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GF-{\beta}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29초

X-선 조사로 생긴 흰쥐 폐장 상해의 형태학적 변화: Captopril에 의한 폐장 상해의 경감 효과 (Histomorphologic Change of Radiation Pneumonitis in Rat Lungs : Captopril Reduces Rat Lung Injury Induced by Irradiation)

  • 김진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38-248
    • /
    • 1999
  • 목적 : 방사선조사 후 발생하는 폐손상을 형태학적 측면에서 평가하고 captopril의 방사선조사 후 폐손상의 경감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captopril의 방사선에 의한 폐손상의 영향에서 TNF-${\alpha}$와 TGF-${\beta}$의 변화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prague-Dawley 종 수컷 흰쥐 30마리를 골라 방사선조사만 한 군, 방사선조사 후 captopril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방사선조사는 10 Gy, 20 Gy, 30 Gy를 우측 폐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 조사군은 방사선조사 후 각각 12 시간, 11주 후에 도살하고 방사선조사 후 captopril을 투여한 군(captopril 500 mg/L를 증류수에 타서 먹임)은 11주(fibrotic period) 후에 도살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 후 12 시간내의 실험군의 폐는 부분적으로 폐실질의 허탈과 경화가 방사선조사량이 많아질수록 그 정도와 범위가 증가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11주에는 방사선 단독 조사군에서 폐섬유화의 정도와 범위가 방사선조사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captopril을 함께 사용한 군에서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해 폐섬유화의 경감효과가 현저하였다. 방사선 단독군에서는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비만세포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Captoprll을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비만세포 수의 증가 정도는 현저히 낮았고 교원질 침착의 정도도 현저히 감소되었다. TNF-${\alpha}$, TGF-${\beta}$는 방사선조사 직후(12 시간) 군에서는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방사선조사 후 11주군에서는 TGF-${\beta}$는 방사선량이 많아짐에 따라 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captopril 투여군에서는 그 발현이 다소 감소하였다. Captopril을 사용한 군에서는 교원질의 양은 증가하였으나 방사선 단독군에 비해 교원질의 양이 적었고 혈관주위 비후의 정도와, 모세혈관의 변화정도, mast Cell의 수와 탈과립, 섬유모세포의 수도 적었다. 결론 : 방사선조사후 방사선 폐렴에서 captopril 영향은 방사선에 의한 비만세포의 출현을 억제시키고 교원질의 침착을 감소시킴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섬유화를 예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TNF-${\alpha}$와 TGF-${\beta}$의 발현은 방사선조사 후 초기에 증가하며 TGF-${\beta}$는 방사선조사 후 만성기에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Captopril이 방사선조사 후 발생하는 폐손상을 감소시키는 기전을 밝히는 향후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aphylococcus enterotoxin B와 lipopolysaccharide를 작용시킨 사람 섬유아 세포에서 생성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 IN HUMAN FIBROBLASTS INDUCED WITH STAPHYLOCOCCUS ENTEROTOXIN B AND LIPOPOLYSACCHARIDE)

