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nic-acid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4초

Comb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Quercus infectoria Galls and Scrophularia striata Aerial Parts for an Anticariogenic Herbal Mouthwash

  • Pooya Falakdin;Dara Dastan;Shabnam Pourmoslem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4-52
    • /
    • 2023
  • Objectives: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human diseases worldwide. The disease initiates with bacterial adherence to the tooth surface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dental plaques. Mutans streptococci and Candida albicans are principal oral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Phytochemicals have been shown to possess promising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a wide range of microorganisms and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Herein, we reviewed literature on plants that are traditionally used for their antimicrobial properties or possess promising anticariogenic activity. We selected aerial parts of Scrophularia striata (S. striata) and galls of Quercus infectoria (Q. infectoria) and investigat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riogenic microorganisms. Methods: Water soluble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hydroalcoholic extracts of S. striata and Q. infectoria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S. sobrinus), and Candida albicans (C. albicans) was evaluated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The extracts were then used for preparing an herbal mouthwash whose stability and tannic acid content were evaluated over 60 days. Results: Q. infectoria gall extract possesses effici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synergistically enhanced in the presence of S. striata extract. Mouthwash prepared using these extracts showed desirabl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Conclusion: Extracts of S. striata and Q. infectoria galls can be used together for preparing dental products with effective anticariogenic properties. Our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tensive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when using herbal produc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chemical substances.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 and Liposome Containing Cell Penetrating Peptide)

  • 안규민;박수인;김민기;허수현;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85-699
    • /
    • 2019
  •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및 화장품 성분으로의 응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실험 및 제형별 피부 침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118.83{\pm}9.39mg/g$,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에서 $106.89{\pm}4.45mg/g$로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500 mg/L의 농도에서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74.39{\pm}7.48%$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SOD 유사 활성능은 1,000 mg/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이 $91.62{\pm}0.43%$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후 실험으로부터 항산화, 주름 개선,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배나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균소재로서의 실현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은 Formulation 2($55.45{\mu}g/cm^2$), Formulation 1($46.43{\mu}g/cm^2$), Formulation 0($34.36{\mu}g/cm^2$)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리포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이 Formulation 5($75.01{\mu}g/cm^2$), Formulation 4($64.01{\mu}g/cm^2$), Formulation 3($36.60{\mu}g/cm^2$)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배나무 잎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주름개선의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침투 결과를 통해 향후 화장품 산업에 긍정적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애사과의 Polyphenol 함량 변화 (Changes of Polyphenol Contents in Unripe Apples According to Heat Treatments)

  • 이정준;김창식;김성훈;허철성;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7-152
    • /
    • 1999
  • 후지와 아오리 애사과의 기능성 물질인 폴리페놀 화합물을 HPLC로 분리 확인하고, 열처리 조건에 따른 폴리페놀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후지와 아오리 애사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서 각각 14.1, 13.5%이며 pH와 $brix^{\circ}$는 3.2와 8.0으로 낮게 나타났다. (+)-Catechin,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tannic acid가 폴리페놀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확인되었다. Folin-Denis 방법에 의해 후지와 아오리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각각 0.11%와 0.12%으로 나타났다. HPLC에 의한 4가지 주요 폴리페놀 화합물을 정량한 결과, 후지는 0.06%, 아오리는 0.07%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후지가 아오리 보다 약 3배 이상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열침에 의해 폴리페놀의 면적백분율이 후지는 3.54% 정도 증가하였지만, 아오리는 2.93% 정도 감소하였다. 살균에 의해서는 후지와 아오리에서 각각 1.39, 3.31% 정도 폴리페놀의 면적백분율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저장 중의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열침과 살균을 거친 애사과에서만 폴리페놀 함량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농축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는 $brix^{\circ}$가 증가함에 따라 농축에 의한 손실없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참나무류(類) 칩을 이용(利用)한 표고버섯 재배(栽培) (On the Mushroom Cultivation of Oak(Quercus spp.) Chip)

