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rolimu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The safety, immunological benefits, and efficacy of ginseng in organ transplantation

  • Lim, Sun Woo;Luo, Kang;Quan, Yi;Cui, Sheng;Shin, Yoo Jin;Ko, Eun Jeong;Chung, Byung Ha;Yang, Chul Wo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399-404
    • /
    • 2020
  •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i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therapeutic effects, including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vasorelaxative, antiallergic, antidiabetic, and anticancer effects. Accordingly, the use of ginseng has reached an all-time high among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 safety and efficacy of ginseng in transplant recipients receiving immunosuppressant drugs have still not been elucidated. Transplantation is the most challenging and complex of surgical procedures and may require causation for the use of ginseng. In this regard, we have previously examined the safety, immunological benefits, and protective mechanisms of ginseng with respect to calcineurin inhibitor-based immunosuppression,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regimen in organ transplantation. Using an experimental model of calcineurin inhibitor-induced organ injury, we found that ginseng does not affect drug levels in the peripheral blood and tissue, favorably regulates immune response, and protects against calcineurin inhibitor-induced nephrotoxicity and pancreatic islet injury. On the basis of our experimental studies and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we propose that ginseng may provide benefits in organ transplant recipients administered calcineurin inhibitors. Through the present review, we aimed to briefly discuss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therapeutic benefits of ginseng related to transplant patient survival.

안면이식에 대한 최근 동향: 한국에서의 안면이식은 어떤 단계에 있는가? (Current Status of Face Transplantation: Where Do We Stand in Korea?)

  • 홍종원;김영석;윤인식;이동원;이원재;노태석;유대현;김용욱;나동균;탁관철;박병윤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5-94
    • /
    • 2012
  • The world's first face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in France, in 2005. Since then, 21 cases of face transplantation have been performed. Face transplantation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art of composite tissue allotransplantation (CTA) along with hand transplantation. Since these fields are not deal with life-saving organs, there are many arguments about immunosuppression therapy. Recent paradigm of face transplantation shows that surgical ranges are expanded from partial face transplantation to full face transplantation. Most immunosuppression protocols are triple therapy, which consists of tacrolimus (FK-506), mycophenolate mofetil and prednisolone. Anatomical researches, immunosuppression, and immunotolerance take great parts in the researches of CTA. The medical fields directly related to face transplantation are microsurgery, immunology, and transplantation. Nowadays, each field is performed widely. Therefore people, even medical teams think face transplantation could be easily realized, sooner or later. But there are lots of thing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not only practice and immunosuppression therapy but also for the cooperation with relevant fields. That's the reason why only 21 cases of face transplantation have been done, while more than 70 cases of hand transplantation have been done in the past years. Especially in Korea, brain death patients are not enough even for organ transplantation and furthermore there are some troubles in taking part in the society of transplantation. Face transplantation has lots of problems concerning variable medical fields, administration, society, ethics, and laws. Therefore, for the realization of face transplantation in Korea, not only medical skills but also political powers are needed.

NC/Nga 마우스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카모마일, 라벤더, 샌달우드 혼합오일 도포의 치유효과 (The Effect of Mixed Aroma Oil with Chamomile, Lavender and Sandalwood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 신길란;김양원
    • 감성과학
    • /
    • 제19권2호
    • /
    • pp.27-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카모마일, 라벤더, 샌달우드를 혼합한 아로마 혼합오일(CLS)과 면역억제제(FK506)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중 IgE(Immunoglobulin E)와 IgG1(Immunoglobulin G1)의 수준의 감소효과, 피부 임상지수를 이용한 육안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gE 수준을 낮추는데는 CLS가 더 효과적이었고, IgG1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FK506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결과를 통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마우스에 FK506과 CLS를 도포한 후 2주까지는 아토피 증상을 더 악화시켰으며 4주후부터는 증상완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FK506의 효과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IgG1 수준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하여 보다 심도있는 실험 조사가 필요하겠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카모마일 저먼, 라벤더, 샌달우드의 아로마 혼합오일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효능이 있음이 인정되었고 이와 같이 장기간 피부에 도포하여 치료하는 경우 CLS가 아토피 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가능성이 보임을 확인하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16년간 단일기관에서 시행된 소아 간이식 후 세균 감염 합병증의 특징 (Bacterial Infec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Children: Single Center Study for 16 Years)

  • 김재춘;김수지;윤기욱;최은화;이남준;서경석;이광웅;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2호
    • /
    • pp.82-90
    • /
    • 2018
  • 목적: 16년간단일기관에서시행된간이식후소아에서발생한세균감염합병증의빈도와특징을분석하기위해시행되었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 받은 207명 소아 중 다장기 이식이나 2번 이상의 간이식을 시행 받은 18명을 제외한 189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감염 증상과 더불어 병원체가 증명된 세균 감염 만을 대상으로 하여 감염성 질환의 종류 및 발생 시기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189명의 간이식 소아의 중간연령은 24개월(2개월-16세)이었으며, 수술 후 1년 간 추적 관찰 하였다. 총 87명(46.0%)에서 132건(0.7건/명)의 세균 감염이 발생하였다. 균혈증(n=39, 29.5%), 복막염(n=28, 21.2%), 요로감염(n=25, 18.9%), 폐렴(n=20,15.2%)의 순이었다. 그람양성균이 66건(50%), 그람음성균이 66건(50%)에서 확인되었다. 세균 감염은 이식 후 1개월 이내에 84건(63.6%), 1-6개월에 32건(24.2%), 6개월 이후에 16건(12.1%)으로 이식 초기에 유의하게 많았다(P<0.05). 가장 흔한 그람양성균은 Staphylococcus aureus (n=20, 15.2%) 와 Enterococcus species (n=20, 15.2%) 였으며, 그람음성균은 Klebsiella species (n=18, 13.6%), Enterobacter species (n=13, 9.8%), Escherichia coli (n=11, 8.3%) 순으로 많았다. 이 중 7명(41%)이 감염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균혈증 4명, 복막염 1명, 폐렴 2명). 결론: 지난 16년 간 본 기관에서 소아에게 시행한 간이식 후 발생한 감염성 합병증의 빈도와 종류는 기존의 연구들과 비슷하였다. 간이식 후 소아에서 세균 감염 합병증은 이식 후 1개월 이내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1개월이 지난 후에도 중증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 6개월 전까지는 면밀한 세균 감염 합병증의 진단 및 치료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간이식의 예후 향상을 위한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