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gerine-peel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진피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Dried Tangerine Peel Powder)

  • 안기정;이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4-29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and color values of Sulgidduk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4 types of tangerine peel powder; 0% (TP-0 group), 1% (TP-1 group), 2% (TP-2 group), 3% (TP-3 group), and 4% (TP-4 group).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exture of Sulgidduk tangerine peel powder, it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increased, whereas adhesiveness, chewi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oisture content of Sulgidduk with tangerine peel powder ranged from 37% to 39%. The L-value of the color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angerine peel powder; however, the a-value and b-value of the color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angerine peel powder.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P3 had the highest values in color and moistness.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st desirable ratio is tangerine peel powder TP3. Thus, the importance of the overall scores for taste and CP3 deems the results of treatment, which were highly appreciated. CP3 treatment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chewy sweet in taste and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H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benefits of tangerine peel powder supplementation in Sulgidduk in the aspects of taste and functionality. The degree of a further increase in Sulgidduk with tangerine peel powder, without causing an adverse quality effect, remains for future study.

제주산 진피를 이용한 단일 침출차의 가공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Tea Prepared with Citrus unshiu Cultivated in Cheju)

  • 유경미;김채은;김동일;허담;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4-359
    • /
    • 2005
  •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tangerine peel tea, we examined the antioxidant effect of tangerine peel tea and determined the physicocher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ntents, color values and sensory evaluation. The wet weight composition of tangerine peel tea was $61.6\pm0.3mg$ of crude carbohydrate, $15.0\pm20mg$ of crude lipid, $8.3\pm2.1mg$ of crude Protein and $7.6\pm0.1mg$ of crude ash. The pH of tnagerine peel tea decreased with increasing preparation temperature. The Hunter color values (L and a values) gener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paration temperatur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angerine peel tea were $16.0 mg\%\;at\;60^{\circ}\;18.9mg\%\;at\;80^{\circ}C\;and\;20.9m\%\;at\;100^{\circ}C$. As the preparation temperature of tangerine peel tea increase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lso increased obviously.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tangerine peel tea prepared with 1 g at $80^{\circ}C$ obtained the best result with high scores in overall acceptability.

감귤 껍질을 급여한 돈육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호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Pork Fed with Tangerine-Peel)

  • 정인철;박경숙;양태익;문윤희;양승주;윤동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4-179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le for utilization of garbage in pig feed by investigat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ork from pigs fed tangerine-peels. The samples consisted of the pork loin from pigs not fed with tangerine-peel (control), the pork loin fed with 3% and 5% tangerine-peel duri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 (TP-1), and fed with 6% and 10% tangerine-peel duri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 (TP-2) there is no respective comparison here. The pH, VBN content TBARS value, bacterial counts, surface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loss degree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sensory scores were evaluated. The pH, TBARS value, surface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and loss degre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but the VBN content and bacterial counts of TP-1 and TP-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p<0.05). The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aste, aroma, tenderness and juicines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but the shear force value and palatability of TP-1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p<0.05).

  • PDF

감귤껍질 첨가가 돈육 Patty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with Tangerine (Citrus unshiu) during Refrigeration Storage)

