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G-DTA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초

레미콘의 슬러지 고형분과 회수골재를 사용한 무시멘트 경화체의 강도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Non-cement Matrix by Using Recycled Aggregates and Sludge from Ready-Mixed Concrete)

  • 류동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77-48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회수수를 건설폐기물이 아닌 자원으로서 적극 활용하고자 탈수케이크상의 슬러지 고형분과 회수골재, 혼화재료(BS, FA)만을 사용한 무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재령 및 양생조건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특성을 검토하였다. pH 12.5 이상의 상징수가 알칼리자극제로 작용하여 BS의 수화를 촉진한 결과 BS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는 증가하였으며, TG-DTA, SEM 등의 분석결과와도 일치하였다.

$BaTiO_3$고상반응 합성시 분해 반응의 고찰 (A Study on Decomposition in Synthesis of $BaTiO_3$ by Soild-solid Reaction)

  • 김종옥;임대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85-93
    • /
    • 1991
  • $BaCO_3$$TiO_2$ 등 mole비 혼합물의 고상반응은 $BaCO_3 + TiO_2\longrightarrow$ $BaTiO_3 + CO_2$의 반응식에 따라 $CO_2$ gas가 발생된다. 이 분해과정을 DTA-TG를 사용하여 속도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iO_2$와 공존하는 $BaCO_3$는 순수한 $BaCO_3$보다 낮은 온도에서 분해된다. 그 이유는 생성물의 free energy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2. $BaCO_3$ 분해과정의 속도론적 고찰에 사용되는 식은 Jander's식보다는 Carter's식이 더욱 의미가 있으며 Carter's식에 의해 구해진 분해 활성화 에너지는 42.8Kcal/mol이다.

1-butanol과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합성한 Sr hexaaluminate의 물리적 특성 및 메탄 연소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Catalytic Combustion of Methane of Sr Hexaaluminate Prepared using 1-butanol and Ethylene Glycol)

  • 손정민;우성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09-214
    • /
    • 2007
  • Sr hexaaluminate($Sr_{1-x}La_xMnAl_{11}O_{19-\alpha}$)와 금속 alkoxide를 전구체로, 1-butanol과 ethylene glycol을 각각 용매로 사용한 sol-gel 법으로 합성하였다. 용매 변화에 따른 Sr hexaaluminate의 물리적 특성을 TG/DTA, XRD 및 $N_2$ adsorp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합성 후 건조한 시료에 대한 열분해 거동을 분석한 결과는 1-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합성한 hexaaluminate와 비교할 때,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이용한 경우 용매의 분해반응과 dehydroxylation 반응이 관찰되었고, 결정생성 온도도 상승하였다. Dehydroxylation 반응과 결정생성온도의 상승은 hexaaluminate의 소결현상을 가속시켜 낮은 비표면적의 원인이 되었다. 메탄에 대한 연소 반응으로 표면적 차이가 촉매 활성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Carbonation Behavior of Fly Ash with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CFBC)

  • Bae, Soon Jong;Lee, Ki Gang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54-158
    • /
    • 2015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ction rates of $CO_2$ that stores carbonation through comparing the carbonation behavior between $Ca(OH)_2$ and fly ash with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CFBC)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ree CaO. Because fly ash with CFBC contains abundant free CaO, it cannot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concrete admixtures; hence, its usage is limited. Thus, it has been buried until now. In order to consider its reuse, we conduct carbonation reactions and investigate its rates. X-ray diffraction (XRD),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 and X-ray fluorescence (XRF) are conducted for the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of the raw materials. Furthermore, we use a PH meter and thermometer to verify the carbonization rates. We set the content of the fly ash of CFBC, $Ca(OH)_2$, $CO_2$ flow rate, and water to 100 ~ 400 g, 30 ~ 120 g, 700 cc/min, and 300 ~ 1200 g, respectively, based on the content of the free CaO determined through the TG/DTA analyses. As a result, the carbonization rate of the fly ash with CFBC is the same as that of $Ca(OH)_2$, and it tends to increase linearly. Based on these results, we investigate the carbonization behavior as a function of the free CaO content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초임계 건조 및 유체법에 의해 알루미나 분말의 제조 (Preparation of Alumina Powders Using Supercritical Drying and Fluid Method)

