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AIN ANALYSIS

검색결과 774건 처리시간 0.121초

Characterization of open and suburban boundary layer wind turbulence in 2008 Hurricane Ike

  • Jung, S.;Masters, F.J.
    • Wind and Structures
    • /
    • 제17권2호
    • /
    • pp.135-162
    • /
    • 2013
  • The majority of experiments to characterize the turbulence in the surface layer have been performed in flat, open expanse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turbulence in built-up terrain, two mobile towers were deployed during Hurricane Ike (2008) in close proximity, but downwind of different terrain conditions: suburban and open. Due to the significant non-stationarity of the data primarily caused by changes in wind direction,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was employed to de-trend the signal.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along-wind mean turbulence intensity of the suburban terrain was 37% higher than that of the open terrain. For the mean vertical turbulence intensity, the increase for the suburban terrain was as high as 74%, which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structural engineering. The gust factor of the suburban terrain was also 16% higher than that of the open terrain. Compared to non-hurricane spectral models, the obtained spectr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nergy in low frequencies especially for the open terrain.

보령화력 지역의 복잡지형이 대기확산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Complex Terrain Effects in the Air Dispersion Modeling at the Poryong Power Plant Site)

  • 오현선;김영성;김진영;문길주;홍욱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27-437
    • /
    • 1997
  • Complex terrain which is rather typical topographic character in Korea would greatly influence the dispersion of air pollut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complex terrain in the vicinity of the coal-fired plant affects the air dispersion modeling results by using several US EPA models: SCREEN, CTSCREEN, ISCLT3, ISCST3, and RTDM. Screening analysis was followed by long-term analysis, and the plume movement over the terrain was precisely tracked for selected cases. Screen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occurs at the downwind distance of 1.3 km under the unstable conditions with weak winds. However, this highest level of $SO_2$ could be raised by 4 times even in the presence of a hill of 170 m at a distance of 2 to 3 km. Seasonal and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predicted with the ISCLT3, ISCST3, and RTDM models showed a rapid incrase of $SO_2$ levels in front of the high mountains which are located more than 15 km away fromt the source. The highest concentrations predicted with ISCST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ISCLT3 and RTDM mainly because ISCST3 chooses simple-terrain model calculations for receptors between stack height and plume height. Although the highest levels under the stable conditions were usually found in the areas beyond 15 km or more, their absolute values were not so high due to enough dispersion effects between the source and the receptors.

  • PDF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Evaluating Suitable Analysis Methods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 여창환;장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을 활용한 가시권 분석이 활발해 지고 있으나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가시권 분석방법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통해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은 분석 대상지의 특성, 수치지형도의 축척, 분석의 공간 해상도,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공간 해상도가 낮아지면 가시권 분석결과의 면적은 넓어지고 유효 한계해상도보다 해상도가 낮아지면 분석결과의 면적은 불안정한 변화추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공간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분석 대상지와 수치지형도의 축척, 공간 해상도, 입력된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결과가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시영역이 산지 지형인 경우에서 안정적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또 입력되는 지형자료의 경우는 제한된 조건에서 TIN보다 레스터 자료에서 안정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축척별 수치지형도에 따른 유효한 최소의 공간 해상도가 존재하는데, 1/1,000의 경우는 8m, 1/5,000은 20m, 1/25,000은 35m를 넘지 않은 범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지 내 오염물질 확산의 2차원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the Two-Dimensional Pollutant Dispersion Over Hilly Terrain)

  • 김현구;이정묵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83-396
    • /
    • 1997
  • Numerical prediction of the pollutant dispersion over a two-dimensional hilly terrain is presented. The dispersion model used in the present work is based on the gradient diffusion theory and the finite-volume method on a non-orthogonal boundary-fitted grid system. The numerical model is valid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available experimental data for the flat-floor dispersion within a turbulent boundary-layer. The numerical error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guideline of Kasibhatla et al.(1988) for the elevated-source dispersion in the flat-floor boundary layer having a power-law velocity and linear eddy-diffusivity profile. The influences of the two-dimensional hilly terrain on the dispersion from a continuously released source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emission locations and heights. It is found that the distributions of ground-level concentr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source location and the emission height. Hence, the terrain amplification factor is greatly enhanced when the pollutant source is located within a flow separation region. Dispersion from a source of short duration is also simulated and the duration time of the pollutant is compared at several downstream locations on a hilly terrain.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prediction ar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the automobile exhausts at the seashore highway with a parallel mountain range.

  • PDF

스키장의 풍환경 개선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WIND EFFECTS OF MOUNTAINOUS TERRAIN FOR THE SKI RESORT)

  • 정재혁;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3-495
    • /
    • 2010
  • A three-dimensional flow simulation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low field in the ski resort on complex terrain. The present paper aims to study the wind effects of mountainous terrain on the gondola safety. Strong wind happens in the ski resort on the mountain by complex terrain and it causes the dangerous accident of gondola. A digital map around the ski resort area is used to model the actual complex terrain for a 3-D analysis domain. Wind direction and speed to be used as a boundary condition are taken from local meteorological reports. The numerical results show detail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round a ski resort. From the results, we can suggest the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gondola for the safety due to strong wind.

