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9초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Developing Integrated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for Encourag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 황기연;신상영;조용학;손기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D호
    • /
    • pp.1-10
    • /
    • 2008
  • 최근 서울시는 TOD 기법을 활용하여 도심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TOD형 개발은 고밀개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통혼잡이나 환경의 질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도로 뿐 아니라 버스, 지하철 등의 용량을 함께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를 개발하여 TOD 개발을 촉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사례를 검토하고, 새로운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울시 도심에서 TOD형 고밀개발이 일어났을 때 교통부분의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는 승용차, 택시, 버스로 구성된 도로서비스환경지표와, 지하철서비스환경 지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지표를 통합하는 방법은 각 교통죤별 서비스환경에 각 죤별 수단분담률로 가중평균해서 계산하되, 각 수단분담률의 합은 1로 하였다. 이러한 통합교통서비스환경(ITLOS: Integrated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의 수치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며, 0에 가까울수록 개발에 필요한 교통여건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도심고밀개발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중교통과 도로교통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와 도로교통서비스 수준만을 고려하는 통행속도 지표를 활용했다. 두 지표 모두 도심 고밀 개발 시 교통서비스 수준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전체의 교통서비스 수준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사용할 경우 비율적으로 도심교통상황의 악화 정도는 평균속도지표의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반면 서울시 전체적인 개선폭은 비율적으로 상당히 높게 분석되었다.

꽃양배추 색소의 추출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Red Flower Cabbage Pigment)

  • 이장욱;이향희;임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9-152
    • /
    • 2001
  • 새로운 천연식용색소원으로서 꽃양배추(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로부터 anthocyanin색소의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된 색소는 $pH\;1{\sim}12$의 범위에서 pH가 높아질수록 ${\lambda}_{max}$가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bathochromic shift 현상을 보였으며 추출용매의 citric acid의 농도가 증가수록 추출속도가 빨라지고 TOD가 증가하였다. 꽃양배추 색소의 추출용매에 $0.8{\sim}1.0%$ citr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최대 TOD값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인 증류수에 10-20% ethanol을 첨가하였을 때 색소의 추출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citric acid 0.8%를 함유한 10% ethanol 수용액이 꽃양배추 색소를 추출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용매로 결정하였다.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색소추출속도가 증가하였으나 고온에서 추출할 경우 추출시간이 길어지면 색소가 파괴되어 TOD값이 감소하였다. 추출온도 5, 20, 40 및 $60^{\circ}C$에서 TOD값이 2.1에 이르는 시간은 각각 24, 8, 4, 2시간으로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속도가 증가하여 추출시간이 단축되었다.

  • PDF

의사결정방법에 따른 TOD 계획요소 중요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Importance of TOD Planning Factors according to Decision Making Methods)

  • 임삼진;박준태;김태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54-661
    • /
    • 2012
  • 본 연구는 대중교통 이용을 영향을 미치는 TOD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도시철도 역세권 환경의 실제적 특성과 계획적 특성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평가 방법론적 의미로서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는 평가방법의 타당성과 전문가들에 의한 정성적 설문조사에 기초한 평가방법의 타당성과에 세부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조성된 역세권 환경(정량적)의 현실적 특성과 전문가 관점(정성적)의 계획적 특성의 중요도 분석을 통해 향후 역세권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통행행태와 도시공간특성에 관한 위계적 분석 (A Hierarchical Analysis on the Commuting Behaviors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 Seo, Jongg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06-5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OD는 대중교통수단의 분담율 제고가 목적인데 이를 위한 정책대안의 모색에 필요한 새로운 분석기법을 제시하였다. 교통수단의 결정요인은 개인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도시공간특성인데 이 요인들은 상호의존적으로 복합적 결합작용은 한다. 또한 개인과 그룹 및 지역 특성은 서로 다른 차원에서 상호의존성을 갖는다. 전통적 회귀분석과는 달리 위계적 분석모형은 요인들 간의 상호의존성과 복합결합적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석 기법에 의한 결과는 보다 효율적인 TOD정책 대한의 모색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행행태와 도시공간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mmuting Behaviors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 서종국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175-1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OD는 대중교통수단의 분담율 제고가 목적인데 이를 위한 정책대안의 모색에 필요한 새로운 분석기법을 제시하였다. 교통수단의 결정요인은 개인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도시공간특성인데 이 요인들은 상호의존적으로 복합적 결합작용은 한다. 또한 개인과 그룹 및 지역 특성은 서로 다른 차원에서 상호의존성을 갖는다. 전통적 회귀분석과는 달리 위계적 분석모형은 요인들 간의 상호의존성과 복합결합적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석 기법에 의한 결과는 보다 효율적인 TOD정책 대한의 모색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천미골을 보기에 유용한 뼈스캔 측부영상 (Useful Lateral Views of Sacrococcygeal Region in Skeletal Scintigraphy)

