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il stock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PC기반CNC시스템을 위한 Look Ahead 보간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Look Ahead Interpolation Algorithm For PC Based CNC System)

  • 유선중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37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Look Ahead position interpolation algorithm for small size CNC machine controlled by PC based controller. Look Ahead scheme can process a bundle of CNC's linear interpolation commands simultaneously, which reduces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time within single linear interpolation command. The algorithm is derived as simple analytical form which can be adapted to PC based CNC system by C language programming.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was verified by tail stock machining G codes experimentally. The average traverse speed of the CNC machine was increased by 27.5% and the total traverse time also reduced by 27.2% with the Look Ahead scheme.

이분산성 및 두꺼운 꼬리분포를 가진 금융시계열의 위험추정 : VaR와 ES를 중심으로 (VaR and ES as Tail-Related Risk Measures for Heteroscedastic Financial Series)

  • 문성주;양성국
    • 재무관리연구
    • /
    • 제23권2호
    • /
    • pp.189-208
    • /
    • 2006
  • 대부분의 국내 선행연구들은 이분산성은 GARCH모형으로, 꼬리위험은 EVT모형으로 따로 고려하였다. 이 경우 이분산성 및 꼬리의 두꺼움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한 VaR값은 실제 위험량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분산성 및 꼬리의 두꺼움을 고려할 수 있는 GARCH-EVT모형이 정규분포를 가정한 VaR와 이분산성을 가정한 VaR보다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식수익률은 정규분포보다는 꼬리부분이 두꺼운 형태를 보이고, 이분산성을 가진다. 이 경우 정규분포하에서 산출된 VaR는 실제 손실금액을 과소평가할 위험성이 있어 이분산성과 꼬리의 두꺼움을 감안할 수 있는 모형의 도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분산성과 꼬리의 두꺼움을 고려한 GARCH-EVT모형하에서의 VaR는 정규분포를 가정한 VaR와 이분산성을 가정한 VaR보다 높은 성과를 보였다. 셋째, 이분산성 및 꼬리의 두꺼움을 고려한 GARCH-EVT모형하에서의 ES는 정규분포를 가정한 VaR와 이분산성을 가정한 VaR보다 높은 성과를 일관되게 보여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분산성과 꼬리의 두꺼움을 동시에 반영한 GARCH-EVT모형하에서 VaR가 금융기관의 위험관리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비록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이지는 않지만 ES는 VaR함께 위험척도로 같이 사용할 때 보수적인 위험관리 차원에 부합될 것이다.

  • PDF

실내수조에서 사육한 참조기 배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Embryonic Developmen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Reared in Aquarium)

  • 명정구;김용억;박용주;김병기;김종만;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78-484
    • /
    • 2004
  • On 11 June 1991, eggs from the brood stock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were artificially fertilized using the standard dry method and were hatched. Each of the fertilized eggs (1.1-1.2 mm in diameter) had an oil globule and was transparent and buoyant. The fertilized eggs hatched in a range of water temperatures $(17.5-20.3^{\circ}C)$ 44 hrs after fertilization. The total lengths of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1-3.3 mm, and these hatchlings had 31 myotomes (10+21). Melanophores and yellow-brown chromatophores were concentrated on the head, at the ventral part of the yolk, and in the middle of the tail. Four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completely absorbed the yolk and became flexions of 5.1-5.5 mm in total length. Fifteen days after hatching, one spine (the anterior tip of the maxillary) appeared in the upper jaw and three spines developed at the upper parts of the eyes and on the posterior part of the head. At this stage, the larvae were approximately 8.3 mm long. Thirty-nine days after hatching, juveniles (1.9-3.4 mm in total length) had a pointed tail fin. By 66 days after hatching, the juvenile fish (about 4.0-6.5 mm in total length) were similar to adult fish in body shape. The larvae of L. polyacti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L. croacea by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large number of vertebrae (28-29), and a relatively small bony ridge on the occipital region of the head.