  • 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7-14
    • /
    • 1993
  •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mushrooms and the economic efficiency of mushroom cultivation, the pinchips(PC) and sawdusts(SD) of three Korean oak species were tested as cultivating media for Lentinus edodes with varing the composition of the med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rganic acids(tannic acid and citric acid), which were added in the PC medium to enrich the quality of mushrooms, did not increase the growths of the mycelia and the quality. 2. The mushrooms were able to be harvrested from six months after beginning the cultiv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qualities of the mushrooms produced by various treatments. 3. The production rate of mushroom was relatively high with, 28.4~29.3% (700~730gr./2,500gr pack). The net profit estimated was about 1,450 won per pack.

  • PDF

Effect of Cross-Linking Agents on L-Sorbose Production by Immobilized Gluconobacter suboxydans Cells

  • PARK, YOUNG-MIN;SANG-KI RHEE;EUI-SUNG CHOI;IN SIK CH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696-699
    • /
    • 1998
  • Biological oxidation of D-sorbitol to L-sorbose using permeated and immobilized cells of Gluconobacter suboxydan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The stabilization effect of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utaraldehyde, tannic acid, and polyethylene imine to prevent the leakage of enzymes from beads containing permeated and immobilized cells of G. suboxydans was examined by the production of L-sorbose from the mixture of D-sorbitol and gluconic acid. The protein concentration effused from immobilized beads treated with only glutaraldehyde was $5.2\mug/m\ell$ after 20 h. The beads of G. suboxydans immobilized with alginate and cross-linked with 0.3% glutaraldehyde was the most useful for the oxidation of D-sorbitol to L-sorbose.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arious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 Choi, Hae-Yeon;Jung, Kyung-Hee;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1051-105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The total phenolic contents in leaf, stem, and root were 165, 74, and 30 tannic acid equivalent mg/g of dried extract or fraction respectively. The butanol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lotus parts showe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e similar result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its fraction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황백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 (Dyeing of Silk Fabric with Amur Cork Tree)

  • Kim, Byung Hee;Cho, Seung Sik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6-33
    • /
    • 1996
  • The berberine from Amur cork tree is natural yellow dye and can be extracted more easily by water. The berberine is basic dye and was extracted at 90-95$^{\circ}C$.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K/S value in the abstract of dye was increased by time-elapsing, but the reasonable time was between 90-120min. 2. The reasonable weight of Amur cork tree in the abstract of dye was between 10-20 g/L. 3. We obtained various colors in case of using mordants. ―In case of 10g/L and 20g/l, the reasonable value of mordant was 5-10%(owf). and in case of using tannic acid and $FeSO_{4}$ we could obtain high K/S value. 4. &{\lambda}_{max}& of UV spectra was shown 420nm. 5. Genarally fastness of drycleaning indicated more than grade 4. but it of perspiration was more stable in acid than alkali.

  • PDF

홍화를 이용한 매염 및 가공처리 직물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ye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Mordanted and Finished Fabrics Dyed with Natural Dye of Safflower)

  • 안경조;김정희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31
    • /
    • 2001
  • To improve the dyeability and colorfastness of cotton and silk fabric dyed with natural dye of safflower,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pre-treated with different mordants such as halliic-acid, alum, brine and tannic-acid.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nishing treatment of fabrics on dyeability, cotton was treated with chitosan and mercerized before dyeing. L, a, b, ΔE and colorfastness(light, Laundry, sweat) of each samp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Mordant treatment didn't improved significantly dyeability and colorfastness on cotton and silk. But, on cotton mercerization and chitosan treatment improved dyeability and colorfastnes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extracted dye and Powered dye, extracted red dye of safflower prepared as powder. Cotton and silk were dyed with dyeing solution which made with powdered dye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 Efficiency of powdered dye was found out lower than extracted dye solution.