  • 이성근;김광혁;김욱규;김종렬;정인교;양동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123-132
    • /
    • 2000
  • $TGF-{\beta}_1$ is a potent chemotactic factor for inflammatory cells and fibroblasts. It also stimulates the celluar source and components of extracellular matrix and the production of proteinase inhibitors. Collectively, these biologic activities lead to the accumul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nascent matrix, which is vital to infection contro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duction of $TGF-{\beta}$ in vitro fibroblast culture in the presence of Staphylococcus enterotoxin B(SEB) and/or lipopolysaccharide(LPS) and to elucidate the role of $TGF-{\beta}_1$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infection control. The fibroblasts were originated from gingiva and facial dermis in 26 year-old male patient. In the presence of LPS($0.01{\mu}g$, $0.1{\mu}g$, $1.0{\mu}g$), SEB($0.01{\mu}g$, $0.l{\mu}g$, $1.0{\mu}g$) respectively, $cells(5{\times}10^3ml)$ were cultivated in vitro. At 1, 3, and 5 days after incubation, cells were counted. Also, $cells(2.5{\times}10^5ml)$ were cultivated in EMEM with LPS(0.01, 0.1 and $1.0{\mu}g$), SEB(0.01, 0.1 and $1.0{\mu}g$) respectively and $LPS(0.1{\mu}g)$ and $SEB(0.1{\mu}g)$ in combination for 24,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Culture supernatants were harvested at 1, 2, and 3 days after incubation period and triplicate culture supernatants were pooled and $TGF-{\beta}_1$ was assayed in duplic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ingival fibroblast induced with SEB and LPS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the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occurred very significantly since 3 days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the production of $TGF-{\beta}_1$ occurr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2. In facial dermal fibroblast induced with SEB and LPS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the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occurr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SEB exposure,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de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in LPS, SEB and LPS exposure,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in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l toxins and the incubation period correlated with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ion of $TGF-{\beta}_1$ very significantly. The gingival and facial dermal fibroblasts have different phenotype each other The orchestrated understanding of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TGF-{\beta}_1$ production play an important part in host defense against the bacterial Infection and may prevent tissue necrosis such as necrotizing fasciitis and life-threatening syndrome such as multiple organ failure.

  • PDF

자하거(紫河車)가 칼슘재흡수, cyclooxygenase의 발현, PGE2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Hominis Placenta suppress Calcium release, cyclooxygenase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 정연호;김나영;이태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2005
  • Purpose : 자하거(Hominis Placenta; HP)는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홍제(烘製)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기혈(氣血)을 대보(大補)하고 신정(腎精)을 보익(補益)시켜 구병(久病)으로 인한 신체허약(身體虛弱)이나 혹은 체질허약(體質虛弱)과 혈기부족(氣血不足) 및 신허정휴(腎虛精虧) 등 등(證)을 치료(治療)하는데 단미(單味) 또는 복방(複方)에 배오(配伍)하여 쓰여왔다. 또한 자하거는 면역학적으로 골대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자하거의 항골다공증 활성을 분자세포생물학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Methods : Osteoblast cells에서 자하거가 COX-2 mRNA의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억제시키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먼저 TNF-${\alpha}$, IL-${\beta}$ 와 IL-6를 처리한 후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후 TGF-${\beta}$, 자하거(紫河車)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가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저해시키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자하거가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Results : IL-6, IL-1${\beta}$와 TNF-${\alpha}$를 동시에 처리하면 이것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해 볼 때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수치가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증가하였다. TGF-${\beta}$, 자하거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은 COX-2 mRNA 발현, $PGE_2$ 생합성 및 골재흡수를 감소시켰다. 자하거(紫河車)는 IL-1${\beta}$, TNF-${\alpha}$와 IL-6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해 증가하는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COX-1 mRNA 발현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자하거는 농도의존적으로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의 두개골 골아세포에서 $PGE_2$ 생산에 대한 IL-${\beta}$, TNF-${\alpha}$, IL-6의 상승작용이 COX-2의 유전자 발현 증가에 기인함을 보여주었다. Conclusions :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하거가 골대사과정중 골재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밝히게 되었으며, 자하거의 골다공증의 억제기전이 골재흡수관련 단백질들의 전사조절에 있음을 최초로 해명하게 되었다.

