대한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hloroform Fraction Extracted from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 김진희;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0-566
    • /
    • 2001
  •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한약재 21 종에서 깍두기의 보존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약재를 선별하고 효과가 우수한 한약재를 용매분획하여 김치 유산균 및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포공영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은 5 균주 중 Leu. mesenteroides와 S. faecalis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별 항균활성은 E. faecalis는 80 mg/mL의 농도에서 배양 24시간까지 균증식이 억제되었으며, Leu. mesenteroides는 배양 24시간, L. plantarum는 배양 12시간까지 억제되었다. L. brevis는 포공영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에서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효모인 S. cerevisiae는 20 mg/mL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오히려 촉진되어 세균에 비해 저해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포공영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로 처리한 Leu. mesenteroides와 E. faecalis 두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두 균주 모두 형태학적인 변화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유식물 절편으로부터 부정아 발생에 미치는 auxin과 cytokinin의 영향 및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and Effect of Auxin and Cytokinin on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from Seedling Explant of Taraxacum platycarpum)

  • 이미현;윤의수;정수진;배기화;서진욱;최용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11-115
    • /
    • 2002
  •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는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실험에서는 민들레로부터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정아 유도에 있어서 적절한 생장조절제와 그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auxin (2.4-D, NAA) 또는 cytokinin (BAP, kinetin, 2-ip)을 단독, 조합처리 하였다. Cytokinin 단독 혹은 auxin과 조합처리시 부정아가 유도되었는데 이 중 2mg/L BAP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ytokinin 단독처리시 종류에 따라 부위별 부정아 형성률이 다르게 나타나며, 민들레의 경우에는 특이하게 뿌리 절편에서 자엽과 배축 절편보다에서 부정아 형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auxin을 cytokinin과 조합처리한 경우에는 cytokinin 단독처리시보다 뿌리 절편에서 부정아 형성률이 급격히 떨어졌다. 반면 자엽 부위로부터 부정아 형성률은 크게 증가되었다. 부정아로부터 부정근의 유도는 0.2mg/L NAA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인공배양토의 순화과정에서 93%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비무균상태의 마사토에서 100%생존함으로써 기외의 포장이식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민들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Taraxacum platycarpum D.))

  • 한영실;김건희;민경찬;이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2-829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 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는 98.43% 억제하였다. 그리고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통해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3번째 3rd fraction의 항균력이 가장 높아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4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의 3번째 3rd fraction을 먼저 HPLC로 분리하여 얻은 peak II로부터 $^{l}H-NMR$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 되었다.

  • PDF

Skin Hyd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of AF-343 in HS68 Cell Line and NC/Nga Mice by Filaggrin Expression and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reteinase

  • Cho, Jae-We;Jeong, Yeon-Su;Han, Ji-Won;Chun, Young-Jin;Kim, Hyun-Kyu;Kim, Min-Young;Kim, Beom-Joon;Park, Ki-Moon;Kim, Jong-Keun;Kim, Jae-Hyun;Cho, Soo-Mu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225-229
    • /
    • 2011
  • Extract of Taraxacum platycarpum (AF-343) has been reported to have several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skin hydr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lthough clinical evidences of skin hydr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 were proven in clinical trial, precise mechanism of skin hydration was not fully understood yet.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skin hydration mechanism related filaggrin, collage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in vitro and animal study. Herein, skin hydration mechanism of AF-343 is due to recovery of filaggrin in mice model and increased production of collagen with suppression of matrix MMP in vitro fibroblast cell line.

생약재 추출물로부터 주름 개선 소재의 발굴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의 안정성 시험 (Screening of Anti-wrinkle Resource from Herbal Medicinal Extracts and Stability Test of Its Cosmetic Products)