  • 임대영;홍석형;정용진;박상준;조승범
    • 공학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87-9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건조 및 유체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분말을 열처리하여 나노 크기의 알루미나 분말을 제조하였다. Al-isopropoxide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고, 용매로서는 2가 알코올류인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다. 또한 온도 및 압력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임계점 이하의 조건에서도 실험도 병행하였다. Autoclave에서 초임계 건조 및 유체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나는 XRD, SEM 및 TG-DTA 의해 특성을 조사하였고, 열처리 결과 새로운 route로 $\alpha-A12O3$로 전이 되었다.

  • PDF

K2O·CaO·P2O5계 유리의 열적특성과 구조분석 (A Study of Structure and Thermal Properties of K2O·CaO·P2O5 Glasses)

  • 윤영진;윤태민;이용수;강원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4-198
    • /
    • 2002
  • $K_2O{\cdot}CaO{\cdot}P_2O_5$를 기본조성으로 하여 용융법에 의해 유리 형성범위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TG-DTA와 DSC를 이용하여 열적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FT-IR과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K_2O{\cdot}CaO{\cdot}P_2O_5$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 및 연화온도는 감소하였다. $K_2O{\cdot}CaO{\cdot}P_2O_5$ 유리의 기본 구조는 이웃한 구조와 상호 결합을 위한 $PO_2$$PO_4^{3-}$ 구조와 유리의 골격구조를 이루는 P-O-P 결합이며, Ca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내의 P-O-P의 결합력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O_2$$PO_4^{3-}$의 intensity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P_2O_5$-ZnO-RO계에 유리형성제 첨가에 의한 투명유전체의 응용 (Application Of $P_2O_5$-ZnO-RO System With Glass Network Former to Transparent Dielectric)

  • 차명룡;전재삼;정병해;김형순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213-213
    • /
    • 2003
  • 저온소성 가능하며 저 융점유리인 고 투과율의 Pb-free 조성으로서 PDP(Plasma Display panel)의 투명유전체에 응용하고자 P$_2$O$_{5}$-ZnO-RO 계인 인산염 유리의 열적, 광학적성질을 연구하였다. 이 삼원계인 인산염유리계를 PDP의 투명 유전체에 응용하기에는 열적특성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어, (30-50)P$_2$O$_{5}$ - (20-50)ZnO - (15-45) RO (mol%)계에 유리망목형성제인 A1$_2$O$_3$, SiO$_2$, B$_2$O$_3$등을 첨가하여 열적성질 및 소성후 투광성 등을 조사하였다. 열적특성은 DTA와 TGA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점(Tg) 및 선팽 창계수(CTE)와 연하점(Ts) 을 측정하였으며, 투광성은 500-58$0^{\circ}C$에서 1시간동안 소성하여 UV-visible spectrometer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로, 380-46$0^{\circ}C$의 Tg와 8-$10^{-6}$K의 CTE 및 70-80%의 광투과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P$_2$O$_{5}$-ZnO-RO계는 PDP의 투명유전체에 적용하기에는 상당히 높거나 낮은 Tg를 형성하였지만 유리형성제를 수 mol%을 첨가함으로써 적절한 Tg점과 높은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수 있었다.

