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ble grape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채소류와 과일류의 비타민 B6 함량 (Vitamin B6 Content of Vegetables and Fruits Cultivated in Korea)

  • 최소라;송영은;한현아;이송이;신소희;박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5-75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vitamin B6 content according to the varieties, regions, and harvest times of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e verified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method with standard reference material 1849a and achieved reliability for internal analysis quality control with a mixture of cereal, whole wheat, and flou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tamin B6 contents (㎍/100 g) were 6.9~86.5 in peppers, 5.1~17.2 in paprika, 4.4~5.0 in strawberries, 4.0~52.9 in tomatoes, 7.7~7.8 in Chinese cabbage, 17.3~23.3 in radishes, 13.4~37.6 in apples, 2.3~12.7 in peaches, and 3.7~12.7 in grapes. In general, the difference in vitamin B6 content showed by varieties, harvest times, and regions. Peppers showed the most difference as 79.6 ㎍/100 g among the varieties, and apples showed a difference as 22.8 ㎍/100 g by region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s in grape 'Mihwang', there was a difference of 7.5 ㎍/100 g. We will collect an amount of nutritional data on various food materials, and continue to build a reliable and integrated nutritional database. And then the database will be used in the 10th revision of the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New Frontiers of Knowledge on Nepalese Plant Science

  • Shrestha, Gyan L.;Shrestha, Bhushan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80
    • /
    • 1994
  • Nepal, with its unique geographical and ecological features due to its abrupt rise in altitude, plays significant role in biological evolution. Existence of numerous wild relatives of the present-day cultivated agricultural crop plants in this small Himalayan nation may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several yet unidentified desirable genes that are needed for future incorporation in the improvement of cultivated crop plants. This report includes 82 different wild relatives of 41 genera under 19 families of 37 agricultural crops of Nepal(Table 1). It serves as the sample of the glossary of these wild relatives of crop plants in Nepal. Under food grain crop plants of gramineae, leguminoceae and polygonaceae families, 16 different wild species namely wild rices(7 species), wild relatives of wheat plant(3 species), wild arhar(3 species), wild fingermillets(1 species) and wild buckwheat(2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Similarly, under vegetable crop plants of Araceae, Amaranthaceae, Crucifereae, Cucurbitaceae, Dioscoreaceae, Labiteae, Leguminosae, Liliaceae, Malvaceae, Polygonaceae, Solanaceae and Umbellifereae, 37 different wild species-wild colocasia(1 species), wild amaranths(3 species), wild leafy vegetables(2 species), wild gourds(3 species), wild cucumber(1 species), wild yams(4 species), wild mints(3 species), wild fenugreeks(4 species), wild pea(1 species), wild beans(3 species), wild garlics(2 species), wild spinach(3 species), wild lady's finger(1 species), wild spinach(3 species), wild eggplants(2 species) and wild carrot(one species) have also been identified. In case of wild relatives of cultivated orchard plants, 11 different wild species namely wild mango(one species), wild banana(one species), wild strawberry(one species), wild pear(one species), wild cherries(2 species), wild apple(one species) and wild grapes(3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Among 19 different wild species of economic crop plants, five wild species of sugarcane, one species of wild sunhemp, two wild relatives of cotton, three wild relatives of rose, two wild species of tobacco, four wild species of turmeric and two wild species of tea have also been identified. This report includes only sample of the total wild species of the present-day cultivated agricultural crop plants. Further exploration on this economic botany will help the country in cataloging the wild relatives of cultivated crop plants and their future use in crop improvement.

  • PDF

'캠벨얼리'와 '탐나라' 포도의 꽃과 소포자 발달 (Flower and Microspore Development in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and 'Tamnara' (V. spp.) Grapes)

