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P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열기전력 측정을 이용한 고장력강 용접부의 미세조직의 고찰에 관한 연구 (Thermoelectric Power (TEP) Measurement To Assess Weld Integrity of HSLA Steel Welds)

  • 박영도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144-146
    • /
    • 2005
  • Measurements of Thermoelectric power (TEP) were used to evaluate microstructural analysis in HSLA steel weldments. The measurements of TEP for weld microstructure across weldment have shown good correlation with hardness profile. The different TEP values indicated that changes in weld microstructure can be correlated with TEP values measured.

  • PDF

IPv4/IPv6의 연동을 위한 DSTM TEP의 기능 (The DSTM TEP for IPv4 and IPv6 Interoperability)

  • 진재경;최영지;민상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5호
    • /
    • pp.578-587
    • /
    • 2003
  • DSTM (Dual Stack Transition Mechanism)은 현재 주목받고 있는 IPv4/IPv6 연동기술로 서 터널링 방식을 적용한 기술중의 하나이다. DSTM은 fevers (IPv4-over-lPv6) 터널링과 임시 글로벌 IPv4 주소의 할당방식을 적용하여 IPv4와 IPv6간의 연결성을 지원한다. TEP (Tunnel End Point)는 DSTM 도메인과 인터넷망의 경계 라우터로서 4over6 터널링 패킷의 캡슐화와 복원기능을 적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IPv6 프로토콜 표준안의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DSTM에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TEP 데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TEP 데몬은 DSTM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4over6 패킷을 분석하여 동적으로 4over6 터널링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DSTM 노드와 IPv4-only 노드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TEP를 적용한 시험망을 구성하고 성능을 측정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구현된 TEP 데몬이 DSTM 서비스에 적합한 성능을 제공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해 북부해역 유광층에서 TEP 분포와 이산화탄소 인자와의 상호관련성 (Spatial Distribution of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 and Their Relation to Carbon Species in the Euphotic Layer of the Northern East Sea)

  • 전현덕;노태근;이동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33-44
    • /
    • 2012
  •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는 식물플랑크톤이 배출하는 다당류 물질이 자가응집을 통해 생성되는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해중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는 동해 북부해역에서 TEP 농도 분포특성과 탄소순환에서 역할을 이해하기에 이산화탄소계 인자, 엽록소-a 농도들을 관측하였다. 동해 북부해역의 TEP는 $0{\sim}338{\mu}g\;Xeq\;l^{-1}$로 연안역의 농도보다 낮으나 다른 외양역의 대번식기와 유사한 값이 나타났다. TEP의 공간분포는 엽록소-a의 공간 분포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이 TEP의 주요 기원으로 사료된다. 직접 측정한 pH와 총 알칼리도의 값을 이용하여 총 용존 무기탄소($TCO_2$)를 계산하였으며, 염분 35 psu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환된 $NTCO_2$는 수온에 대해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수온으로 계산된 $NTCO_2$와 현장에서 측정한 $NTCO_2$와의 차이는 생물적인 과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제거($NTCO_{2bio}$)를 나타내는데, 난수역에서 $NTCO_{2bio}$값이 음의 값이 나타났고 TEP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생물적인 과정에 의해서 해수중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북위 $44^{\circ}-46^{\circ}$ 냉수역은 표층에서 TEP 농도는 낮지만, 엽록소-a 최대층에서 TEP의 농도 또한 높게 나타났고 TEP에 포함된 탄소(TEP-C)가 $NTCO_{2bio}$의 약 40%를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TEP농도가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pH와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TEP의 반응은 살펴볼 수 없었으나 해수 중의 탄소순환에서 생물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TEP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rmoelectric power and resistivity of the Sr$_{1-x}K_xBiO_3$ superconductor

  • Kim, D.C.;Kim, J.S.;Joo, S.J.;Bougerol-Chaillout, C.;Kazakov, S.M.;Pshirkov, J.S.;Antipov, E.V.;Park, Y.W.
    • 한국초전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전도학회 1999년도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Vol.IX
    • /
    • pp.229-232
    • /
    • 1999
  • We have measure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rmoelectric power (TEP) and resistivity for the Sr$_{1-x}K_xBiO_3$ superconductor (x=0.45-0.6). At T=10.2K, the resisitivity starts to increase from zero and a rather broad superconducting phase transition (${\Delta}$T ${\sim}$ 2.3K) is observed. TEP at room temperature has a small negative value ( S =-1.96${\mu}$V/K), characteristic of metallic-like TEP.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EP shows two distinct features. With decreasing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the absolute value of TEP decreases and the sign of TEP changes from negative to positive around 200k. Also, the negative slope of TEP(dS/dT) decreases substantially and becomes rather flat at around 160k, which is a feature already noted in Ba$_{1-x}K_xBiO_3$[1].

