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e of Tale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유리 노르슈테인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에 나타난 결정체-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Crystal-image in Yuri Norstein's Animated Film )

  • 김현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8호
    • /
    • pp.93-114
    • /
    • 2015
  • 애니메이션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유리 노르슈테인(Yuri Norstein)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그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노르슈테인의 어린 시절에 대한 회상과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예상치 못한 이미지들의 연결과 선명하지 않은 스토리의 비선형적 서사 구조로 인해 러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이방인들에게는 더욱 난해하게 느껴진다. 본 논문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저서 "시네마II: 시간-이미지"에 나오는 결정체-이미지의 개념을 이용해 <이야기 속의 이야기>를 분석한 것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결정체-이미지를 통해 우리는 시간의 본질인 비연대기적 시간을 보게 된다고 한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에는 몇 가지의 결정체-이미지가 나타난다. 이들 결정체-이미지들 중 하나인 영원 에피소드에서 우리는 끝없이 지속될 것만 같은 평화로운 일상을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노르슈테인이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주제이자 들뢰즈가 말하는 시간의 본질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유리 노르슈테인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결정체-이미지를 통해 우리가 사유하게 되는 시간-이미지가 결국 삶이자, 인간이며 우주라는 들뢰즈의 주장을 잘 반영하고 있다.

삼국에 전래된 담배의 이름과 설화에서 동질성으로 본 한국 담배의 기원 연구 (Study on Origin of Korea Tobacco by Homogeneity of the Names and Folk Tales in the Tobaccos introduced among Three Countries)

  • 정기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rigin of Korea tobacco, by homogeneity of the names and folk tales for the tobaccos introduced among three countri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s that had written the origin concerning tobacco during the survival period of the Korean author, Korea tobacco came from Japan, for the first time, in 1611~1612. Six year s after the tobacco was introduced, in 1617~1618, tobacco seed also came from Japan. And 10 year safter the tobacco was introduced, in 1621~1622, there was no person that do not smoke. The Korea tobacco name, Dambago(淡婆姑), was the same as Japan tobacco name, Dambago(淡婆姑), but it was not the same as China tobacco name, Tambaku(淡巴菰). The Korea tobacco's folk tale, Dambago(淡婆姑) story, was the same as Japan tobacco's folk tale, Dambago(淡婆姑) story, but it was not the same as China tobacco's folk tale, Tambaku(淡巴菰) or Banhonhyang(返魂香) stor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Korea tobacco may surely came from Japan, considering homogeneities of the names and the folk tales in the tobaccos introduced among three countries.

  • PDF

구전설화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성 (Symbolism of Food Expressed in Oral Folk Tale)

  • 배윤경;박보경;박아름;이순민;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66-676
    • /
    • 2009
  • Oral folk tale, which are organized stori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o each district, includes a lot of mention about local specialties related to food. In folk tales consisting of linguistic signs, food plays a role in expressing not only instinct and desire but also order, exclusion and communication of human beings. Understanding the matters of concern or consciousness that community members of the time have put an emphasis on through food included in folk tales can be useful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time and the food in folk tales can be a symbolic code. In this study, food mentioned in folk tale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medicine, love, god, livelihood, provision and power focused on both inland and coastal regions that are referred to in most of the sixteen volumes of Korean Oral Folk Tales. In addition, the symbolic meanings of these groups were examine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od by determining the way Korea food can become a world class food.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and combine culture and art with the food of Korea based on six symbolic meanings of food expressed in Korean Oral Folk Tales.

Chaucer′s Extraordinary Fabliau: The Merchant′s Tale

  • Thomas, Paul R.
    • 인문언어
    • /
    • 제2권2호
    • /
    • pp.109-128
    • /
    • 2002
  • The six fabliaux of the Canterbury Tales are a notable artistic achievement. Of all of them, however, the Merchant's Tale is the most notable to show Chaucer's development of the scope of this genre. We will look briefly at the characters of the fabliau narrators who are crucial to Chaucer's drama of relationships in the course of the Canterbury pilgrimage framework. To distinguish the accomplishment of the Merchant's Tale, we will consider the relative merits of each of the other five fabliaux in the Canterbury Tales. The least flawed of the fabliau narrators, the Merchant will tell a powerful tale about an old man's lust turned into a hasty marriage gone wrong that aims its satire at the noble ruling class of the land, not the usual targets of Chaucer's or most other writers' fabliaux. Further, unlike the light-hearted and dismissable endings of the other Chaucerian fabliaux, the Merchant's Tale has what we will call an Act 6 of continued deception at all corners of the love triangle represented by the senex amans January, his young wife May, perhaps now pregnant after her tryst with Damyan in the pear tree, and the still present young lover Damyan. This triangle of mutual deception will continue into the unknown future under the male and female forces at odds as personified in the king and queen of fairies, Pluto and Proserpina.