  • 윤민기;최원식;황경훈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9-211
    • /
    • 2005
  • A tail-on-detector (TOD) view has been used to see the symphysis pubis or sacrococcyx in skeletal scintigraphy, but it is inconvenient to acquire because a patient must sit or lean on a detector. The TOD views are still frequently performed in training hospitals in Korea, although it is becoming almost impossible to sit on a camera in this age of dual-headed cameras. The authors show cases with lateral views obtained in supine position that were acquired for the same reason; they are easier and more useful than the TOD views.

TOD: Trash Object Detection Dataset

  • Jo, Min-Seok;Han, Seong-Soo;Jeong, Chang-Su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8권4호
    • /
    • pp.524-534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duce Trash Object Detection (TOD) dataset to solve trash detection problems. A well-organized dataset of sufficient size is essential to train object detection models and apply them to specific tasks. However, existing trash datasets have only a few hundred images, which are not sufficient to train deep neural networks. Most datasets are classification datasets that simply classify categories without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existing datasets differ from the actual guideline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recyclables because the category definition is primarily the shape of the object. To address these issues, we build and experiment with trash datasets larger than conventional trash datasets and have more than twice the resolution. It was intended for general household goods. And annotated based on guideline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recyclable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ur dataset has 10 categories, and around 33K objects were annotated for around 5K images with 1280×720 resolution. The dataset, as well as the pre-trained models, have been released at https://github.com/jms0923/tod.

해수중에서 유처리제 및 유처리제/Bunker-C유 혼합물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에 관한 연구(I) - 유처리제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 -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I) -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 -)

  • 김광수;박청길;유선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3-501
    • /
    • 1993
  • 유처리제의 생분해도와 유처리제가 해수중의 용존산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세 제품의 유처리제(SG, GL, WC)와 비이온 계면활성제(OA-5)에 대한 TOD분석, 원소분석 및 해수중에서의 생분해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mg의 유처리제는 $2.37{\sim}2.80mg$의 TOD, 1mg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2.45mg의 TOD를 나타내었다. 2. 유처리제는 탄소가 $67.6{\sim}76.5\%$, 수소가 $10.2{\sim}12.3\%$였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탄소가 $65.3\%$, 수소가 $10.3\%$였으며 어느 것에서도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3. 유처리제는 생분해시 제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1mg의 유처리제가 $0.403{\sim}0.595mg$$BOD_5$$0.703{\sim}0.855mg$$BOD_{20}$를 유발하였다. 또한 1mg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0.50mg의 $BOD_5$ 및 0.97mg의 $BOD_{20}$를 나타내었다. 4. 해수중에서 탈산소계수($K_1$)는 유처리제(4.0mg/l)의 경우 $0.121{\sim}0.171/day$, 비이온 계면활성제(2.0mg/l)의 경우 0.181/day로 나타났다. 또한 유처리제 1mg의 최종산소요구량($L_o$)은 $0.789{\sim}0.953mg$로서 계면활성제 1mg의 최종산소요구량 0.956mg과 비슷하였으며, Glucose 1mg의 TOD값 1.07mg에 접근하는 값이었다. 5. 해수 중의 생분해도($BOD_5/TOD$)에 있어서, 유처리제는 $17{\sim}21\%$,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약 $20\%$로서 모두 중간 분해군에 속하였다.

  • PDF

TOD구현을 위한 주택유형별 거주자의 통행행태 비교 분석 및 시사점도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and Implication Deduction for TOD Implementation)

  • 이규진;박관휘;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7-38
    • /
    • 2014
  • 최근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개발을 위한 통합 도시 교통 계획은 중요한 이슈인 바 효과적인 대중교통 중심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택지에서부터 거주민의 통행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 기반하여 주택유형별로 거주자의 통행행태를 비교하였고, 특히 주택유형별로 지하철 통행빈도 추정 모형을 구축하여 지하철 통행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지하철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버스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단독주택(22.8%)이며, 지하철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오피스텔(17.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피스텔과 연립주택 거주민의 지하철역까지 평균 도보접근거리는 각 661m, 749m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주택 거주민의 자동차와 자전거 보유대수가 많을수록 지하철 통행이 감소하며, 거주지의 인구밀도가 높으며 지하철 접근성이 양호하고 버스 접근성이 불량할수록 지하철 통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의 계획적 요소는 주택 유형지에 따라 차별되어야 함을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주택유형 거주자의 통행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설계에 활용되어질 수 있고, 대중교통 이용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