  • 조은아;조은혜;최선주;박근형;김소영;정윤주;구창섭;하병집;장동일;채희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6-135
    • /
    • 2011
  • Various herbal medicinal extracts were examined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with anti-oxidative and anti-wrinkle activity. First,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erbal medicinal extracts were measured. Most herbal samples, except for DW extracts of Portulaca oleracea, Caesalpinia sappan, Taraxacum platycarpum, Carthamus tinctorius, and 70% EtOH extracts of Taraxacum platycarpum and Carthamus tinctorius,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ver 80% at a concentration of $400{\mu}g/m{\ell}$. SOD-like antioxidant activity of DW extracts of Syzygium aromaticum, DW extracts of Eriobtrya japonica and 70% EtOH extracts of Sophora japonica was measured as 40%, 35% and 80%, respectively at a dry matter concentration of $50{\mu}g/m{\ell}$. In elastase inhibition assay, DW extracts of Lycium chinense ($50{\mu}g/m{\ell}$) and 70% EtOH extracts of Areca catechu ($50{\mu}g/m{\ell}$) showed 50% and 40% of inhibition,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250{\mu}g/m{\ell}$, DW extracts of Lycium chinense and 70% EtOH extracts of Areca catechu showed 10% and 30% of collagenase inhibition, respectively. Skin and lotion samples were prepared using the two herbal extracts of high anti-wrinkle activity: Lycium chinense extract and Areca catechu extract. The storage stability of skin and lotion containing each of the selected herbal extracts was evaluated. pH and viscosity were used as stability indicators for the stability test unde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freeze-thaw cycle conditions. The skin and lotion containing each of DW extract of Lycium chinense and 70% EtOH extract of Areca catechu was showed high pH and viscosity stability. The skin and lotion containing DW extracts of Lycium chinense showed relatively higher stability than the skin and lotion containing 70% EtOH extract of Areca catechu, at cycle chamber and freeze-thaw conditions. In summar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smetics containing DW extract of Lycium chinense were relatively stable, and this herbal extract could be used as a stabl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민들레 첨가가 국수와 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delion on the Extention of Shelf-life of Noodle and Rice Cake)

  • 김건희;전희정;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26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의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한 결과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 는 98.43% 억제하였다. 민들레가 첨가된 국수와 떡은 대조군에 비하여 미생물의 집락이 적게 생겼으며 특히, 민들레를 5% 첨가한 국수에서는 24시간까지 미생물의 증식을 보이지 않았다. 민들레를 첨가한 국수의 관능적 특성은 민들레 3% 첨가군이 색과 촉촉한 정도에 대하여 가장 기호도가 좋았고 특히 씹힘성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떡의 경우는 색, 향, 씹힘성 및 전체적인 바람직한 정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P<0.05)가 있었고 3% 첨가군이 대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 PDF

민들레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데치기 효과 (Effect of Blanch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Kimchi)

  • 박인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199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nch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Kimchi.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BT-group (dandelion was blanched in the $3\%$ brine for 15 seconds at $100^{\circ}C$, then salted in $8\%$ brine for 5 hours) and NT-group (dandelion was salted at $8\%$ brine for 5 hours). Changes in pH, acidity, color, number of total microbe and lactic acid bacteria,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qu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at $10^{\circ}C$. The pH of the BT- and NT-Kimchi maintained higher than 4.1 for 21-days fermentation, but that of BT-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NT-Kimchi. And also, the titrable acidity of BT-Kimchi was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NT-Kimchi. $L^\ast\;value\;and\;b^\ast$ value of BT-Kimchi were higher, while $a^\ast$ value of BT-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NT-Kimchi.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otal microbial count between BT- and NT-Kimchi, while number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BT-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BT-Kimch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BT- and NT-group during the fermentatio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the dandelion Kimchi, toughness, color, flavor and overall quality were good in the BT-Kimchi, while the bitter taste showed relatively strong in the NT-Kimchi.

  • PDF

소금절임 조건이 민들레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ing Conditions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Kimchi)

  • 김미향;김순동;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42-1148
    • /
    • 2000
  • 소금절임 조건이 민들레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절임 민들레의 품질은 5% 염도에서는 16시간, 10%에서는 8시간 15%에서는 4시간 절임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염도별로는 10% 경우가 5 및 15% 경우보다 양호하였다. 그러나 다같이 쓴맛이 제거되지 않았다. 쓴맛의 제거는 10% 염도로 4일간, 1일 1회 염수를 교환함으로서 제거되었다. 10%의 소금물로 8시간동안 절임한 것(short-time salting: SS)과 동일 염도로 4일동안 절이면서 소금물을 1일 1회 교환한 것(long-time salting: LS)으로 구분하여 절임한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품질을 비교한 결과, SS 김치는 숙성 중 낮은 pH를 유지하였고 산도, 환원당와 비타민 C 함량 및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높아 LS 김치보다 숙성이 촉진되었다. 환원당 및 비타민 C 함량과 미생물의 수 및 관능검사 결과로 평가한 최적 숙성일은 SS 김치의 경우는 숙성 40일째였으나 LS김치는 50일째 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