  • PDF

Increased α2-6 sialylation of endometrial cell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 Choi, Hee-Jin;Chung, Tae-Wook;Choi, Hee-Jung;Han, Jung Ho;Choi, Jung-Hye;Kim, Cheorl-Ho;Ha, Ki-Tae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 /
    • 제50권12호
    • /
    • pp.9.1-9.12
    • /
    • 2018
  • Endometrios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implants of endometrial tissue outside the uterine cavity and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nfertility. Focal adhesion of endometrial tissue to the peritoneum is an indication of incipient endometrio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cytokines that ar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pathology of endometriosis on endometrial cell adhesion. Among the investigated cytokine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increased adhesion of endometrial cells to the mesothelium through induction of ${\alpha}2-6$ sialyla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beta}$-galactoside ${\alpha}2-6$ sialyltransferase (ST6Gal) 1 and ST6Gal2 were increased through activation of $TGF-{\beta}RI/SMAD2/3$ signaling in endometrial cells. In addition, we discovered that terminal sialic acid glycan epitopes of endometrial cells engage with sialic acid-binding immunoglobulin-like lectin-9 expressed on mesothelial cell surfaces. Interestingly, in an in vivo mouse endometriosis model, inhibition of endogenous sialic acid binding by a $NeuAc{\alpha}2-6Gal{\beta}1$-4GlcNAc injection diminished $TGF-{\beta}1$-induced formation of endometriosis le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creased sialylation of endometrial cells by $TGF-{\beta}1$ promotes the attachment of endometrium to the peritoneum, encouraging endometriosis outbreaks.

Gelatin-Chondroitin-Glucosamine Scaffold에 접종한 인간지방조직-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연골형성 (Chondrogenesis of Human Adipose Tissu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 Seeded in Gelatin-Chondroitin-Glucosamine Scaffold)

  • 김응배;홍순갑;도병록;김해권;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99-111
    • /
    • 2011
  • 본 실험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이 첨가된 chondrogenic induction medium(CIM)을 이용하여 인간지방조직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의 연골형성능과 gelatin-chondroitin-glucosamine scaffold(GCG-scaffold)에 접종시킨 ATMSCs의 연골형성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ATMSCs와 생쥐 chondrocyte를 기본배양액과 TGF-${\beta}1$이 첨가되지 않은 CIM1 및 TGF-${\beta}1$이 첨가된 CIM2에서 배양하여 연골형성능을 비교하였다. ATMSCs의 연골형성은 gelatin scaffold(G-scaffold)와 GCG-scaffold를 사용하여 glycosaminoglycan(GAG) 합성과 조직화학적 염색으로 연골기질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펠렛 배양에서 ATMSCs와 chondrocyte의 GAG합성은 대조군에서 14일의 배양기간 동안 약간 증가하였으나, CIM1과 CIM2배양군은 배양 14일에 대조군에 비해크게 증가하였으며, CIM2 배양군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연골기질은 배양 14일에 CIM2 배양군에서만 Safranin O와trichrome에 의해 염색되었다. Well plate에서 배양된 ATMSCs의 증식은 모든 배양군에서 배양 10일까지 계속적인 세포증식이 일어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CIM 배양군이 높았다. ATMSCs 접종 후 플라스크나 scaffold의 세포부착률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배양군에서 증가하였고, 플라스크에 비해 scaffold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Scaffold에 ATMSCs 접종후 GAG 합성은 28일의 배양기간 동안 대조군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CIM1, CIM2 배양군은 대조군보다 GAG합성이 증가되었다. CIM2 배양군에서 GAG 합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G-scaffold보다 GCG-scaffold에서 GAG 합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ATMSCs의 연골기질형성도 CIM2 배양군의 GCG-scaffold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펠렛 배양에서 ATMSCs는 생쥐 chondrocyte보다 낮은 연골형성능을 보였고, CIM2 배양군에서만 연골기질이 형성된 것으로 보아 TGF-${\beta}1$이 연골분화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것이라 사료된다. G-scaffold는 효과적인 연골분화 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ATMSCs의 세포부착률과 GAG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보여지며, G-scaffold보다 GCG-scaffold에서 많은 연골기질이 형성된 것은 GCG-scaffold에 첨가된 chondroitin과 glucosamine이연골기질 형성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오과다가 쥐의 폐섬유화 모델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kwada on the Lung Fibrosis Mouse Model)

