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1WI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3초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 (Self-powered wireless bus information and disas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 김태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22
    • /
    • 2022
  •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버스 정보 시스템은 유선으로 전력과 통신을 제공함에 따라 유선 매설작업으로 인한 설치비용 증가와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버스 도착 정보를 제공하며, 자연재해 등의 재난 발생 시,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해 재난 정보도 알림으로써 혼란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자가 전력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무선 WiFi 또는 LTE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oT를 기반한 편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nience System Based on IoT)

  • 김의도;유승진;이재원;조석태;김재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65-17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스마트 홈을 목표로 ESP32와 RFID,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구글 클라우드, 네오픽셀 등을 이용해 문이 열림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 전송, 스마트 AI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제공 및 일정관리, 네오픽셀을 이용하여 음악 감상 등의 상황에서 분위기에 맞는 조명의 밝기 및 분위기의 제공같이 직관적이고 일상생활에서 간편한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전원이 재 연결 되도 Wi-Fi와 연결된 ESP32에서 RFID가 인식될 때 보안문자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주파수를 계산한 네오픽셀의 조명 및 라즈베리파이와 음성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AI또한 거리에 따라 인식률의 변화가 있지만 작동됨을 확인하였다.

단순 방사선 상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거골 골연골 병변의 MRI 소견과 관절경 소견 (MRI and Arthroscopy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which was not visible on Plasin Radiography)

  • 이우천;심재찬;최덕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5-200
    • /
    • 2002
  • Purpose: To investigate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which looked normal on plane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seven osteochondral lesions in which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 on plane radiography and no cystic changes on MRI. Average age was 31 years(range, 19-43 years). Arthroscopic findi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erkel's criteria. Results: History of injury was reported in all cases and the average duration from injury to presentation was 4 years and 4 months. Low signal change in T1WI was found in 6 of 7 lesions, no signal change in 1 case. Low signal change in T2WI was found in 4, no signal change in 3. 6 STIR images were obtained. High signal change was found in 3, no signal change in 2 and intermediate signal change was in 1. Arthroscopic grading was A in 1, C in 1, D in 2 , E in 1 and F in 2. We could not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the findings on MRI and arthroscopic examination. Conclusion: We suggest arthroscopic examination is needed for accurate diagnosis of the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which looked normal on plane radiography, because they have various MRl findings and high likelihood of existence of unstable cartilage lesions.

  • PDF

대퇴골두 부위에 발생한 양성 골 종양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치료 (증례보고)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apy of Benign Bone Tumors in the Femoral Head)

