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p Water Use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183 seconds

방사성이온으로 오염된 물의 역삼투막공정을 이용한 이온제거 (Ions Removal of Contaminated Water with Radioactive Ions by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

  • 신도형;정성일;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6권5호
    • /
    • pp.401-4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역삼투막공정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 저준위 방사성이온인 세슘과 요오드 이온을 제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역삼투막모듈 두 가지와 그리고 폐모듈 세정한 후 세슘과 요오드 이온에 대한 제거성능을 비교하였다. 공급수의 농도와 압력을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세 가지 모듈 모두 세슘에 비해 요오드의 제염계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세정한 모듈은 요오드에 대한 제염계수가 1140으로 확인되었다. 대체적으로 실험조건이 고압일 때보다 저압일 때 제염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저압조건에 가까운 압력을 갖는 수도수에 직접 모듈을 설치할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또한 EDTA와 SBS, NaOH, 마이크로버블 등을 사용하여 세정한 막의 제염성능이 세정 전의 제염성능보다 높아졌으며 저압, 저농도 조건에서 요오드에 대한 회수율이 세정 후에 6.3%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수돗물중 소독부산물(DBPs)의 생성 및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Disinfection of By-Products in Drinking Water)

  • 인치경;이중호;이인숙;방은옥;송현실;윤선진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국제학술대회
    • /
    • pp.263-272
    • /
    • 2005
  • Chlorine disinfection has been used in drinking water supply to disinfect the water-borne microbial disease which may cause to serious human disease. it is still the least costly, relatively easy to use, Chlorination is the primary means to disinfect portable water supplies and control bacterial growth in the distribution system. However, chlorine reacts with natural organic matter(NOM), that presents in nearly all water sources, and then produces disinfection by-products(DBPs), that have adverse health effects. Although the existent DBPs have been reported in drinking water supplies, it is not feasible to predict the levels of the various DBPs due to the complex chemistry reaction involved. 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 difference concentration of DBPs in the plant to tap wa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HMs was 20.04 ${\mu}g/{\ell}$ , HAAs 8-15 ${\mu}g/{\ell}$ , HANs 2-4.5 ${\mu}g/{\ell}$ respectively. 2. Distant variation of DBPs furmation by the distance is that THMs concentration increased by 17% at 2km point from the plant and by 28% at 7km and HAAs, HANs also increase each by 16%, 32% at 2 km from the plant and 35%, 56% at 7 km. DBPs increase in water supply pipe continually, 3. The seasonal occurrence of BBPs is that in May and August DBPs concentration is very higher than in march, in May DBPs concentration is highest. The temperature is main factor of DBPs formation, precursor also. 4. Precursor which was accumulated for winter flowed into the raw water by flooding in spring and summer and produced DBPs. 5. Therefore for the supply of secure drinking water, it is required to protect precursor of flowing into raw water and to add to BCAA and DBAA to drinking water standards.

  • PDF

불소자가도포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WEEKLY SELF APPLICATION WITH SODIUM FLUORIDE SOLUTION)

  • 정인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6권8호통권111호
    • /
    • pp.619-624
    • /
    • 1978
  • The use of mouth-rinses containing sodium fluoride after tooth brushing has been proposed as a potentially useful measure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in the practice of public health. About 700 middle school girls rinsed their mouths in the school once a week with sodium fluoride sodution after tooth-brushing. Tooth brushing was practiced everyday after meals and the rinses were carried out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teachers. The procedure consisted of gargling 10cc of fluoride solution for one minute and immediately followed by a second rinse with tap water. The rinsing was started in May 1976 and continued for one yea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hibition of the 'D' Person rate was 76.04%, 'M' person rate was 80.79%, 'F' person rate was 4.06% and, 'D.M.F.' person rate was 76.86%. 2) the reduction of the 'D.T.' Index was 81.94%, 'M.T.' Index was 85.71%, 'F.T.' Index was 7.69% and, 'D.M.F.T.' Index was 76.83%. 3) Mouth rinsing with 0.3% NaF solution and tooth brushing are of value in the mass control of dental caries.