  • PDF

점토 광물로부터 제어 침전법에 의한 고순도 알루미나의 합성 (I) 점토 광물로부터 수화 황산 알루미늄 및 알루미나의 제조 (Synthesis of High Purity Alumina by Controlled Precipitation Method from Clay Minerals (I) Preparation of Aluminum Sulfate Hydrate and Alumina from Clay Minerals)

  • 노태환;이헌수;손명모;박희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1
    • /
    • 1992
  • 점토 광물로부터 황산 처리법을 이용하여 수화 황산 알루미늄을 제조하였다. 하동 카올린 을 황산 처리하였을 때 수화 황산 알루미늄 형성에 미치는 카올린의 하소 온도와 하소 시간, 산처리 반응 온도와 반응 시간 및 황산의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황산 처리된 용액으로부터 수화 황산 알루미늄이 석출되는 최적 조건을 구하였으며, 생성된 수화 황산 알루미늄을 상온에서 $1200^{\circ}C$ 까지 각각의 온도 구간에서 열처리한 분말에 대해서 XRD, TG-DTA, FT-IR, SEM, 입도 분석 및 불순물 분석을 하였다. 최적 조건 하에서, 카올린 중의 알루미나가 수화 황산 알루미늄으로 생성되는 전화율은 약 60%였고, XRD, TG-DTA, FT-IR 등의 분석 결과로 부터 생성된 수화 황산 알루미늄의 열분해 반응은 $Al_2(SO_4)_3{\cdot}18H_2O{\rightarrow}Al_2(SO_4)_3{\cdot}6H_2O{\rightarrow}Al_2(SO_4){\rightarrow}\;amorphous\;alumina{\rightarrow}{\gamma}-alumina{\rightarrow}{\delta}-alumina{\rightarrow}{\theta}-alumina{\rightarrow}{\alpha}-alumina$이었다. 또한 생성된 수화 황산 알루미늄을 $1200^{\circ}C$에서 하소 하여 얻은 알루미나 분말의 순도는 99.99%였다.

  • PDF

RPF의 열적 안정성과 한계발화온도 (Thermal Stability and Critical Ignition Temperature of RPF)

  • 임우섭;최재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99-104
    • /
    • 2008
  • 재생연료 중에서 고체물질에 해당하는 RPF(Refuse Paper & Plastic Fuel)는 친환경적인 요소와 한정된 지하자원에 대한 대체에너지로서 세계적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제조 또는 저장과정에서 종종 화재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RPF에 대한 열적안정성과 임계발화온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봄베 열량계, TG-DTA, MS80, SIT-II, Wire Basket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RPF는 26.4-28.3 MJ/kg의 발열량을 지니고 있었으며, TG-DTA로 초기 열분해 온도를 측정한 결과 승온속도 2 K/min에서 $192^{\circ}C$로 나타났으며, 미소열량 측정 장치인 MS80으로 분석한 결과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순수한 RPF가 수분이 20%함유된 RPF보다 발열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열자연발화 실험장치인 SIT-II가 Wire Basket Test 보다 낮은 온도인 $118.5^{\circ}C$까지 발화하였으며, Frank-Kamenetskii의 식으로부터 계산되어진 한계발화온도는 무한평판을 기준으로 약 10 m 높이로 저장되어 있을 때, $80^{\circ}C$에서도 발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pH에 따른 캐올리나이트 합성과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the Kaolinit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H.)

  • 류경원;장영남;배인국;서용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2호
    • /
    • pp.165-172
    • /
    • 2008
  • 비정질 $SiO_2$$Al(OH)_3$를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250$^{\circ}C$, $30kg/cm^2$의 조건에서 pH를 2${\sim}$9까지 변화시키면서 캐올리나이트를 수열합성하였다. 합성 캐올리나이트는 XRD, FT-IR, TG, DTA, 및 FE-SEM을 사용하여 광물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캐올리나이트 합성시 pH의 변화에 따른 영향력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산성조건에서 중-저 결함도와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갖는 양호한 캐올리나이트가 합성되었으며, 알카리성 조건에서는 결함이 많은 캐올리나이트가 합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합성 캐올리나이트의 표면특성이 pH에 의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FT-IR 분석결과, 반응용액의 알칼리도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 캐올리나이트의 피크 강도와 분해도가 감소되었으며, TG-DTA 분석결과, 60-70$^{\circ}C$의 저온영역에서의 탈수현상에 의한 피크 강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H의 증가에 따라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비정질 물질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FE-SEM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