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nic acid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1초

Amelioration of 1,2 Dimethylhydrazine (DMH) Induced Colo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Tumor Promotion Response by Tannic Acid in Wistar Rats

  • Hamiza, Oday O.;Rehman, Muneeb U.;Tahir, Mir;Khan, Rehan;Khan, Abdul Quaiyoom;Lateef, Abdul;Ali, Farrah;Sultana, Sarw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393-4402
    • /
    • 2012
  • Colon cancer is the third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 in the world and it remains an important cause of death, especially in western countries. The toxic environmental pollutant, 1, 2-dimethylhydrazine (DMH), is also a colon-specific carcinogen. Tannic acid (TA) is reported to be effective against various types of chemically induced toxicity and also carcin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chemopreventive efficacy of TA against DMH induced colon toxicity in a rat model. Efficacy of TA against the colon toxicity was evaluated in terms of biochemical estima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lipid peroxidation,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expression of early molecular markers of inflammation and tumor promotion. DMH treatment induced oxidative stress enzymes (p<0.001) and an early inflammatory and tumor promotion response in the colons of Wistar rats. TA treatment prevented deteriorative effects induced by DMH through a protective mechanism that involved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as well as COX-2, i-NOS, PCNA protein expression levels and TNF-${\alpha}$ (p<0.001) release. It could be concluded from our results that TA markedly protects against chemically induced colon toxicity and acts plausibly by virtue of it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Protective Effects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against IgE-mediated Allergic and Ovalbumin (OVA)-Induced Asthmatic Responses via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 Chung, Mi-Ja;Jo, Hang-Soo;Choi, Ha-Na;Cho, Soo-Muk;Park, Yong-Il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6호
    • /
    • pp.355-362
    • /
    • 2011
  • This work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AEx) from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against allergic mediated responses in asthma model cells and mice. The AEx inhibited antigen-stimulated cytokine production such as interleukin (IL)-4, IL-13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AEx also inhibit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gainst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 in rat basophilic leukaemia RBL-2H3 cells. The ovalbumin (OVA)-sensitized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AEx (100 or 300 mg/kg) and authentic tannic acid (75 mg/kg) every day for 15 days. Increased TNF-${\alpha}$ production by OVA-sensitization/challeng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AEx.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of asthma mi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feeding for 15 days with tannic acid or AEx. The mice fed with tannic acid or AEx also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weights compared to those of asthma control group. The AEx increased the heme oxygenase (HO)-1 mRNA expression in the asthma model mice and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Ex protects against IgEmediated allergic and OVA-induced asthmatic responses via direct and indirect antioxidant activities. Reduced triglyceride and body weights may provide additional protective benefits of AEx on allergic asthma.

배양된 Pseudomonas aeruginosa의 소프트 콘택트 렌즈 표면부착에 대한 미세구조적 연구 (A Study of Ultrastructure on attachment of Soft Contact Lens Surface of Incubated Pseudomonas aeruginosa)

  • 김덕훈;박용태;유해병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4
    • /
    • 2000
  •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취급이 간단하고 착용감이 좋고 미용효과를 가지며 운동과정에서 좋은 부착상태를 가지므로 피검자들은 시력교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의 부주의로 눈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양된 P. aeruginosa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표면부착에 대한 미세구조적 상태를 규명하기 위해서 저자들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표면을 관찰하였다. 샘플 제작과정에서 $OsO_4$의 후고정과 tannic acid에 염색한 것이 가장 좋은 관찰이 되었다. 균의 모양은 막대모양으로 섬모가 형성되어 있었다. 후고정을 하지 않는 샘플에서는 많은 이물질과 인공산물로서 균의 동정이 어려웠다.