  • PDF

험한 지형 주행 운반 로봇 플랫폼의 개념 설계 및 분석 (Conceptual Design and Analysis of the Rough Terrain Mobile Robot)

  • 최동규;정승민;김종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4-3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conceptual design and analysis of the rough terrain mobile robot. The requirement list of the robot is derived to make it possible to deliver small robot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o certain place. In addition, detailed analysis of the existing mobile mechanisms is performed. Based on the requirement list and analysis, the proposed rough terrain mobile robot is systematically designed and through extensive simulations, its capability of moving on various rough terrains is successfully verified.

영역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를 이용한 달착륙선의 일괄처리방식 지형상대항법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Batch Process Terrain Relative Navigation Using Area based Terrain Roughness Index for Lunar Lander)

  • 구평모;박영범;박찬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629-639
    • /
    • 2016
  • 지형상대항법은 측정된 지형고도와 DEM(Digital Elevation Map)의 지형고도의 비교를 통해 위치보정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지형상대항법은 언덕과 같은 반복되는 지형과 같이 측정된 지형고도 프로파일과 후보 지형고도 프로파일이 유사할 때 다른 지형으로 오보정을 유발 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항법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관심영역 안에 주변 지형의 유사한 정도를 판단하는 영역기반 지형 기울기 험준도 지수를 적용하였고[11], 영역기반 지형 곡률 험준도 지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형 험준도 지수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궤적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와 영역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를 달착륙선의 지형상대항법에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궤적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를 고려하였을 때 보다 영역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를 고려하였을 때 지형상대항법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지형 선형 연결 설계 (Terrain-Alignment Linked Design)

  • 김용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91-198
    • /
    • 2014
  • PURPOSES : Safety consciousness can be the first factor to hinder the acceptance of design alternative, which moderates the applied design criteria in order to adapt the road to the natural terrain condition. METHODS : The method which enables to check the safety of design alternative by using design consistency concept is suggested. The method is based on the linked or interactive analysis between terrain and road alignment. Real design example is considered as a guide how to apply the method and the analysis result is discussed with the future research. RESULTS :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for designers as a tool to review their design outputs can be safe as much as the original design. So, designers have the more objective judgement on their designs and have the confidence on their designs. CONCLUSIONS : The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to see the safety consciousness in an objective view, so any possible conflicts between designers and design-related personnels caused by the terrain-oriented design can be solved.

지상라이다 장비를 이용한 사면지형분석 (Slope terrain Analysis by using Terrestrial LiDAR Equipment)

  • 함주형;최승필;김문섭;김욱남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1-293
    • /
    • 2010
  • Terrestrial LiDAR can be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3D slope terrain because it can obtain the entire shape of the object, instead of only a specific location, while not much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it can create more dense and precise 3D coordinates than those of aerial LiDAR. Therefore, in this study, subject areas with different terrain conditions were selected, the terrestrial LiDAR device was used to observe the slope terrain, and a slope terrain analysis technique was proposed based on the observation results.

  • PDF

음영기복 알고리즘을 활용한 한반도 촬영 위성영상에서의 지형그림자 탐지 (Terrain Shadow Detection in Satellite Images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a Hill-Shade Algorithm)

  • 김형규;임중빈;김경민;원명수;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1호
    • /
    • pp.637-654
    • /
    • 2023
  • 최근 지구관측 위성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구관측위성위원회(Committee 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CEOS)에서는 분석준비자료(Analysis Ready Data, ARD)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분석준비자료의 요구 조건을 CEOS ARD for Land (CARD4L)로 정의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위성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분석준비자료에는 육상분석에 불필요한 픽셀이 식별된 마스크(Unusable Data Mask, UDM)가 영상과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UDM의 종류는 구름, 구름 그림자, 지형그림자 등이 있다. 지형그림자는 지형기복이 큰 산악지형에서 발생되며 지형그림자가 생긴 지역은 복사조도가 낮기 때문에 분석 결과에 오류를 야기시킨다. 기존 지형그림자 탐지연구는 지형그림자 보정을 위해 지형그림자 픽셀을 탐지하는데 목적을 두었지만, 이것은 지형보정 기법으로 대체 가능하다. 따라서 지형그림자 탐지 목적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산림과 농업분석을 목적으로 한 차세대중형위성 4호(CAS500-4)의 활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형그림자 탐지 범위를 태양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역까지 확장하였다. 본 논문은 남북한을 대상으로 지형그림자 마스크 생성을 위해 지형그림자 탐지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형그림자 탐지를 위해서 태양의 위치, 지표면의 경사와 경사방향을 이용한 음영기복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한반도를 촬영한 5 m급 공간해상도의 RapidEye 영상과 10 m급 공간해상도의 Sentinel-2 영상들을 대상으로 참값과 비교하며 최적의 음영기복 임계값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임계값을 사용하여 지형 그림자 탐지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정성적 결과로는 전체적으로 참값과의 형상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정량적 실험결과는 F1 score가 대부분 0.8에서 0.94 사이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을 대상으로 자동적인 지형그림자 탐지가 잘 수행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