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PC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8초

산구절초, 자소엽, 찔레를 함유한 천연 화장품소재의 다성분 동시분석과 항산화활성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Compounds of Natural Cosmetic Resources Containing Chrysanthemum zawadskii, Perilla frutescens, Rosa multiflor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 함하늘;쉬레스타 아비나쉬 찬드라;김주은;이태범;유병완;김민숙;김광상;차준석;이용문;김종엽;임재윤
    • 생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12-321
    • /
    • 2018
  • Recently, consumer demand for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has been greatly expanded. To develop the natural cosmetic materials, we selected 3 plants,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CZ),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acuta Kudo (PF), and Rosa multiflora Thunberg (RM) which showed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an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We determined astragalin, chlorogenic acid, and rosmari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 of each material and standardization of the quality standards and manufacturing standards through LC/MS analysis. HPLC-DAD was used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se marker components of three natural product complexes (Mix) and to validate the analytical method through experiments such as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detection wavelengths were set at 210, 265, and 330 nm. The detected 3 compounds from extract of CZ, PF, RM showed significant linearity ($R^2${\geq_-}$0.9947). The limit of detection (LOD) of chlorogenic acid, astragalin and rosmarinic acid were $8.29{\mu}g/ml$, $2.28{\mu}g/ml$, and $27.00{\mu}g/ml$, respectively.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chlorogenic acid, astragalin and rosmarinic acid were $25.11{\mu}g/ml$, $6.92{\mu}g/ml$, and $81.83{\mu}g/ml$,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 three indicators of Mix were 19.82-24.71 mg/g of chlorogenic acid, 43.80-46.02 mg/g of astragalin, and 46.33-48.57 mg/g of rosmarinic acid.

참깨의 수입 형태에 따른 참기름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 obtained from imported sesame (Sesamum indicum))

  • 최지영;배수인;김지윤;김정수;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9-3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통참깨로 제조된 참기름과 수입산 참깨분으로 제조된 참기름, 참깨분과 통참깨를 혼합하여 제조한 참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수입 원료 차이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색도 분석 결과, 통참깨 참기름인 WS1가 $L^*$ value와 $b^*$ value가 가장 낮았으며, browning index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다른 통참깨 참기름인 WS2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참기름의 redness는 산가가 높을수록,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산패도 분석 결과, 과산화물가는 시료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산가는 수입산 원료에 따른 경향성은 없었으나, 상관관계 분석 시, 포화지방산함량이 높을수록 낮은 산가를 보였다. 항산화능 분석 결과, 참깨분 참기름의 TPC와 TFC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관능 평가를 실시했을 시, 전반적 기호도는 참깨분 참기름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분석 인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능 평가의 전반적 기호도 항목 점수가 향 점수와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참깨분 참기름이 특유의 고소한 향이 부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입산 참깨분 참기름은 특유의 향과 항산화능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색이나 산패도, 지방산 함량 등에는 통참깨 참기름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참깨분 참기름의 향기 성분에 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bioactivity of Sargassum macrocarpum extract)

  • 김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01-30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의 식품 및 화장품으로서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능 및 항염능, 항비만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실험으로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PPH, ABTS, NO, FRAP을 실시하였다. 폴리페놀의 경우 30.81±1.12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25.72±0.94 mg/g으로 나타났다. DPPH 실험에서는 6.746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15.59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O 실험에서는 6.781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4.573±0.097 ㎍의 환원력을 보였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보였으며,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25.95±0.85%의 염증 억제능을 보였으며, 29.75±2.35%의 지질 축적 억제능을 보여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이 항염능, 항비만능을 가진 이너뷰티 제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큰열매모자반이 포함하는 단일 물질들이 항산화, 항염, 항비만에 어떠한 기전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흑효모를 이용한 참도박 발효 추출물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rateloupia elliptica Fermenting Extracts Using Aureobasidium pullulans)

  • 부반빈;이경은;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31
    • /
    • 2021
  • 해양 홍조류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G. elliptica)을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A. pullulans)로 발효시킨 추출물들의 인간 피부각질세포주(HaCaT)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흑효모로 발효한 참도박 추출물은 참도박 추출물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content)은 최대 2.7 배로 증가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conten)는 최대 2.4 배 증가되었다. 인간 피부각질세포를 lipopolysaccharide (LPS) 또는 H2O2로 염증을 유도 한 후 참도박 추출물과 참도박 발효 추출물을 100 ㎍/mL 농도로 처리 한 결과 LPS 또는 H2O2 만 처리한 세포군에 비하여 약 3 ~ 10% 정도 세포생존율이 증가되었다. 또한 염증 유발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참도박 발효추출물이cyclooxygenase-2 및 70 kDa heat shock protein 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따라서 흑효모로 발효한 참도박은 항염효과를 가진 피부수렴용 화장품 소재로 유용하다.