  • PDF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교육을 위한 TEP 활동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EP Activity for the Education of Experimental Apparatus at Elementary School)

  • 전소연;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79-3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교육을 위한 TEP 활동(Trigger interest; 흥미 유발-Explore experimental apparatus; 실험기구 탐색-Practice experimental apparatus; 실천적 사용)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과학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 실험기구 중 4가지(비커, 전자저울, 유리막대, 약숟가락)를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TEP 활동을 통해 단편적인 사용법이나 주의사항만을 알고 있던 학생들이 실험기구의 생김새에 따른 특징과 연관 지어 실험기구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실제로 사용해보는 활동을 통해 실험기구 사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평소 과학 수업에서의 모습을 관찰한 결과 실험기구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적절하게 사용하려는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반복적인 활동을 통해 그 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에서 처음 배우게 되는 실험기구에 대한 지식적 이해와 사용 능력은 초, 중, 고등학교를 지나 실험이 주로 이루어지게 되는 대학교까지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용도와 사용법으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실험 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확률 또한 높아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험기구에 대한 교육을 초등 과학 교육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실제 교육을 해야 하는 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자료나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P 분석을 이용한 냉간가공된 Zr-based 합금의 등온열처리에 따른 회복 및 재결정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covery and Recrystalligation of Cold-lolled Zr-based Alloys by Thermoelectric Power Measurement During Isothermal Annealing)

  • 오영민;정흥식;김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83-491
    • /
    • 2001
  • 냉간가공된 Zr 합금을 $575^{\circ}C$에서 $6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유지시간을 달리하여 열처리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회복 및 재결정 거동을 TEP(ThermoElectric Power)와 미소경도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냉간가공과 열처리에 따른 합금의 회복 및 재결정온 격자결함, 공공, 전위, 적층결함 등이 소멸함에 따라 TEP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이러한 TEP 분석은 미소경도 분석에 비해 재결정의 완료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며, 특히, Zr-0.4Nb-xSn합금에서는 미소경도 분석으로 쉽게 구분하기 어려운 회복 및 재결정 단계를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TBP와 미소경도 분석을 이용한 Zr-base합금의 재결정 거동에 따르면, Sn을 첨가하는 경우에 Sn이 치환형 고용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응력장과 전위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회복이 지연되는 현상을 가져왔으며, Nb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재결정 지연 효과가 미미하였으나, 석출물 형성에 의한 결정립 성장의 지연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Definitive Closure of the Tracheoesophageal Puncture Site after Oncologic Laryngect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Escandon, Joseph M.;Mohammad, Arbab;Mathews, Saumya;Bustos, Valeria P.;Santamaria, Eric;Ciudad, Pedro;Chen, Hung-Chi;Langstein, Howard N.;Manrique, Oscar J.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5호
    • /
    • pp.617-632
    • /
    • 2022
  • Tracheoesophageal puncture (TEP) and voice prosthesis insertion following laryngectomy may fail to form an adequate seal. When spontaneous closure of the fistula tract does not occur after conservative measures, surgical closure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the available evidence on surgical methods for TEP site closure. A comprehensive search across PubMed, Web of Science, SCOPUS, and Cochrane was performed to identify studies describing surgical techniques, outcomes, and complications for TEP closure. We evaluated the rate of unsuccessful TEP closure after surgical management. A meta-analysis with a random-effect method was performed. Thirty-four studies reporting on 144 patients satisfied inclusion criteria. The overall incidence of an unsuccessful TEP surgical closure was 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3%). Subgroup analysis showed an unsuccessful TEP closure rate for silicone button of 8% (95% CI < 1-43%), 7% (95% CI < 1-34%) for dermal graft interposition, < 1% (95% CI < 1-37%) for radial forearm free flap, < 1% (95% CI < 1-52%) for ligation of the fistula, 17% (95% CI < 1-64%) for interposition of a deltopectoral flap, 9% (95% CI < 1-28%) for primary closure, and 2% (95% CI < 1-20%) for interposition of a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Critical assessment of the reconstructive modality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previous history of surgery or radiotherapy. Nonirradiated fields and small defects may benefit from fistula excision and tracheal and esophageal multilayer closure. In cases of previous radiotherapy, local flaps or free tissue transfer yield high successful TEP closure rates. Depending on the defect size, sternocleidomastoid muscle flap or fasciocutaneous free flaps are optimal alternatives.