  • PDF

아스파라거스를 이용한 전통장류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 Traditional Fermented Sauces Made with Asparagus)

  • 김예은;지근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5-10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전통장류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아스파라거스의 항산화능은 농도와 무관하게 나타났으며 7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메주의 경우 유기용매 분획별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분획 중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측정 결과 물층의 경우 tannic acid 1.437 mg/g,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tannic acid 0.77 mg/g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물층의 경우 각각 27.6%, 9.04%의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각각 10.7%, 52.4%의 활성을 보였다. 아스파라거스 함유 전통장류의 항산화 활성은 9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장류는 간장이며, 간장은 가장 넓은 범위의 농도에서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전통 장류의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진행될 연구를 통해 전통장류의 우수성이 증대되고, 새로운 장류의 개발에 기여하여 전통장류의 세계화 및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물성 천연염료에 의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소재의 염색 특성 (Assessing the Dyeing Properties of Bacterial Cellulose Using Plant-based Natural Dyes)

  • 민준영;김현진;김혜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707-728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olorizing properties of bacterial cellulose (BC) using plant-based dyes, namely spinach, beet, and banana peel, and determine the dyeing conditions of each dye based on color strength (K/S) values. Tannic acid and walnut shell powder were utilized as bio-mordants, and their effects on the dyeability of BC were compared to metallic mordants. Additionally, the type of mordant and the mordanting method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ir rubbing fastness and dry-cleaning fastness. The K/S values of the colorized and mordanted BCs were also compared to examine their mordanting conditions. Finally, the mordanting conditions for spinach, beet, and banana peel dyeing were selected as post-mordanting with tannic acid, meta-mordanting with tannic acid, and post-mordanting with walnut shell powder,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selected mordanting conditions improved both rubbing fastness and dry-cleaning fastness of BCs to grade 5, and the light fastness achieved grade 4-5. The tensil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dyed BCs were also enhanced and comparable to that of untreated cowhide leather.

탄닌산을 함유한 친환경농자재(공시번호 2-4-064)의 식물병원세균 기내 억제효과 (In Vitro Screening of Tannic Acid-based Eco-friendly Farming Material (notice no. 2-4-064) against Plant Pathogenic Bacteria)

  • 한규석;주호종;홍진성;정종상;박덕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45-955
    • /
    • 2016
  • 지금까지 주요 식물병원세균에 대한 방제대책은 화학적 방제방법에 의존하여왔다. 그러나 항생제와 같은 화학적 방제방법은 저항성 균주의 출현으로 인해 효율성이 감소함에 따라 대체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7종(그램음성 - 무름병, 감귤 궤양병, 풋마름병, 가지검은마름병 및 과실썩음병; 그램 양성 - 토마토 궤양병 및 더뎅이병)의 식물병원세균에 대한 탄닌산 함유 친환경농자재(공시번호 2-4-064)의 억제효과를 고체배지 확산법과 액체배지 배양법으로 검정하였다. 고체배지 확산법에서는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을 제외한 6종의 병원세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액체배지 검정에서는 액체배지법으로 실험가능한 6종의 병원세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변화를 관찰한 결과, 모든 병원세균의 표면구조의 변화를 발생하여 생장저해 또는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정삼투 공정의 유도용질로서의 식물 화학물질 기반의 탄닌산 유도체 (Phytochemical-based Tannic Acid Derivatives as Draw Solutes for Forward Osmosis Process)

  • 김태형;주창하;강효
    • 멤브레인
    • /
    • 제28권3호
    • /
    • pp.157-168
    • /
    • 2018
  • 우리는 정삼투 공정의 유도용질로서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식물화학물질인 tannic acid (TA)에 알칼리 염 처리한 alkali tannate 염 중 하나인 potassium tannate (TA-K)를 평가하였다. TA-K의 정삼투 특성과 회수 특성은 체계적으로 조사되었다. 정삼투 공정을 active layer facing feed solution (AL-FS) 방식으로 적용했을 때, TA-K 유도용액의 투수량은 TA 유도용액의 투수량 보다 훨씬 많은 반면, TA 유도용액의 투수량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100 mM 저농도에서의 TA-K 유도용액의 삼투압(1,135 mOsmol/kg)은 NaCl 수용액의 삼투압(173 mOsmol/kg)의 약 6.5배로 확인되었다. 100 mM 농도의 TA-K의 투수량과 specific salt flux (6.14 LMH, 1.26 g/L)는 동일한 농도의 NaCl 유도용액의 투수량과 specific salt flux (2.46 LMH, 2.63 g/L)의 약 2.5배 및 0.5배로 각각 확인되었다. TA-K를 재사용하기 위해, 금속 이온 침전법을 이용하여 TA-K유도용질을 침전시킨 후, membrane filtration을 이용하여 유도용질을 회수하였다. 이 연구는 식물화학물질을 정삼투 공정의 유도용질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합성목재의 난연성 확보를 위한 혼합물 실험계획 사례 (A Case Study of Applying Mixture Experimental Design to Enhance Flame Retardancy of Wood-Plastic Composites)