GPD 기반의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Finding optimal portfolio based on genetic algorithm with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 김현돈;김현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479-1494
    • /
    • 2015
  •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선택하기 위한 연구는 평균-분산모형을 시작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과거에는 위험자산의 확률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투자자가 보유한 위험자산의 분산이 최소화되고 기대수익률이 최대가 되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제 위험자산의 분포에는 극단적인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규분포보다 훨씬 꼬리부분이 두꺼우며, 또한 왼쪽꼬리와 오른쪽꼬리가 대칭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험자산의 확률분포를 극단치 이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화 파레토분포 (GPD)로 모형화하였고 체계적인 위험의 추정을 위하여 VaR를 이용하는 한편, 최적의 포트폴리오의 탐색을 위해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증시에서 최적 포트폴리오를 탐색해 보았으며, 그 결과 GPD로 투자자산의 위험을 추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SG투자를 통한 최적자산배분과 후생개선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Optimal Asset Allocation and Welfare Improvemant Factors through ESG Investment)

  • 현상균;이정석;이준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84
    • /
    • 2023
  • Purpose: First,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approach to find optimal portfolio (stocks, bonds and ESG stocks) under the maximizing utility of investors. Second, we include ESG stocks in our optimal portfolio, and compare improvement of welfares in the case with and without ESG stocks in portfolio. Methods: Our main method of analysis follows Brennan et al(2002), designed under the continuous time framework. We assume that the dynamics of stock price follow the Geometric Brownian Motion (GBM) while the short rate have the Vasicek model. For the utility function of investors, we use the Power Utility Function, which commonly used in financial studies. The optimal portfolio and welfares are derived in the partial equilibrium. The parameters are estimated by using Kalman filter and ordinary least square method. Results: During the overall analysis period, the portfolio including ESG, did not show clear welfare improvement. In 2017, it has slightly exceeded this benchmark 1, showing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but the ESG stocks we selected have not strongly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lfare improvement results. This paper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optimal asset allocation and welfare improvement were different each other. We also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optimal asset allocation wa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asset return, volatility, and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tocks and bonds, similar to traditional financial theory. Conclusion: The portfolio with ESG invest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n welfare improvement is due to that 1) the KRX ESG Leaders 150 selected in our study is an index based on ESG integrated scores, which are designed to affect stability rather than profitability. And 2) Korea has a short history of ESG investment. During the limited analysis period, the performance of stock-related assets was inferior to bond assets at the time of the interest rate drop.

절삭력을 고려한 고정밀 연삭기 핵심부품의 구조해석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Structural and Stability Analyses of the Main Parts of a High-Precision Grinding Machine Considering the Cutting Force)

  • 김인우;이춘만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93-698
    • /
    • 2015
  • Recently, the quality of products after the corresponding machining processes were scrutinized in the interest of maintaining a high product-quality standard. The structure and stability of machine tools are important for the prediction of product quality. A structural analysis needs to be carried out to achieve the stable design of machine tools before the initial design sta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precision product. In this study, a structur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FEA) simulation to obtain the design stability of the main parts of a grinding machine. The sizes and locations of both the maximum stress and de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utting force of the chuck, tail stock, and bearing of the grinding machine were analyzed. Finally the grinding machine was successfully developed.

부유부상 공정의 마이크로 스틱키 제거 효율에 관한 연구 (Removal Efficiency of Microstickies by Flotation Process)

  • 박일;이학래
    • 펄프종이기술
    • /
    • 제37권3호
    • /
    • pp.1-8
    • /
    • 2005
  • Increase in the utilization rate of recycled paper and closing level of papermaking system increased the problem associated with stickies that include decrease in process runnability and product qualit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process for removing the micro stickies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tickies.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flotation process as a method to remove micro stickies was examined. Model micro stickies (MMS) were prepared using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and the influence of three nonionic surfactants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MMS from flotation process was examined. Also the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deposition of micro stickies that remaining in the papermaking wet end onto wire was examined. Removal efficiency of MMS by flotation was increased when the proportion of nonionic surfactant with propylene oxide (PO) type hydrophilic tail was increased and stock pH was 7. It was suggested that this nonionic surfactant minimized the increase of surface energy of hydrophobic MMS. The MMS with high hydrophobicity remaining in the papermaking system, however, would cause more serious deposition problems on papermaking wet end. Therefor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MMS in flotation process for the prevention of papermaking system contamination caused by stickies deposition.