  • PDF

수용성 키토산분해물질을 침지액으로 이용한 두부의 저장성 증대 (The Extension of Tofu Shelf-Life with Water-Soluble Degraded Chitosan as Immersion Solution)

  • 전기환;김병용;손태일;함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76-481
    • /
    • 1997
  •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두부침지액으로 일반 시중 두부공장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멸균증류수, 0.5% 키토산 분해물질, 0.5% fumaric acid, 0.5% lactic acid를 사용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하면서 pH와 탁도, 그리고 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을 첨가한 침지액의 경우 총균수가 21일 저장시 $10^{7}\;CFU/mL$에 달해 다른 침지액에 비해 7일에서 14일의 저장기간 연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초기 오염 미생물의 lag phase가 다른 군에 비해 상당히 길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Yeast와 mold, 그리고 E. coli의 경우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0.5% 키토산 분해물질 첨가 침지액의 경우가 다른 침지액의 경우보다 증가율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의 항균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초기 pH는 0.5% fumaric acid와 lactic acid의 경우 pH 4.68과 pH 5.12로 상당히 낮았으며, 수돗물과 멸균증류수, 0.5% 키토산 분해물질 첨가 침지액에서는 pH 7.2로 비슷하였고, 저장 초기에 약간 감소하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의 변화는 미생물상의 변화와 연관시켜 두부가 부패된 것으로 간주되는 총균수 $10^{7}\;CFU/mL$이상에서 0.2를 초과해 탁도가 두부부패정도를 파악하는 한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항균성을 가지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을 첨가한 두부 침지액의 개발은 두부의 저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기분해수로 코로나방역용 마스크의 세정에 관한연구 (On a Cleaning of COVID-19 Prevention Masks with Electrolytic Decomposition Water)

  • 전지행;배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591-596
    • /
    • 2022
  • WHO에서 다양한 코로나19 방역지침과 국가별로 조치가 취해지고 있지만, 확진 자는 크게 감소되지 않고 있다. 개인의 비말을 통해 코로나가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언제 어디서나 마스크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렇지만 마스크에 들어온 바이러스세균들이 증폭되면서 마스크를 오염시키고, 역겨운 냄새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시간 사용한 마스크에 유입된 코로나세균을 치과용 가걸 수의 스프레이로 마스크를 살균하는 방법으로 코로나전파를 예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치과용 가걸 수는 보통 수돗물의 전기 분해로 생성되는데, 물에 녹아있는 불안정 상태의 이온 수(HOCl)가 각종바이러스의 세포장벽에 침투하여 그 핵의 작용을 무산시켜 물의 자정작용을 일으킨다. 실험결과 장시간 사용한 마스크를 가걸 수의 스프레이로 세척하였을 때, 세척된 마스크는 10분 후에 건조되었고, 바이러스 비말이나 침 냄새가 거의 사라졌다. 특히 마스크세정에 참여한 피험자들에게 그 착용감을 MOS테스트한 결과 평균 4.4로 우수하게 얻어졌다. 따라서 마스크가 1회 용이었지만, 하루에 2회 이상 제안한 방법으로 스프레이 세척하게 되면, 그 마스크를 1주일 이상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Candid albicans 바이오필름에 대한 전기분해 수소수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effect of electrolyzed hydrogen water on Candida albicans biofilm)

  • 표경열;유연승;백동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12-220
    • /
    • 2015
  • 목적: Candida albicans는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서 점액질환을 야기하며, 의치성 구내염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기 분해 수소수는 금속 전극을 통해서 전기를 흘려 전기분해 한 물이며, 구강세균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칸디다 바이오필름에 대한 전기 분해 수소수의 항진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C. albicans는 발아세포 및 균사형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부로포도당 액체배지 및 F-12 영양 배지를 이용하여 호기상태 및 5%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각각 배양하였다. 여러 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수돗물을 전기분해 한후에 발아세포 형태와 균사형태의 칸디다를 전기분해 수소수로 처리하였다. 결과: 사부로포도당배지와 F-12 영양배지를 이용하여 칸디다를 배양하였을 때, 각각 발아세포 형태와 균사 형태를 보였다. 전기 분해 수소수는 발아세포 형태의 C. albicans에 대해서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칸디다 바이오필름에 대해서도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여러 종류의 금속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수소수중에 백금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수소수만 항진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백금 전기분해 수소수는 구강 칸디다증과 의치관련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한 구강 청결제로 사용 가능 할 것이다.