  • 임보미;문정환;정영민;허윤영;유희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20-428
    • /
    • 2015
  •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의 포도 꽃은 완전화로서 개개의 꽃들이 모여 화서를 이룬다. 포도 꽃은 5개의 수술, 1개의 암술, 5개의 꽃잎이 융합된 구조인 화관, 그리고 융합된 형태의 꽃받침을 가지며 화방 내 각각의 꽃은 수정하여 과립으로 발달한다. 포도에서는 과립 형성이나 과립비대, 당도의 축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된 반면 배우체의 형태 형성, 꽃 기관의 구조, 그리고 꽃 발달과 같은 꽃의 형태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와 '탐나라'의 두 품종에서 꽃의 구조와 발달에 따른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포도 꽃의 발달 단계 결정은 애기장대에서 소포자의 형성부터 수 배우체의 발달 시기인 꽃발달 9단계부터 13단계로만 한정하였다. 포도 꽃 발달 9단계에서는 4분포자가 나타났고 꽃 발달 10에서 11단계 동안에는 단세포성 소포자에서부터 중기 2세포성 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개화 직전의 꽃 발달 12단계 말에는 성숙한 3세포성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꽃 발달 13단계에는 화관이 탈락하고 개화가 일어났다. 꽃 발달 9단계부터 12단계까지 꽃받침 길이는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화관의 길이는 계속 증가했다. 두 포도 품종에서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꽃 발달 9단계에서는 2.0, 꽃 발달 10단계에서는 3.0, 꽃 발달 11단계에서는 4.5, 꽃 발달 12단계에서는 6.5로 나타났으며,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을 사용하여 꽃 발달 단계를 판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캠벨얼리'와 '탐나라'에서 꽃 발달 단계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형태적 지표가 개발되었다. 이를 이용하면 두 품종에서 소포자 배양 시기의 판정이나 '탐나라'에서 무핵과 유도를 위한 지베렐린 처리 시기의 판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도 '캠벨얼리'의 웨이크만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력과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Labour and Growth Characters of Grape cv. 'Campbell Early' between Wakeman and Modified-T Trellis Training Systems)

  • 박서준;조은경;김수진;허윤영;남종철;황해성;박정관;정성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6-211
    • /
    • 2016
  • 개량일자형 수형과 웨이크만식 수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형으로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 전정형 품종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웨이크만식 수형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시간과 노동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송이다듬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7.3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12.3/10a 시간이 소요되었다. 봉지씌우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0.1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2 시간/10a가 소요되었다. REBA index를 이용하여 송이다듬기와 봉지씌우기의 노동강도를 확인한 결과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3점,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6점을 나타내었다. 한편, 개량일자형 수형에서는 포도나무 신초들의 절간장과 절간굵기의 강한 생장도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량일자형 수형은 우리나라의 포도과원 생력화에 더욱 편리한 수형이다.

Salicylic acid 및 1-MCP 처리가 '캠벨얼리' 포도의 생리장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cylic Acid and 1-Methylcyclopropene on Physiological Disorders and Berry Quality in 'Campbell Early' Table Grapes)

  • 김성주;노수인;최철;임병선;안영직;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8-224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수출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에틸렌작용억제제인 1-methylcylopropene(1-MCP)과 에틸렌생합성 저해 효과를 지닌 salicylic acid(SA)를 단독 혹은 병행처리하여 과실의 저장 및 유통환경에서 발생하는 탈립, 갈변 및 부패 등 생리장해의 발생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에틸렌 발생물질인 에테폰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1-MCP 1,000ppb 훈증 처리 후 SA $25{\mu}M$을 살포 처리하고 $19^{\circ}C$에서 16일간 저장한 후 조사한 과립경도 및 산함량 수준은 단용처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탈립률은 $100{\mu}L{\cdot}L^{-1}$ 에테폰 처리구 41.7%, SA 처리구 40.8%, 1-MCP 처리구 38.2%로 나타났으나 1-MCP 처리 후 SA를 처리한 경우는 18.7%로 탈립방지 효과가 월등하였다. 브러쉬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에테폰 처리구는 1mm 미만의 비율이 74.3%로 매우 높게 나타났던 반면, 1-MCP 처리 후 SA를 처리한 경우는 2-4mm의 비율이 22.8%, 4-6mm 비율이 27.9%로 브러쉬 길이가 길게 조사되었다. 과축의 무게는 에테폰 처리구에서 2.3g으로 가장 낮아 감모율의 증가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과 1-MCP 및 SA의 감모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MCP와 SA는 저장 중 '캠벨얼리' 포도의 줄기갈변 억제 및 부패 경감에 일부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어 추후 수출시 품질유지를 위한 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