  • 이종욱;최강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0-259
    • /
    • 2016
  • 본 연구는 감귤껍질 첨가가 돈육 patty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돈육 patty는 돈육 68%, 돼지지방 20%, 소금 2%, 냉수 10%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감귤껍질 0.3% 첨가한 T1, 0.7% 첨가한 T2 그리고 1.0%를 첨가한 T3 등 네 종류의 돈육 patty를 제조하였다. pH는 저장 중 일률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낮았다. 명도는 저장 중 변화가 없었으며, 시료들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저장 중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 황색도는 저장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가 높았다. TBARS는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저장 10일째 T0, T1, T2 및 T3가 각각 0.82, 0.32. 0.26 및 0.26 mg/kg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저장 중 유의하게 감소하여 저장 10일째 각각 10.48, 23.76, 27.60 및 29.26%를 나타내었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 VBN 함량은 T0 및 T1는 저장 중 증가하여 저장 10일째 각각 11.66 및 10.40 mg%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10일째 대조군인 T0가 가장 높았다. 저장 중 보수력은 감소하여 저장 10일째 각각 75.58, 75.83, 75.71 및 75.16%를 나타내었으며, 감열감량은 저장 중 증가하여 저장 10일째 각각 23.69, 23.16, 22.98 및 23.92%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료들 사이에는 보수력과 가열감량의 차이가 없었다. 경도는 저장 10일째 $3.20{\sim}3.34g/cm^2$로 증가하였으며, 씹힘성은 13.12~13.53 g으로 증가하였다. 탄성은 저장 10일째 49.34~50.12%로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은 56.81~57.48%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시료들 사이에 경도, 씹힘성, 탄성 및 응집성은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껍질은 항산화 작용이 있으면서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육 제품 고유의 색깔을 고려하면 0.7%의 첨가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귤과육 및 과피의 식이섬유와 플라보노이드 검색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 은종방;정영민;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1-377
    • /
    • 1996
  • 감귤류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항알러지성, 항염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 등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귤 유래 식이섬유도 다양한 생리조절 기능때문에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산 조생종 감귤의 과육과 과피에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이라는 두종류의 플라보이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육부의 나린진과 헤스폐리던 함량은 각각 100g 당 2.95 mg, 6.53 mg이었으며, 과피에서는 과육부보다 함량이 높아 10.77mg, 38.90mg으로 나타났다. 과육부의 가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총식이섬유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90%, 0.37%, 2.27%이었으며, 과피에는 각각 1.09%, 4.77%, 5.86%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펙틴 함량은 과육에 1.53%, 과피에 0.94%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귤피 속성장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Soksungjang prepared from different koji strains)

  • 윤영;전성희;유정희;정도연;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126
    • /
    • 2016
  •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귤피 속성장의 수분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pH는 RS 및 RTS는 발효기간 동안 변화가 없었던 반면, AS 및 ATS는 발효 10일째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적정산도는 모든 속성장에서 발효기간 동안 증가하였다.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귤피속성장의 주요 유리당 및 유기산은 각각 glucose와 acetic acid로 확인되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AS 및 ATS가 RS 및 RTS보다 높은 반면, 환원당은 RS 및 RTS가 AS 및 ATS보다 높았다. 미생물 수는 RS 및 RTS에서 꾸준히 증가하다 감소한 반면, AS 및 ATS는 10일 이후 감소하였다. 효소활성의 경우, RS 및 RTS는 ${\alpha}$-amylase 활성이, AS 및 ATS는 protease 활성이 각각 높았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및 arginine 등이 동정되었다. 향기성분 분석결과 총 60여개의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1-octen-3-ol 등을 포함한 alcohol류가 21개, hydrocarbon류가 14개, ester류 5개, 그 외 acids류, ketone류, aldehyde 등이 확인되었고, 3-methyl-1-butanol 등을 포함한 된장의 냄새물질이 귤피의 첨가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R. oligosporus는 당류 분해능에, A. oryzae는 단백질 분해능에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귤피의 첨가는 된장의 향미나 식미 등의 관능적 요인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용매에서 Soxhlet 추출기를 이용한 감귤 껍질에서 d-limonene 추출의 최적조건 연구 (Optimization of d-limonene Extraction from Tangerine Peel in Various Solvents by Using Soxhlet Extractor)

  • 박상민;고관영;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17-722
    • /
    • 2015
  • 감귤류의 과일 내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d-limonene 성분은 정유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연속 증류 추출법 중 하나인 Soxhlet 추출법을 사용하여 감귤 껍질의 정유 성분을 추출한 후, 역상 HPLC를 통해 정량분석을 하였다. 추출용매의 끓는점과 극성도가 수율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에탄올, n-헥산, 석유에테르 3가지 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다. $120^{\circ}C$에서 각각의 용매를 1, 2, 4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의 시료를 얻어 총 9가지 시료를 분석하였다. 역상 HPLC에서 정량분석을 한 결과, 세 가지 용매 모두 2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d-limonene의 함유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 때 감귤 껍질 1 g당 함유량은 7.77 mg(에탄올), 0.49 mg(n-헥산), 0.28 mg(석유에테르)였다. 에탄올을 사용했을 때 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용매의 극성도가 끓는점보다 추출 효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mparison of Jujube Extract with Tangerine Peel Extract in Lowering Plasma Lipids and Activities of Cholesterol Regulating Enzymes in Cholesterol-Fed Rats

