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A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4초

모바일 위치추정을 위한 TOA 최단거리 알고리즘 (A TOA Shortest Distance Algorithm for Estimating Mobile Location)

  • 프라드한 사지나;황석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883-1890
    • /
    • 2013
  • 위치 추정 기술 (LDT, Location Detection Technology)은 자원관리 및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선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LBS(Location Based Service)의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이동국(MS, mobile station)의 위치는 세 개의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의 좌표와 이동국과 기지국들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반지름에 기초한 세 개의 원들에 기반한 도래시간(TOA, Time of Arrival)기법을 사용하여 추정된다. 삼각변 측량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원들이 한 점에서 만나야 하는데, 이동국과 기지국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시간지연 개수와 전송 주파수에 따라 원들의 반지름이 증가하여 세 개의 원들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는 경우들이 발생한다. 반지름이 증가된 세 개의 원들은 여섯 개의 교점을 가지게 되고 이 교점들 중 세 개의 교점들이 특정 이동국의 좌표에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여섯 개의 전체 교점들 중에서 세 개의 내부 교점들을 선택하는 TOA 삼각변 측량법을 위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여섯 개의 교점들 중 이동국의 좌표와 가장 가까운 세 개의 교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교점들의 평균 좌표를 특정 이동국의 위치로 결정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예를 통해 확인된다.

위성센서 대리 검보정을 위한 소노란 사막의 복사 가변성 연구 (Study on Radiometric Variability of the Sonoran Desert for Vicarious Calibration of Satellite Sensors)

  • 김원국;이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9-218
    • /
    • 2013
  • 북미 지역에 위치한 소노란 사막은 많은 위성 광학 센서의 대리 검보정에 이용되어왔다. 소노란 사막은 대리 검보정에 적합한 조건들, 즉 높은 반사율, 적은 식생, 비교적 넓은 면적, 적은 강우량 등을 가지고 있지만, 고도가 낮고 바다에 근접해 있어 대기의 수증기량에 계절적 변화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대기 상층의 반사율(Top-Of-Atmosphere reflectance, TOA reflectance)만을 이용하여 센서의 감퇴(sensor degradation)를 추정하는 대리 검보정 방법의 경우, 이러한 대기 가변성은 대리 검보정의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논문에서는 12년간에 걸쳐 수집된 Landsat 5 영상을 이용해 소노란 사막 지역 내에서 복사도의 가변성이 가장 작은 위치를 찾아내고, TOA 반사율 가변성의 또 다른 원인인 양방향 반사분포함수(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 BRDF)를 규명하여 그에 대한 보정을 시도하였다. 실험의 결과, 소노란 사막의 중서부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밴드에 대해 고루 낮은 가변성을 가지는 지역임이 밝혀졌고, BRDF 모델을 통하여 태양-타겟-센서 간의 위치변화로 말미암은 가변성을 고려한 결과, 가시광선 밴드들의 경우 그 BRDF 효과가 상당히 감소하였지만, 근적외선 밴드들의 경우 대기 가변성으로 인해 BRDF 효과가 많이 제거되지 못하였음을 관찰하였다.

Sensor Location Estimation in of Landscape Plants Cultivating System (LPCS)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IoT

  • Kang, Tae-Sun;Lee, Sa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226-231
    • /
    • 2020
  • In order to maximize the production of landscape plants in optimal condition while coexisting with the environment in terms of precision agriculture, quick and accurate information gathering of the intern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growing container is necessary. This may depend on the accuracy of the positioning of numerous sensors connected to landscape plants cultivating system (LPCS) in containers. Thu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sensors related to cultivation environment connected to LPCS by measur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or time of arrival TOA received between oneself and adjacent sensors. The Small sensors connected to the LPCS of container are known for their locations, but the remaining locations must be estimated. For this in the paper, Rao-Cramer limits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are derived from Gaussian models and lognormal models for TOA and RSS measurements, respec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RSS and TOA range measurements can produce estimates of the exact locations of the cultivation environment sensors with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related to the LPCS.

실내 환경에서 초광대역 무선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위치인식 기법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WR Positioning Technique with Ultra Wideband in Indoor Channel)

  • 배정남;최영훈;김진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7호
    • /
    • pp.18-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에서 초광대역 무선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위치인식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환경은 IEEE802.15.3a 채널을 사용하였고, 위치인식 기법으로 TO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광대역 무선통신 기술은 낮은 송신 전력으로 기존 시스템에 간섭의 영향이 적고, 주파수 공유가 가능하므로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매우 좁은 폭을 갖는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치인식의 정밀도가 높다. 비동기 TWR 프로토콜을 이용한 TOA방식은 단말과 기지국뿐만 아니라 기지국들 간에도 동기화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초광대역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인식 기법의 실내 채널 영향에 대한 오류 확률 및 위치인식 성능에 대해 분석하였고 제안된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을 위한 Field Campaign과 시험결과 (Field Campaigns and test results for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 이선구;김용승
    • 항공우주기술
    • /
    • 제5권2호
    • /
    • pp.213-219
    • /
    • 2006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2006년 발사될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절대복사보정(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을 위한 준비로, Orbview-3 위성의 통과시간에 맞추어 2004년 11월 4일 과 2005년 3월 7일에 고흥과 대전에서 Field campaign을 수행하였다. 절대복사보정은 vicarious calibration 방법 중 targets의 반사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Field campaign을통해 수집된 지표자료와 대기자료들을 이용하여 top-of-radiance(TOA)를 추출하였다 대기 복사모델로는 MODTRAN 4.0이 사용되었으며, 추출된 TOA radiance와 Orbview-3 Panchromatic DN과 비교를 하여 절대복사보정을 위한 offset과 gain계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Field Campaign으로부터 축적된 경험을 이용하여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절대복사보정에 적용할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Error Analysis of time-based and angle-based location methods

