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SS mathematic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 수업 변인과 학생 성취도의 상관관계 - TIMSS-1999 결과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Instruction Variables and Students - Achievement based on TIMSS-1999 -)

  • 한경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409-433
    • /
    • 2005
  • This article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school contexts for learning and instruction of mathematics based on the results and data of TIMSS 1999. It is organized around two major topics: teacher and students achievement, instruction and students achievement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major findings. First, about $50\%$ of Korean eight-grade students were taught mathematics by teachers in their 30s, and this was higher than the international average. Most of teachers in Korea had certification of teachers majors in mathematics. Korean teachers reported relatively low confidence to teach mathematics compared to other counties. And Korean students taught by teachers who believes they were well prepared attained low achievement scores in contrast to international result. Second, korean teachers spent about $50\%$ of their formally scheduled school time teaching their subject, but is was below the international average. They spent much more time on administrative duties and other related activities than other countries. Korean students reported that most of their class time were spent lecture style presentations by teacher. Also they reported that teachers showed them how to do mathematics. The percentages of Korean students were placed on the low level of index of emphasis on mathematics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The students taught by teachers who emphasized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showed low achievement scores in contrast with result of the previous literatures. Korean teachers didn't seem to emphasize homework and assessments. Internationally, teachers frequently used teacher-made objective tests and projects or practical exercises, but Korean teachers die less in most of categor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article presents implications about teacher education,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ing in teachers tasks, using everyday life topics, as learning materials, specialization instruction methods for each subject matter. This article is a kind of descriptive and factual in nature, but some attempt has been made to contextualize these results focused on teachers and instruction.

  • PDF

TIMSS 2003의 내용 영역별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Intern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ontent Areas Based on TIMSS 2003)

  • 김선희;김경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39-261
    • /
    • 2008
  • 본 연구는 TIMSS 2003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를 내용 영역별로 싱가포르, 대만, 홍콩, 일본과 비교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구성형과 선다형 문항 모두에서 싱가포르에 비해 정답률이 낮았으며 일본에 비해서는 선다형 문항의 정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영역별 평균 정답률을 보면, 우리나라는 수 영역에서 싱가포르보다 낮았는데, 특히 '비 비율 백분율'의 차이가 컸다. 대수 영역의 하위 주제 정답률은 높았지만 측정 영역, 특히 '속성과 단위'에서는 정답률이 5개국 중 가장 낮았다. 기하 영역에서는 평균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나,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대칭과 변환'에서는 높지 않았다. 자료 영역에서도 정답률이 높지 않았는데 우리나라 학생들이 중앙값, 범위, 분포 상태, 자료를 통해 미지의 값 추정하기, 자료 해석에 대하여 평가하기 등의 내용에 대한 학습 경험이 부족한 것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문항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답률이 국제 평균보다 35% 이상 높은 문항은 194개 중 42개로서 수 10개, 대수 9개, 측정 10개, 기하 7개, 자료 6개였고, 국제 평균보다 낮은 문항은 측정, 기하, 자료 영역에 각각 하나씩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보다 전체 성취도 순위가 높았던 싱가포르에 비해 정답률이 20% 이상 낮았던 문항은 10개가 있었다.

  • PDF

수행형 문항과 선다형 문항의 수학적 능력 추정 효율성 비교 (A Comparison of Free Response Items and Multiple Choice Items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Estimating Mathematical Ability)

  • 박정;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51-162
    • /
    • 2004
  • For the past several years,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widely used by mathematics teachers. The superior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compare to multiple choice items has been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these discussions tend to be lack of empirical data.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ree response items in comparison with multiple choice items. Using the information function in Item Response Theory(IRT), item information of free response items and multiple choice items from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TIMSS-R) were obtained and compared. Test informations of the whole mathematics area as well as each content area of mathematics were computed. On average, tree response items yielded more information than multiple choice items, especially in measurement and data interpret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free response items estimated students' mathematics ability more accurately than multiple choice items with smaller number of items.

  • PDF

제3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복연구(TIMSS-R)$^{1)}$ 중 화학 영역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Chemistry achievement i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 (TIMSS-R))

  • 정경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9-30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1999년에 38개국이 참가하여 시행된, 제3차 수학 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복연구(TIMSS-R)중 화학 영역 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화학 성취도를 외국 및 다른 과학 영역과 비교하고, 소영역(물질의 분류, 물질의 구조, 화학반응과 변환, 에너지와 화학 변화)별로 각 문항의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 학생들의 화학 점수는 국제 평균보다 높았으나, 다른 과학 영역과 비교하면 그 성취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에너지와 화학 변화 영역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의 교육과정상 다루지 않는 주제가 많았다. 화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교육과정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경험이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성취 집단별 차이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in High and Low Achieving Students)

  • 최지선;상경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63-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IMSS 2015에 참여한 4학년, 8학년 학생들을 각각 성취도 상위 집단(우수수준 이상)과 하위 집단(보통수준 이하)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교육맥락변인이 수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 상위 집단의 경우에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 중 도서 보유량과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수학 성취도와 수학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었다. 둘째, 성취도 하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4학년의 경우에 도서 보유량, 가정 학습 환경, 취학 전 수리 활동이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의 성취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4학년에서 부모 학력,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 등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만 영향을 주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학에 대한 흥미의 경우에도 4학년과 8학년에서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도서보유량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만 영향을 미쳤다.