상품차별화된 시장에서 배출권거래제도의 후생효과 (Welfare Consequences of Tradeable Emission Permits in a Product Differentiated Market)

  • 박상하;이상호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1권3호
    • /
    • pp.415-446
    • /
    • 2002
  • Due to its cost effectiveness, tradeable emission permits (TEP) system has been effectively used in the USA and many other advanced countries. But, academic many researchers have been argued that TEP system would not work as an efficient regulatory tools when there are imperfect competition in permits and/or products markets. Sartzetakis (1997), however, show that TEP system can serve as an effective environmental regulation under the certain demand/cost conditions even though duopolistic production market is not competitive. In this paper we extend Sartzetakis's analysis into the differentiated products markets under the same cost conditions, and examine the relative efficiency of TEP system by comparing it with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 We then show that the main results of Sartzetakis can hold if two differentiated products markets have the symmetric demands. In particular, it is revealed that social welfare will be increased under TEP system even though consumer surplus may be decreased.

  • PDF

Nb과 Sn 첨가에 따른 Zr 합금의 재결정 및 TEP 거동 (Recrystallization TEP Behavior of Zr-based alloy by addition of Nb and Sn)

  • 정흥식;오영민;정용환;김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4-114
    • /
    • 2001
  • Zr-Sn-Nb 합금의 재결정에 미치는 Nb과 Sn의 첨가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냉간압연한 시편을 $300^{\circ}C$~75$0^{\circ}C$의 온도구간에서 열처리한 후에 미소경도와 TEP (Thermoelectric Power)를 측정하여 재결정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광학현미경, 주사전자 현미경 (SEM), 투과전자현미경 (TEM)으로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미소경도 및 미세조직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Nb과 Sn의 첨가에 의해 재결정 활성화 에너지가 증가하여 재결정이 지연되었으며, 재결정 완료 이후의 결정립 성장도 억제되었음을 관찰하였다. Zr내의 고용도가 매우 낮은 Nb의 첨가는 석출물을 쉽게 형성하는 반면에 고용도가 비교적 큰 Sn은 기지상 내에 대부분 고용되어 석출물의 양이 매우 작았으나, Sn 첨가에 의한 재결정의 지연 효과가 더욱 컸다. Nb보다 Sn의 첨가가 Zr 합금의 재결정 거동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킨 것은 고용도가 높은 SR에 의한 치환형 고용체 형성과정에서 발생된 응력장이 전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회복과 재결정이 진행됨에 따라 전자 산란인자의 감소로 TEP는 증가하였으며, 재결정이 완료되면 TEP의 포화가 발생하였다. 석출물의 형성은 석출물 주변의 용질농도 감소로 인한 전자 산란인자의 감소에 기인하여 TEP의 증가를 가져왔다

  • PDF

TEP 측정방법을 이용한 Zr-0.8Sn 합금의 Nb 고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bility of Nb in Zr-0.8Sn Alloy by Thermoelectric Power Measurement)

  • 오영민;정흥식;정용환;김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53-459
    • /
    • 2001
  • 미세조직에 따라 기계적 성질 및 내산화성.내부식성 등의 제반 성질이 크게 변하는 Zr계 핵연료 피복관은 미세조직의 최적화가 중요하다. 이러한 미세조직은 합금원소의 고용도에 크게 의존하지만, Zr은 대부분의 용질합금원소의 고용도가 매우 작아서 측정이 곤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핵연료 피복관 재료의 주요한 기본조성 재료인 Zr-0.8Sn 합금에 대한 Nb의 고용도를 TEP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으며,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균질화 처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용된 Nb 함량이 증가하여 Zr-0.8Sn 합금의 TE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온도가 더욱 증가하면 TEP의 포화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TEP에 영향을 미치는 고용된 합금원소의 함량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TEP의 포화영역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균질화 처리온도가 첨가된 Nb이 Zr-0.8Sn 합금에 모두 고용되는 시점이며, 이를 토대로 온도에 따른 Zr-0.8Sn 합금에서의 Nb 고용도 ($C_{Nb}$ )를 $4.69097{\times}10^{16}{\times}e^{-25300\times\;I/T}$(ppm.at.%)로 나타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