  • Kim, Dong-Hyouk;Song, Seung-Hun;Sung, Tae-K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79-483
    • /
    • 2006
  • Indoor positioning is recently highlighted and various kinds of indoor positioning systems are under developments. Since positioning system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proper positioning scheme sh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required specifications. Positioning methods are often classified into time-based and angle-based one, and this paper presents the error analysis of these location methods. Because measurement equations of these methods are nonlinear, linearization is usually needed to get the position estimate. In this paper, Gauss-Newton method is used in the linearization. To analyze the position error, we investigate the error ellipse parameters that include eccentricity, rotation angle, and the size of ellips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ajor axes of error ellipses of TOA and AOA method lie in different quadrants at most region of workspace, especially where the geometry is poor. When the TOA/AOA hybrid scheme is employed, it is found that the error ellipse is reduced to the intersection of ellipses of TOA and AOA method.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중 왕복시간차를 이용한 위치측정 (A Localization Using Multiple Round Trip Tim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장상욱;하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5호
    • /
    • pp.370-378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s)에서는 수많은 센서들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 배치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센서들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다양한 응용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센서 노드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신호의 도착시간차(time-of-arrival, TOA)에 기반을 둔 방법이 가장 정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TOA방법에서는 두 노드간에 clock skew나 clock drift가 생기면 거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기적인 시간동기화 기법들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에서는 거리오차를 줄일 수 있지만 시간동기화에 따른 overhead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clock skew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거리와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신호의 다중 왕복시간차(multiple round-trip times of arrival, RTOA)에 기반한 위치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RTOA가 기존의 TOA방법보다 최대 93%의 위치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eLoran 송신국 배치 최적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geometrical placement of eLoran stations in Korea)

  • 이창복;신미영;황상욱;이상정;양성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40
    • /
    • 2013
  • eLoran에서의 항법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오차요인은 수신기의 eLoran 측정치인 TOA 측정치 오차와 수신기와 송신국들 사이의 기하학적인 배치(GDOP)에 의한 오차로 구분할 수 있다. TOA 측정치의 오차 보정을 위해서는 dLoran 기준국에서 측정한 ASF 변동값을 LDC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하면 가능하다. 또한 송신국들의 기하학적 배치에 따른 위치측정 정확도는 DOP로 결정되며 송신국의 최적의 기하적인 배치는 항법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eLoran 구축에 대비하여 우수한 항법 성능을 갖는 데 필요한 eLoran 송신국의 기하학적인 배치를 결정하였고, 최대 6 개까지 송신국을 배치할 경우에 대해 각각의 항법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eLoran 송신국 배치 방안은 항만에서 항법 및 시간주파수 와 관련하여 요구하는 HEA 정확도를 만족하는 eLoran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활용될 수 있다.

EP 레이더의 D&S PRI와 Stagger PRI 신호식별 알고리즘 (A Novel Algorithm for Deinterleaving of D&S PRI and Stagger PRI Signals from the EP Radar)

  • 임중수;채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372-537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자전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자보호(EP) 레이더에서 송신되는 D&S PRI(pulse repetition interval) 신호와 스태거(stagger) PRI 신호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PRI 신호분석 방법은 레이더 펄스신호들의 도착시간(TOA)의 1차 차분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PRI 패턴을 분석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펄스신호들의 TOA 1차 차분과 2차 차분을 이용하여 다양한 PRI 패턴을 빠른 시간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EP 레이더 PRI 신호들을 모의해서 송신한 후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신호식별을 수행한 결과 고정 PRI, 지터 PRI, D&S PRI, 스태거 PRI 등 다양한 PRI 신호들에 대한 식별능력이 우수하여 EP 레이더의 신호식별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OA 기법을 이용한 재머 위치추적시스템 설계 (Design of a Jammer Localization System using AOA method)

  • 임덕원;최윤섭;이상정;허문범;남기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41-1249
    • /
    • 2011
  • 위치가 고정된 다수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전파 송신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으로 TOA, TDOA, AOA 기법이 있다. 이 중 TOA 기법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시각이 동기 되었을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고, TDOA 기법은 광대역 신호에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재머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AOA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OA 측정치의 특성을 분석하고, 시스템 설계 파라미터에 따른 측위성능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목표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재머 위치추적시스템을 설계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10km거리의 재머에 대한 위치추적 오차가 38m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