  • 이해자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3-240
    • /
    • 2009
  • Objectives To evaluate that Okwada affected which factors for treatment of lung fibrosis. Methods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model made in mice. After Okwada lyophilized, power sample obtained and melt in distilled water. Okwada solution administered mice through oral route on 21 days after bleomycin instillation and this procedure performed once a day for 7 days. We divided by three groups; normal (control),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without treatment (experimental),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with treatment (treatment). On six weeks after bleomycin instillation, mice sacrificed and removed lung. Weperformed Western blot analysis for TGF-beta, phosphodiesterase 5A, interleukin (4,5,13) and compared therapeutic effects of Okwada. Results On western blot analysis, all normal and experimental mice detected TGF-beta, phosphodiesterase 5A, interleukin 4,5,13. The amount of band of TGF-beta, phosphodiesterase 5A, interleukin 5 in experimental and treatment group was similar. However, interleukin 4,13 of treatment group decreased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Okwada would be effected the lung fibrosis through suppression of interleukin 4,13.

  • PDF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antisense phosphorothioate oligonucleotide (ASPS) complementary to TGF-$\beta$ mRNA designed for scar formation inhibitor

  • Lee, Young-Mi;Lee, Sung-Hee;Kim, Su-Ung;Lee, Seong-Yong;Kim, Jaebaek;Sohn, Dong-Hwa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9-129
    • /
    • 1995
  • ASPS against TGF-${\beta}$ is developing as scar formation inhibitor. The scar was caused by undesired collagen deposition due to overexpression of TGF-${\beta}$ in wounded tissue. The in vitro percutaneous absorption of ASPS(25mer)was investigated by using Furanz Diffusion Cell. The flux of ASPS cannot be found through normal skin due to high molecular weight (MW 10,000) and polyanionic charge. However, the skin permeation of ASPS through tape-stripped damaged skin was markedly increased. The skin fluxs of ASPS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hairless mouse> rat >human cadaver skin.

  • PDF

Relationships between Pork Quality Traits and Growth Factor Concentrations in Serum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before and at Slaughter in Female Market Pigs

  • Kim, Min Ho;Kang, Moon Sung;Ha, Duck Min;Ko, Yong;Lee, C.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2호
    • /
    • pp.95-101
    • /
    • 201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a hypothesis that pork quality traits would be influenced by the systemic and/or local bioavailability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or epidermal growth factor (EGF) before or at slaughter. To this end, 60 cross-bred female market pigs weighing approximately 110 kg were slaughtered, after which Longissimus dorsi muscle (LM) samples taken at slaughter (D 0) and blood samples taken at D -7 and D 0 were analyzed. The 60 carcasses rendered 36 RFN (reddish-pink, firm, and non-exudative), 16 RSE (reddish-pink, soft, and exudative), and 6 PSE (pale, soft, and exudative); 2 DFD (dark, firm, and dry) also were found but were excluded in subsequent experiments. The $L^*$ and drip loss were greater in PSE vs. RFN and RSE and in PSE and RSE vs. RFN, respectively, as they should (P<0.05). The $pH_{45min}$ was less in PSE vs. RFN (P<0.05); $pH_{24h}$ tended to be less in the former (P=0.09). The LM IGF-I and TGF-${\beta}1$ as well as serum EGF concentrations were less in PSE than in RFN. None of the other LM and serum concentrations of the three growth factors differed across the three pork quality categories. The LM IGF-I and TGF-${\beta}1$ concentrations and serum EGF concentration at D 0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p loss [r = -0.36(P<0.01), -0.44 (P<0.01), and -0.32 (P<0.05), respectively]. However, none of the serum and LM growth factor variables was correlated with $L^*$ or $a^*$ (redness) of LM. Taken together, results suggest that locally expressed IGF-I and TGF-${\beta}1$ and blood-borne EGF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postmortem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muscle and that pork quality traits could be predicted to some extent from concentrations of IGF-I and TGF-${\beta}1$ in muscle and EGF in serum at slaughter.