커널기계 기법을 이용한 일반화 이분산자기회귀모형 추정 (Estimating GARCH models using kernel machine learning)

  • 황창하;신사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419-425
    • /
    • 2010
  • 커널기계 기법은 최근 대용량 또는 고차원 비선형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인기를 많이 얻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식시장 수익률의 조건부 변동성을 예측하기 위한 일반화 이분산자기회귀모형을 추정하기 위해 커널기계 기법을 사용한다. 일반화 이분산자기회귀모형은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 후 주로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꼬리가 두꺼운 분포를 갖는 금융시계열자료의 변동성을 추정할 때 커널기계 기법이 최대우도법과 서포트벡터기계 보다 더 정확한 예측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변액연금보험의 최저연금적립금보증과 점프리스크 (Guaranteed Minimum Accumulated Benefit in Variable Annuities and Jump Risk)

  • 권용재;김소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81-291
    • /
    • 2020
  • 본 연구는 변액연금보험 보증준비금 산정을 위해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에 제시된 표준자산 등을 가우스-포와송 점프확산과정으로 추정해보고 점프위험에 대한 고려가 변액연금보험 최저연금적립금보증의 보증수수료율과 보증위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KOSPI 200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수익률 분포가 두터운 꼬리(fat tail)를 가져 다수의 자산수익률에 점프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변액연금보험의 최저연금적립금보증 현금흐름을 분석한 결과 국내주가지수와 해외주가지수(원화)는 점프위험을 고려할 경우 보증수수료율과 보증위험이 감소하며 이는 자산모형에 점프위험이 고려되면서 변동성이 감소하는 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반면 국내채권지수와 해외채권지수(원화)의 경우 점프위험 고려 시 래칫형 보증을 중심으로 보증수수료율과 보증위험의 수준이 다소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해외주가지수(달러화)와 해외채권지수(달러화)는 래칫형 보증을 중심으로 동종지수의 원화지수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요컨대 수익률 점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보증수수료율과 보증위험이 과소 또는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금융위기 동안 전이효과에 대한 추정 (Estimation of the Spillover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이경희;김경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17-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2010년 유로 도입 이후 금융위기 및 그에 따른 EU 부채위기까지의 기간 내에 미국, 유럽 및 BRIC 금융시장 간의 선형과 비선형 인과관계의 존재를 통해 글로벌 전이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금융위기로 인한 글로벌 전이효과가 잘 설명되어 있지만, 미국, 유럽 및 BRIC 주식시장 간의 변동성 전이효과의 특성 뿐만 아니라 전달 메커니즘은 체계적으로 조사되지 않았다. 동적 선형 및 비선형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인 필터링 방법론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벡터자기회귀모형과 다변량 GARCH 모형을 포함한다. 본 논문의 표본은 유로 이후 기간을 포함하고 또한 2007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0년 유로존 부채위기도 포함한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BRIC 주식시장의 효율성에 많은 함의를 가질 수 있는데 시장의 예측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장의 금융통합의 과정을 수량화하기 위해서 미래의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 미국, 유럽 및 BRIC 간의 상호 의존성이 감지되면 금융시장 규제, 헤징 및 거래 전략에 대한 중요한 함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결과는 BRIC이 미국발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후 국제적으로 통합되고 있고 전이효과가 더욱 구체화 되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탈동조화 견해를 지지하는 일관된 증거가 전혀 없다. 일부 비선형 인과관계는 조사기간 동안 필터링 후에도 지속된다. 비록 꼬리분포 의존성과 고적률이 나머지 상호 의존성의 유의한 요소일 수 있을지라도, 이것은 비선형 인과관계가 단순한 변동성 효과에 의해 대체로 설명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