  • 서호진;권민서;이건명;주혜진;변재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69-181
    • /
    • 2022
  • Purpose: This paper addresses a case study of developing a flame retardant wood-plastic composites (WPC) by adding tannic acid to the existing synthetic wood. The optimal mixing ratios of six components are explored to minimize the burning time using two mixture designs. Method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six components are considered to find important components and their ranges. Seven D-optimal mixture design points are generated. Two points are removed for the balance of plastic components to be maintained, and the remaining five points are augmented with two basic compositions. Four components are selected to be considered in the main experiment. In the main experiment, pellets are extruded at the eight mixture design points. In-house testing of burning time is executed three times. Specimens made of pellets from two promising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re sent to the accredited laboratories and tested. Results: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est composition (Wood flour, Tannic acid, PE, Lubricant) = (25, 41, 10, 2) (wt%) shows the burning time of 1 second, which is 9-fol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the burning time of 9 seconds from the existing composition (58, 0, 10, 2) (wt%). 2) The second best composition (41, 25, 10, 2) (wt%) results in the burning time of 2 seconds. This composition is inferior to the best composition in terms of the flame retardancy, but more economical since it needs less tannic acid which is 100-fold expensive than the wood flour. Conclus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re found by adding tannic acid to the existing WPC employing optimal mixture designs. This case study will be helpful to practitioners who try to develop new products with additional physical properties with as small number of experimental trials as possibl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cludes exploring conditions which satisfy both performance level and cost limitation simultaneously.

식물세포 배양 및 융합을 통한 유용물질 개발(I) (Development of Useful Secondary Product Through Plant Cell Culture(I))

  • 김길웅;박용구;곽성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야생식물인 마디풀과 버드나무의 수용 추출액에는 상치 및 벼종자의 발아를 강하게 억제하는 물질이 존재하여 이들 품질을 GLC로 검정했다. 마디폴에 페놀물질로는 salicylic + vanillic, tannic - gallic, sinapic, p-coumaric, p-cresol 및 catech이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이들은 강한 활성을 나타냈다. 배양세포에도 유사한 페놀류가 동정되어 2차 대사물질이 세포배양에도 생성됨이 검정되었다. 지방산 가운데는 linolenic산(3.7 mg/g)과 유기산 가운데는 oxalic산(14.288 mg/g)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도 생리활성을 지닌 물질로 간주된다. 그 밖에 마디풀에는 석유 에테르 추출물도 1.65% 검정되어 생리활성을 발휘하리라 사료되어 계속 연구중이나 알카로이드 함량은 아주 낮았다. 마디풀과 버드나무로부터 MS기본배지에 2,4-D(1.0 mg/l)과 BAP(0.1-0.2 mg/l)조합 처리하면 캘루스의 유기가 잘 되었으며 대량생산을 위한 세포현탁배양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고 사료된다.

  • PDF

버드나무(Salix koreensis) 현탁배양(懸濁培養) 세포(細胞)의 대사산물(代謝産物) (Secondary Products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Salix koreensis)

  • 박용구;신동일;이상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98-208
    • /
    • 1989
  • 버드나무의 잎으로부터 유도(誘導)된 callus의 현탁배양(懸濁培養)은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1.0mg/l와 zeatin 0.1mg/l를 첨가(添加)한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 생장(生長)이 가장 좋았다.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 24일간(日間) 세포(細胞)를 배양(培養)한 후(後) 분리(分離)된 배양액(培養液)은 상치, 벼 그리고 피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를 강(强)하게 억제(抑制)하여 배양중(培養中)에 생리활성(生理活性) 물질(物質)이 형성(形成)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에서는 pyrogallol, sinapic acid, cinnamic acid, tannic+gallic acid 그리고 P-chlorobenzoic acid 등(等)과 같은 여러 종류(種類)의 phenol 화합물(化合物)이 검출(檢出)되어 이들이 강(强)한 발아(發芽) 억제작용(抑制作用)을 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