  • PDF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몇가지 생리활성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 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3
    • /
    • 1994
  •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분석된 9개 시료(감잎, 들깨씨, 모과, 생강, 호두, 쑥, 칡뿌리 메밀, 수수)를 선택하여 소화효소에 대한 활성저해, 식품오염세균에 대한 항균성, 그리고 Ames 법에 의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보았다. 소화효소 활성저해를 실험한 7개시료중 모과만이 $\alpha-amylase$에 대해 97%의 활성저해를 보였고, 무경쟁저해를 나타냈다. Pretease에 대하여 모과, 감잎, 쑥은 각각 86%, 51%, 20%의 저해효과를 보였고, 이때 쑥시료는 비경쟁저해를 나타냈다. Lipase는 모든 식품에 의해 50%이상 활성화되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저해는 축합형 탄닌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9)를, protease는 총페놀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4)를 보였다. 표준물질인 tannie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catechin과 7개 식품시료의 총페놀 분획을 얻어 항균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tannic acid는 3균주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들깨, 수수, 칡뿌리는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인 반면 Salmonella enteritidis와 Streptococcus faecalis에 대해서는 시료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준물질 및 9개 식품의 총페놀 분획은 모두 Salmoni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해 돌연변이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benzo[a]pyrene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 tannic acid는 TA98의 경우 $40{\sim}80%$, TA100의 경우 $70{\sim}95%$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다. TA100에 대해 모과는 30%의, 호두는 44%의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으나 기타 식품에서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용액에 침지하여 $-3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저장 85일경과 후에도 품질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찹쌀 또는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두 원료를 혼합했을 경우에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열속도는 급속히 증가하였다.하였다. 6. 수분(水分) potential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이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에서 콩보다 인삼(人蔘)이 낮았으며,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및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인삼(人蔘)의 광합성(光合成)이 타식물(他植物)보다 낮은 것은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 수분(水分) potential이 낮은 것과도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1g\;/\;\ell$ 이였으며, White+NAA $4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1g\;/\;\el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후

  • PDF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에 함유(含有)된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탐색(探索) (Identific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Purslane(Portulaca oleracea L.))

  • 박지성;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9-175
    • /
    • 1988
  • 밭 및 비농경지(非農耕地)의 우점잡초(優占雜草)인 쇠비름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생이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의 탐색(探索)을 통(通)하여 얻어진 몇가지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쇠비름을 건조(乾燥)한 시료(試料)로부터 추출(抽出)한 수용(水溶) 및 methanol 추출액(抽出液)은 상치, 무우 및 비름 등(等)의 식물종자(植物種子) 발아(發芽)를 크게 억제(抑制)시켰다. 쇠비름에 함유(含有)된 phenol 화합물(化合物)은 주(主)로 umbeliferon, p-coumaric, salicylic, vanillic, p-hydroxybenzoic, tannic, gallic산(酸) 등(等)이었다. 쇠비름의 건체(乾體), 생체(生體), 종자(種子) 및 callus 상태(狀態) 시료(試料)에 함유(含有)된 phenol 화합물(化合物)을 비교(比較)하면 건체시료(乾體試料)에서는 gallic산(産) 생체시료(生體試料)에서는 salicylic, vanillic산(酸), 종자시료(種子試料)에서는 ferulic산(酸), callus에서는 p-hydroxybenzoic, p-chlorobenzoic, cinamic산(酸) 등(等)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어 시료간(試料間)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지방산(脂肪酸)은 건체(乾體), 생체(生體) 및 종자시료(種子試料)에 linolenic산(酸)이 각각(各各) 9.203, 14.186, 1.732 mg/g으로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callus에는 palmitic산(酸)이 1.601 mg/g으로 많았다. 그리고 유기산(有機酸) 가운데는 oxalic산(酸)이 건체(乾體), 생체(生體) 및 callus 시료(試料)에서, citric산(酸)은 callus 시료(試料)에서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