납 중금속 검출을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및 네모파 양극 벗김 전압전류법 이용 (Use of Carbon Nanotube Electrode and Squarewave Anodic Stripping Voltammetry for the Detection of Lead Heavy Metal)

  • 최장군;석종혁;권용재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505-50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뇌와 신경계통에 나쁜 영향을 주는 납 중금속의 식용 수에서 검출을 쉽게 하기 위해 새로운 탄소나노튜브전극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제작된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여 증류수와 수돗물 상태에서의 납이온의 민감도 및 검출한계농도를 네모파 양극 벗김 전압전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납이온의 농도 25~150 ppb의 범위에서 탄소나노튜브전극에 의한 납이온의 민감도 및 이론적으로 계산된 검출한계농도는 이온수에 근거한 0.1 M 황산전해질에서 $12.85\;{\mu}A/{\mu}M$ 및 26 ppb, 수돗물에 근거한 황산전해질에서 $10.36\;{\mu}A/{\mu}M$ 및 38 ppb이었다. 실험적으로 납의 검출한계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증류수 및 수돗물에 근거한 전해질에서 그 값은 4 ppb 및 10 ppb를 나타내었다. 또한, 납의 벗김 반응은 순환 전압 전류법 분석에 의해 표면반응에 의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납 민감도는 다른 참고문헌들에 의한 값들과 비교되었고 그 결과 본 연구에 의한 납 분석결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Estimation of Multi-Route Exposure and Aggregated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nd Lead)

  • 유창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7-601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

살균소독제가 다채 어린잎채소(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의 수확 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on the Quality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ves)

  • ;김지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5
    • /
    • 2011
  • The demand of packaged baby leaves has been increased for its convenient use as fresh-cut produce.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on the quality parameters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ves. Thirteen days old baby leaves were harvested and washed in tap water (TW), 100 ppm chlorine solution (Cl), 2 ppm ozonated water ($O_3$), 15 ppm chlorine dioxide solution ($ClO_2$) and washing with 0.2% citric acid solution followed by 50% ethanol spray (CA+Et). The samples were then packaged in 50 ${\mu}m$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circ}C$ for 10 days. Off-odor of packaged baby leaves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parameters among the treatments. Samples treated with $O_3$ showed substantially higher electrolyte leakage throughout the storage. This treatment also rendered a higher accumulation of $CO_2$ in the packages. Samples treated with Cl and CA+Et maintained good overall visual quality with higher scores compared to that of $O_3$ and $ClO_2$. Although Cl treatment showed lower number of total aerobic count at the beginning of storage, citric acid in combination with ethanol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until the end of storage. The combined treatment also showed comparatively lower coliform plate cou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citric acid wash followed by ethanol spray could be an alternative to chlorine for environment friendly sanitization of baby leaves.

대용량 유도기 기동 특성 모델링 및 전략적 기동 방법에 관한 연구 (Modeling and Strategic Startup Scheme for Large-Scaled Induction Motors)

  • 정원욱;신동열;이학주;윤기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48-757
    • /
    • 2007
  • 본 논문은 대용량 유도전동기가 기동할 때 발생하는 큰 돌입전류로 인해 PCC(Point of Common Coupling)에 심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게 되어 기동에 실패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특성과 배전계통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유도기 기동시에 전압저하 현상을 해석하였다. 문제가 되는 유도전동기는 2500KVA 용량의 펌프용 농형 유도전동기로 리액터 기동법을 채용하고 있다. 2500KVA 유도전동기 한대의 기동에는 문제가 없으나 기동 완료 후 PCC 전압이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추가로 동일 용량의 유도전동기가 기동하게 되면 PCC의 심한 전압강하로 기동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실제 기기의 기동시 토크-속도 곡선을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기동 특성을 정확히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두 대의 대용량 유도전동기가 순차적으로 기동에 성공할 수 있는 적절한 전압보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논의되는 대용량 유도전동기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취수장에서 운전되고 있으며 대상 유도전동기 및 배전계통은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