국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 분석을 위한 국가 수준 진단평가 모형 탐색 (An Investigation of a Country-Level Diagnostic Assessment Model for the TIMSS)

  • 박찬호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19
    • /
    • 2018
  •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와 같은 교육평가의 목적은 국가와 같은 집단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평가의 단위가 학생보다 상위 수준일 때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층 문항반응이론 기반의 집단 수준 진단평가 모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Park과 Bolt(2008)가 제안한 문항특성모형을 수정하여 새로운 다층 문항반응이론 기반의 집단 수준 진단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수정된 모형은 2015년에 실시된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의 8학년 수학 평가 자료에 적용되었다. 그 결과 9개의 인지적 요소에 대한 국가들의 프로파일을 구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국가 간 비교 또는 요소 간 상호 비교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잔차항을 설명할 수 있도록 수정된 모형은 보다 높은 신뢰도를 지니며 국가 간 비교에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한국 수학 수업의 조직 및 교수 활동 분석: LPS(Learner's Perspective Study) 수업 자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Mathematics Class Organization and Teacher's Approach and Activities: Focused on the Lessons from Learner's Perspective Study)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7-14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13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수학 수업 국제 비교 연구인 LPS(Learner's perspective Study)의 한국 수업 자료를 수업 조직과 교수 활동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한국 교사 두 명으로부터 각각 10차시씩, 총 20차시의 수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차시의 흐름에 따라 동일 교사 내에서 수업 조직과 교수 활동이 차이를 보였지만, 두 교사의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평균을 구한 결과 수업 조직과 교수 활동의 세부 항목 비중이 상당히 근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수업 조직과 교수활동 측면에서 분석한 한국의 결과를 중국(상하이, 홍콩)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업의 특징을 추출하고 수업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을 이용한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Earth Science Curriculum using the TIMSS 2019 Eighth Grade Earth Science Evaluation Framework)

  • 박기락;박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1-2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의 학습 시기와 학습량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설계 및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남한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의 통합과학과 지구과학 I·II 교과서이며, 북한은 초급중학교의 자연과학 1·2와 조선지리 2, 고급중학교의 지리 1 교과서이다.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은 반복 학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습 이해에 효과적인 반복 학습이 적용된 내용은 8학년까지 1개에 그친다. 둘째, 남한은 학습 시기 조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북한과의 내용 시기 차이가 발생하고 TIMSS 기준 50%에 해당하는 내용의 학습 시기가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남한과 북한은 학습하지 않은 TIMSS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향후 남·북한의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접근 방법 비교 분석과 통합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실질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비와 비율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TIMSS 평가목표와 공개문항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Curricula and the Textbooks Concerning the Proportion and Ratio Area between Korea and Singapore)

  • 김경희;백희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473-491
    • /
    • 2010
  • TIMSS 2007에서 싱가포르는 우리나라에 비해 전반적인 성취도는 낮았지만, 싱가포르가 보여준 우수한 성적은 여러 국가에서 싱가포르의 교육을 연구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싱가포르가 우리나라에 비하여 높은 정답률을 나타낸 '분수와 소수', '비, 비례식, 백분율', '측정'의 3가지 주제 중 '비, 비례식, 백분율'의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TIMSS 2007의 공개문항을 4가지의 평가 목표에 따라 살펴본 후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과서에서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싱가포르 교과서가 비 개념을 1년 먼저 도입하고 있었다. 둘째, 싱가포르 교과서는 '비, 비례식, 백분율'의 주제에 대하여 학년별로 반복 심화하여 다루고 있으며 그 양적인 면에서도 많았다. 셋째, 비 개념의 도입과 정의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비례식을 도입하는 방식이 달랐으며, 싱가포르는 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제를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 영향 변인 간 공통성 분석 (Commonality Analysis of Context Variables for Math Teachers' Confidence)

  • 박지현;이유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755-768
    • /
    • 2016
  • 교사의 수업자신감은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교사의 직업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도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TIMSS 결과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리나라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수업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교사경력, 수업준비도, 교사협력, 수업제한의 네 가지 맥락변인이 우리나라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변인들이 수업자신감의 변화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네 가지 예측 변인을 투입했을 때 수업준비도, 교사협력, 수업제한의 세 가지 변인이 수업자신감에 영향을 주고, 수업자신감의 변화에 대한 설명력의 경우 다른 변인이 합성되지 않은 수업준비도의 고유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