종양미세환경에서 이질적인 사이토카인에 의한 PN-MES 뇌종양줄기세포 전이 조절 (Different Cytokine Dependency of Proneural to Mesenchymal Glioma Stem Cell Transition in Tumor Microenvironments)

  • 이선용;김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0-536
    • /
    • 2019
  • 교모세포종은 형질 전환된 신경 교세포로부터 유래한 악성 종양이다. 교모세포종의 치료는 외과적 수술을 포함한 약물 및 방사선 치료를 통해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 과정이 환자의 예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교모세포종 치료의 어려움 중 하나로 뇌종양줄기세포의 존재를 들 수 있다. 주요하게 proneural (PN) 아형과 mesenchymal (MES) 아형으로 나누어지는 뇌종양줄기세포는 교모세포종의 발달, 유지 및 항암 치료 후 재발의 원인이 되는 암세포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N 아형 뇌종양줄기세포들이 특정 사이토카인에 선택적으로 MES 아형으로 전이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PN 아형 뇌종양줄기세포 중 GSC11 세포는 $TNF-{\alpha}$ 사이토카인에 의해, 그리고 GSC23 세포는 $TGF-{\beta}1$ 사이토카인에 노출이 될 때 MES 아형 뇌종양줄기세포의 표지 인자인 CD44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Ivy Glioblastoma Atlas Project (Ivy GAP)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TNF-{\alpha}$$TGF-{\beta}1$은 종양미세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각각 괴사 부위와 미세혈관 주위에서 높은 발현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PN 아형의 뇌종양줄기세포가 특정 종양미세환경에서 조절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 신호에 의해 MES 아형으로의 전이가 결정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 (Alteration of Growth Factor Expression after Acute Ischemic Renal Injury)

  • 고양심;이수연;김원;조수철;황평한;김정수;이대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87-694
    • /
    • 2003
  • 목 적 :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손상된 세뇨관 상피세포의 재생은 순환하거나 국소적으로 생성된 성장인자나 cytokine, 생리적 인자 및 주위 환경들의 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 회복에 따른 혈중 IGF-I의 변화와 전체 신장조직과 각 부위에 따른 IGF-I, -II, VEGF, $TGF-{\beta}1$, CTGF의 mRNA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 법 : 체중이 250-300 g의 백서를 대상으로 급성 허혈성 신손상을 시켜 유발된 급성 신부전 모델을 이용하여 급성 신부전의 진행과정에 따라 혈청 IGF-I치와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급성 신부전 진행은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혈청 IGF-I 농도는 iodinated IGF-I과 polyclonal anti-IGF-I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장에서 성장인자의 발현은 RT-PCR을 이용하였고 신장조직에서의 RNA 추출은 통상적인 방법에 준하였다. 신장에서의 IGF-I과 CTGF의 분포는 anti-IGF-I 항체와 anti-CTGF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양측 신동맥을 결찰한 후 1일째부터 체중 감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3일째에 가장 현저하였다. 혈청 IGF-I은 신손상 후 1일 째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 더 증가되었다가 5일째부터는 신손상 전으로 회복되었다. 2) 신기능 회복에 따른 성장인자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다. IGF-I, IGF-II, $TGF-{\beta}1$ 및 VEGF의 mRNA 발현은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는 신손상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7일째에는 거의 신손상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3) IGF-I과 IGF-II는 정상 신장에서는 주로 수질부 특히 바 깥쪽 수질부에서 발현되었고 허혈성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3일째에는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TGF-{\beta}1$은 정상에서 신수질부에서 주로 발현되었고 1일째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CTGF와 VEGF는 정상 신장의 수질부와 피질부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가 3일째부터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4)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 IGF-I은 주로 피질부위의 신세뇨관에 분포하였고 사구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 신장의 피질부위에서는 IGF-I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CTGF는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는 주로 혈관에 분포하는 소견을 보였는데 신손상 3일째에는 세뇨관에서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 론: 이번의 연구로 저자들은 IGF-I, IGF-II, $TGF-{\beta}1$, CTGF, VEGF 등과 같은 성장인자가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과 세뇨관세포의 회복과정에 발현의 변화가 초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기능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해 여러 성장인자를 급성신부전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