Effect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raw chicken breast during cold storage

  • Barido, Farouq Heidar;Lee, Sung K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2호
    • /
    • pp.380-39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RV) extract as a natural antioxidant to extend the shelf life of chicken breast meat during storage. Pre-heating at (35℃, 100℃, 120℃, and 140℃) was conducted on heartwood of RV prior to extraction to improve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remove the allergenic compound urushiol.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RV pre-heated at 120℃ with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y observed at 62.29 EC50 ㎍/mL and 12.11 IC50 mg/mL, respectively. Pre-heating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with the highest improvement was seen at 120℃, 100℃, and 140℃ respectively, wherein 35℃ shared no difference with the raw RV (RRV). Urushiol content was vanished following pre-heating at 120℃ and 140℃. With respect to these result, pre-heating treatment at 120℃ was applied before the extraction of the heartwood of RV. Prepared breast meat sample was dipped into distilled water as a negative control, 0.02%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s positive control, and a solution containing detoxified RV extract (0.10%, 0.25%, 0.50%, 1.00%) at 4℃ for 60 min. Treatment group with 0.50% and 1.00% addition increas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 on day 6 and day 3 of storage respectively (p < 0.05). The pH value of breast meat was also increased in treatment of 0.50% and 1.00% on day 0, but subsequently lower until end of storge day compared to control negative (p < 0.05). Furthermore, 0.50% treatment exhibited a higher antioxidant activity, stronger inhibition of the microbial growth evaluated by total viable count and maintaining a lower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among treatments (p < 0.05), unless for BHT and 1.00% treatment groups (p > 0.05). It indicates a similar efficacy of detoxified RV extract with that of positive control treated with BH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dipping chicken breast meat into a solution containing 0.50% of previously pre-heated RV heartwood at 120℃ could be a promising natural antioxidant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its quality during storage.

식물성 유지 및 수중유적형 유화계에서 육두구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The antioxidant ability of nutmeg ethanolic extract in bulk oil and oil-in-water emulsion matrices)

  • 김지은;배지윤;김미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34-346
    • /
    • 2023
  • 본 연구는 육두구 종자가 천연 산화방지제로서 효과적으로 에멀젼 제조 시 안정성을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80% 에탄올로 추출한 육두구 종자(NM80)의 항산화 활성과 유지 산화안정성을 in vitro system과 실제 유지 및 유화액 산화 시스템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DPPH 및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과 ORAC가 평가에서 NM80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TPC, TFC, FRAP 환원력은 각각 33.74 μ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0.13 μmol quercetin equivalent/g extract, 295.27 μ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관찰되었다. 또한, 유지 산화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옥수수 기름을 180℃에서 90분 산화시켰을 때 NM80 200 ppm 첨가 시 일차산화물인 CDA가가 0.69%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3.26%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이차산화물인 ρ-AV와 TBA는 대조군보다 각각 16.94, 17.34% 낮았다. 또한, 유화액을 제조하여 NM80 200 ppm 첨가 후 60℃로 4일 동안 산화하였더니, 헤드스페이스 산소 함량은 20.44%로 대조군보다 산소 소비율이 6.29% 감소하였으며, CDA의 양은 대조군보다 82.85% 낮았다. 이러한 항산화 활성과 유지 산화 안정성에서 우수했던 NM80은 향기 성분으로 알릴 페녹시아세테이트, 유제놀 아세테이트, 유제놀 등이 검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항산화 활성과 유지 및 유화액의 산화 안정성의 효과가 있는 NM80을 식품가공 시 첨가한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 에멀젼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cooking and liquid smoke affect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lyhydroxy aromatic hydrocarbon (PAH) content in smoke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L.)

  • Silvana Dinaintang Harikedua;Ella Dertina Saragih;Eunike Louisje Mongi;Lena Jeane Damongilala;Netty Salindeho;Henny Adeleida Dien;Nurmeilita Taher;Helen Jenny Lohoo;Mayse Sofien Siby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0-21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quality of smoked fish products processed with liquid smoke with and without pre-cooking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25℃) for 0, 2, 4, and 6 days. The observations included moisture content, water holding capacity, color, and total plate and mold counts. The treated samples were also analyzed for polyhydroxyaromatic hydrocarbons (PAHs) at day 0. The study found that the pre-cooked products had a lower moisture content (55.1%) than the control (59.9%) during storage. Additionally, the pre-cooked product had a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than the control. The TPC value indicates that the pre-cooked product meets the Indonesian standard for smoked fish up to the 2nd day of storage, whereas the control product only meets the standard on day 0. However, the total mold of the control products meets the Indonesian standard until the 2nd day of storage, while the pre-cooked products only meet the standard on day 0. The pre-cooked product had a higher lightness value (L*) than the control. The analysis of polyhydroxy aromatic hydrocarbon (PAH) showed that the pre-cooking process did not affect the concentration of PAH.