  • Park, Myung-Sook;Bok, Song-H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22-125
    • /
    • 2001
  • A potential mechanism through which the jujube extract might produce a cholesterol-lowering effect was compared with that of tangerine peel extract in vivo. Two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ethanol. Male rats were fed a high cholesterol (1%, w/w) lab chow with jujube extract (1.2%) or tangerine peel extract (6.3%, w/w) for 3 weeks. Activities of hepatic HMG-CoA reductase (289.6$\pm$12.9 and 296.7$\pm$11.6 nmole/min/mg vs. 347.9$\pm$17.5 nmole/min/mg) and ACAT (554.8$\pm$18.2 and 451.7$\pm$19.4 nmole/min/mg vs. 602.6$\pm$21.4 nmole/min/mg)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both suppl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two supplements also substantially reduced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cholesterol (103.3$\pm$15.9 and 101.6$\pm$19.4 mg/dL vs. 141.6$\pm$18.1 mg/dL) and triglyceride (61.3$\pm$5.5 and 55.5$\pm$3.9 mg/dL vs. 96.0$\pm$4.2 mg/dL). The inhibition of HMG-CoA reductase resulting from the supplementation of jujube or tangerine extracts could count for the reduction in plasma cholesterol. Accordingly, lipid-lowering action of both supplements appears to be similar in high-cholesterol fed rats.

  • PDF

감귤 과피 유래 식이섬유 생산을 위한 막분리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Membrane Sepa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

  • 우건조;남진;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8-383
    • /
    • 1996
  • 감귤과피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와 기능적 특성을 갖는 식이섬유(dietary fibers, DF)를 생산하기 위한 회분식 다단계 한외여과 공정에서 최적 분리 조건은 막횡단압력 7.5 psi,막분리 온도 $35^{\circ}C$, 과피추출즙 pH 3.0으로 결정하였으며, MWCO 단계별 flux 측정에서는 YM1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retentate 회수율과 DF 함량면에 있어서는 YM100 단계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별 총식이섬유 (total dietary fiber, TDF) 함량 비교 결과 본래 과피의 TDF 함량은 33.4%, 170 mesh retentate의 TDF 함량은 18.5%, YM100 retentate에서의 TDF 함량은 8.4%로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DF가 예비여과와 YM100단계에서 회수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with Tangerine (Citrus unshiu) Peel)

  • 최강원;이종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30
    • /
    • 2017
  • 본 연구는 감귤껍질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돈육 후지 68%, 등지방 20%, 소금 2%, 냉각수 10%를 배합한 대조군(T0), 냉각수 대신 감귤껍질분말 0.3% 분산액 10%를 배합한 T1, 0.7% 분산액 10%를 배합한 T2, 그리고 T3는 1.0% 분산액 10%를 첨가하여 네 종류의 돈육 patty를 제조하였다. 생육 및 가열육의 일반성분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율, 보수력, 수분보유율 및 지방보유율도 감귤껍질의 첨가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계적 조직감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검성 및 씹힘성도 시료들 사이에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T3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T2와 T3이 가장 높았다(p<0.001). TBARS는 감귤껍질이 첨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VBN함량은 시료들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는 T0에서 가장 높고, T3에서 가장 낮았다(p<0.001). 외부색도의 경우, L-value (명도)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a-value (적색도)와 b-value (황색도)는 T2 및 T3가 가장 높고, T0가 가장 낮았다(p<0.01). 내부색도는 L- 및 a-value의 경우,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b-value에서 T2 및 T3가 가장 높고, T0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관능특성 중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풍미는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돈육 patty에 감귤껍질을 첨가하면 항산화 활성, 적색도 유지, 풍미개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감귤껍질은 육제품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