  • PDF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Narration Learning for Children's Forest Fairy Tale on Self-Emotional Regulation and Community Spirit Cultivation)

  • 강영식;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12-124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시소재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8주간 16회기 실험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숲동화 구연학습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실험집단의 숲동화 구연학습의 유용성을 입증해주었다. 특히 공동체의식 요인의 기본생활 습관과 공동체 의식, 사회성발달, 자기인식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 활동에서의 자연과에서 소통과 함께 동화소재를 자연 속에서 읽으면서 듣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유아들이 동화를 통해 주의 집중하고 자연과의 교감 속에 자연 그대로 느끼는 순수한 감성을 바탕으로 또래와 함께 상호 협력하고 공존을 위한 관계 향상은 물론 원칙과 질서를 지키고 이를 실천하려는 소중한 마음이 동화 속 이야기와 함께 자기감정조절까지 증가시킴을 실증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결과는 숲 활동에 있어 단순한 놀이나 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숲동화 연계 활동을 통해 감정조절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가져다 줌에 따라 이의 활용이 보다 확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나는 사회화 도구로써의 복식분석 (An Analysis on Costume Socialization in Koran Traditional Fairy Tale)

  • 정미혜;김진구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1호
    • /
    • pp.105-12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othing socialization in Korean fairy tales by the socialization theory. Clothing socialization analyzed of seven categories-norm, role, self-identity, morality, institution, social class and social change, From the costume in the Korean fairy tales, clothing socialization can be visualized.

  • PDF

민담형태론으로 바라본 겨울왕국의 각색기능 분석 (The adaptation of Frozen from Morphology of the Folk Tale)

  • 서호;박성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1호
    • /
    • pp.107-127
    • /
    • 2018
  • 동화를 각색하는 방법론은 문화상품 제작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방법이다. 이 방법론의 단점은 동화 이야기의 현대적 가치를 찾아내고, 트랜드에 맞게 각색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화가 가지고 있는 보편적 사상은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본다. 1937년 동화 이야기를 각색한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는 디즈니를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후 디즈니는 계속하여 동화 이야기를 각색한 애니메이션을 제작 하였으며 원작의 캐릭터와의 일치성을 유지 하였다. 2013년<겨울왕국>사영한 시기로부터 디즈니는 원작의 주제, 이야기의 구도, 캐릭터 설정 등 방면에서 변화를 주었고 디즈니만의 각색 체계를 이루어 갔다. '민담형태론'은 많은 동화에서 도출해 낸 하나의 분석 체계로, 대다수 동화에 대해 정확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민담형태론'을 이용해 <겨울왕국> 속 변화 된 기능에 대한 분석과 동화 각색에 있어서 디즈니가 활용한 체계를 분석하는 것을 본 논문의 연구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디즈니는 <겨울왕국>을 각색할 때 현대사상에 부합되는 패밀리를 주제로 선정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야기구도를 변화하지 않은 전제 한에서 캐릭터의 관계를 변화 시켰다. 디즈니가 <겨울왕국>을 각색함에 있어서 변화한 체계를 민담형태론으로 분석한 결과를 통해 다른 유사한 작품에다 접목 시킬 수 있다고 본다.

곽향정기산에 얽힌 허준 설화 (Heo jun' s traditional tales connected with Gwakhyangjeonggisan)

  • 박수진;안상우;이선아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1호통권19호
    • /
    • pp.69-75
    • /
    • 2007
  • There are various treatment methods in traditional tales concerning Heo jun. Among these tales We will introduce cases connected with Gwakhyangjeonggisan. In this treatise We will not lay great emphasis on significance in oriental medicine but on significance of traditional tale.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research material on traditional medicine.

  • PDF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 공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래동화는 유아교육의 중요매체이며, 부모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전래동화를 선택하고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부모와 유아교사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부모와 7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6편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일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유아에게 유익한지와 가치관형성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부모의 평가가 유아교사의 평가보다 높았지만, 전반적으로는 부모와 유아교사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는 편이었다. 이는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가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멀티미디어 동화수업과 구연동화 수업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media Fairy Tale and Narrative Fairy Tale Lecture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김정겸;변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04-1413
    • /
    • 2014
  •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동화수업과 구연동화 수업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2011년 3월에서 4월간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K유치원과 S유치원 만5세 유아 50명(연구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멀티미디어 동화수업 집단이 구연동화 수업 집단에 비해 언어표현력 점수가 높았다. 둘째, 멀티미디어 동화수업 집단이 구연동화 수업 집단에 비해 그리기 표상능력 점수가 높았다. 이는 유아교육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활동의 중요함을 나타낸 것으로 유아들은 멀티미디어 동화를 듣고 다양한 언어활동을 통해 이야기를 보다 잘 이해 할 수 있으며, 동화 속 주인공을 탐색하고 그리기로 연계해서 표상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의 향상을 가져옴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동화수업 하나만을 강조하는 교육활동보다는 구연동화의 장점을 보완한 상호 적절하게 연계한 교육활동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