겨자무 아임계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rseradish Subcritical Water Extracts)

  • 김인재;은수빈;김원희;박선빈;구희빈;김교남;이승철;최영임;박상근;박해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6-244
    • /
    • 2024
  • Melanin은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에서 발견되는 자연 색소로, 피부와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게 관여한다. Melanogenesis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melanocyte에서 수행한다. Tyrosinase는 기질인 tyrosine을 melanin으로 생합성 하는데 관여한다. 그러나 melanin의 과다 생성은 melasma, blotch, hyperpigmentation, 그리고 피부암과 같은 피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Kojic acid 및 arbutin과 같은 미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의 새로운 미백재료로서 잠재력을 연구하기 위해 겨자무(horseradish)를 선택하였다. 더 나아가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 아임계수 추출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아임계수 200℃ 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능 그리고 B16-F10 melanoma 세포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MTT reduction assay 및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겨자무 methanol 추출물 및 아임계수 200℃에서는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화장품의 천연 미백 기능성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지역 식품을 이용한 이유 보충식의 개발과 이의 영양학적 검토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upplementary Foods for Korean Infants and Children)

  • 안경미;문수재;최홍식;곽동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4호
    • /
    • pp.259-271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upplementary food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Three formulas composed of rice, soybeans, fish, dry skim milk and sesame in varying proportions were studied. The three formulas, $RS_{1}S_{2}$, $RFS_{1}S_{2}$, and $RMS_{1}S_{2}$, were consisted of Rice(R), Soybean$(S_{1})$, Sesame$(S_{2})$ (60 : 35 : 5) , Rice, Fish(F), Soybean, Sesame (60 : 10 : 25 : 5) , and Rice, Dry Skin Milk (M), Soybean, Sesame (60 : 10 : 25 : 5), respectively. A proximate analysis and amino acid determination were made on the developed formulas. In the animal assay, growth rate, PER and FER were evaluated and biochemical analyses were also carried out. A storage test and the cost evaluation were also conducted.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three formulas were 7.3-7.4% of moisture, 15.9-21.5% of crude protein, 7.8-9.6% of crude fat and 2.5-2.8% ash. 2) The result of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the 1st limiting amino acids of $RS_{1}S_{2}$ and $RFS_{1}S_{2}$ were lysine (amino acid score, 76.6) and threonine (amino acid score, 93.3), and that of $RMS_{1}S_{2}$ and the commercially prepared formula were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amino acid score, 82.0 and 54.4). When the contents of the amino acids of the three formulas were compared with mother's milk and cow's milk, the balance of the amino acid of each formula was superior to mother's milk but inferior to cow's milk. 3) In the animal assay, the growth rate of all groups increased gradual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4) The C- PER, which was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casein PER of 2.5 was 2.99, 3.38 and 3.10 in the $RS_{1}S_{2}$, $RFS_{1}S_{2}$ and $RMS_{1}S_{2}$ respectively. The C- PER of $RFS_{1}S_{2}$ and $RMS_{1}S_{2}$ were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that of the casein. 5) The FER of the casein, $RS_{1}S_{2}$, $RFS_{1}S_{2}$, and $RMS_{1}S_{2}$ were 0.37, 0.39, 0.43 and 0.39, respectively. The FER of $RFS_{1}S_{2}$ and $RMS_{1}S_{2}$ were also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that of the casein. 6) The concentrations of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and albumin in the serum of the rats of al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7) The storage stability test showed that the total plate count (TPC), the coliforms count and the bacterial spore count in the ingredients were quiet low. However, after 30 and 60 days storage, the count in $RFS_{1}S_{2}$ increased and were higher at room temperature than refrigerated temperature. 8) In the cost evaluation, the cost of the developed formulas was \1,826-2,626 / kg. This was less than that of the commercially prepared formula (\3,300-4,073 / kg) and that of the imported formula (\4,250-8,720 / kg).

  • PDF

Vibrio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조효소액에 의한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분해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Sargassum thunbergii Using Vibrio crassostreae PKA 1002 Crude Enzyme)

  •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안나경;최연욱;박지혜;배난영;임성미;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5-111
    • /
    • 2015
  • 지충이 물 추출물을 알긴산 분해능을 가진 V.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pH, 색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충이 물 추출물과 조효소액을 30℃에서 0, 3, 6, 12 및 24시간 반응시켜 환원당 생성능과 점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환원당 생성능은 반응 6시간에서 357.82 μg/ml로 가장 높아졌으며, 점도는 0시간에서 1.57 cp에서 반응 6시간에서 1.22 cP로 가장 낮아져 6시간에서 최적분해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pH 및 색도는 지충이 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이 각각 6.11과 6.1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색도는 효소분해물이 물 추출물보다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PC 함량은 지충이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이 2.54 및 2.55 mg/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지충이 효소분해물이 0.05−5 m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보다 낮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반면, chelating effect 측정 결과, 0.05−5 mg/ml 농도에서 효소분해물의 활성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Reducing power 측정 결과, 0.005−1 mg/ml 농도에서 지충이 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지충이 효소분해물은 지충이 물 추출물보다 금속봉쇄력의 활성이 증진됨을 확인하여, 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지충이 물 추출물과 달리 금속봉쇄력작용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