  • 서재곤;김응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4-92
    • /
    • 2003
  • 서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양성일지라도 수술적 병변의 제거시 관절내 도달이 필요하거나 대퇴골 경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등 주위 고관절의 구조 및 기능을 위협할 수 있어 그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나 고관절부의 동통을 유발하는 양성 골종양의 치료는 비관혈적 수술이 현재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CT등을 이용한 경피적 절제술,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치료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퇴골 근위부 종양중 비교적 흔한 유골골종(osteoid osteoma)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대퇴골두내 발생한 내연골종 및 피질골내 연골종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통해 치료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1 - 31세 여자환자로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측 둔부 및 서혜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사무직 여성으로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으로 야간에 심해지는 양상으로 통증 발현 시에는 체중 부하하기 힘든 정도였다. 통증에 대해 수개월간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일에서 수주 후 재발되는 양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에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내원 시에는 증상이 점차 심해지며 지속적인 양상으로 소염진통제가 계속적으로 필요하였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고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으나 Patrick 검사 양성이었으며 내회전시 불쾌감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우측 대퇴 골두 부위에 주변으로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면서 1.5${\times}$1cm 크기로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였고 주변에 반응성 부종이 관찰되어.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아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마취하에서 먼저 CT시행 하에 세침 생검을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을 삽입하여 병변 중앙에 위치시킨 후 $80^{\circ}C$ 평균모드으로 6분간 고주파 열 치료 시행하였으며 시행 중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는 마취에서 의식이 돌아온 직후와 술 후 14시간 후에 통증 전혀 호소하지 않았으며 술후 1일째 체중 부하시 통증 없는 것 확인 후 퇴원 조치 하였으며 술 후 3주 뒤 MRI로 병변 부위 관찰하였으며, 이때 병변부위 소실된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5개월째 환자는 일상 생활에 지장없었으며 통증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 검사결과는 피질골내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2- 56세 여자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둔부 및 대퇴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주로 밤에 악화되었으며 1달 전부터 통증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으로 타 병원에서 아스피린으로 통증 조절되었고 유골 골종 의심 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으나 외전과 내회전시 좌측 서혜부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좌측 대퇴골두 하방 내측으로 석회화를 동반하고 주변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비교적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양상으로,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CT시행 하에 먼저 세침 조직 검사를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 삽입 후에 평균 모드 $80^{\circ}C$로 6분간 열 치료 시행하였고 환자는 마취에서 회복 후 즉시 통증 감소 보였으며 시술 후 1일째 이학적 검사 및 체중 부하 시행하였을 때 통증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퇴원 조치 할 수 있었으며 술 후 1달째 MRI검사를 통해 병변이 사라지고 성공적으로 시술을 시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 시술 3개월째로 통증호소없었고 이학적소견상 정상이었다. 조직검사결과는 내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저자들은 수술적으로 치료가 비교적 어려운 대퇴 골두 부위에 발생한 피질골내 연골종과 내연골종에 대해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동통을 유발하는 유골 골종 이외의 다른 양성골 종양에 대해 치료 계획시 그 도달이 어렵거나 술 후 주위 구조물과 관절의 불안정성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경우 그 적응증의 확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위암 조직의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 소견에 대한 비교 연구 (In Vitro Imaging of MRI and Ultrasound for Gastric Carcinoma)

  • 길성원;지금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78-187
    • /
    • 2008
  • 목적 : 위암 조직의 종양 침범 깊이와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 정도를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그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종양을 가장 잘 보여주는 펄스 연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의 부분 혹은 전절제술을 받아 병리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된 53예의 제거된 위암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조직은 자기공명영상과 고주파수 탐촉자로 초음파 영상을 얻었다. 각 조직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 소견을 각각 독립적으로 종양의 탐지 및 종양의 침범 깊이에 대하여 두 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하에 평가하였고 각각의 영상 소견을 병리 조직 소견과 비교하여 두 영상 기기 간에 진단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스핀에코 T1 강조 영상, 위상 및 탈위상 경사에코 T1 강조영상, 고속스핀에코 및 단발포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의 다섯 펄스 연쇄를 얻었고 이 중 종양의 탐지와 묘출에 우수하다고 평가된 영상 기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조기 위암의 경우, 초음파 진단의 정확도는 77%로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도 59% 보다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96). 진행성 위암의 경우 자기공명영상이나 초음파 각각 97%와 84%의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자기공명영상이 초음파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양병기를 정확하게 진단했다 (p<0.001). 자기공명영상의 다섯 가지 펄스연쇄 중에 종양 침윤 깊이를 선명하고 정확하게 보여준다고 평가된 영상은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모두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75%)이었고, 특히 진행성 위암의 경우 총 93.5%에서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이 우수한 영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는 진행성 위암 조직의 종양 병기를 평가하는데 높은 진단적 정확성을 갖고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이 초음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양병기를 정확하게 진단했다. 위암 조직의 종양 병기를 평가하는데 가장 우수한 자기공명영상 기법은 고속스핀에코 T2 강조영상이었다.

  • PDF

Design, Fabrication and Measurement of a Compact, Frequency Reconfigurable, Modified T-shape Planar Antenna for Portable Applications

  • Iqbal, Amjad;Ullah, Sadiq;Naeem, Umair;Basir, Abdul;Ali, Usma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1611-1618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compact reconfigurable printed monopole antenna, operating in three different frequency bands (2.45 GHz, 3 GHz and 5.2 GHz), depending upon the state of the lumped element switch. The proposed multiband reconfigurable antenna is designed and fabricated on a 1.6 mm thicker FR-4 substrate having a relative permittivity of 4.4.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antenna operates in a dual band frequency mode, i.e. WiFi at 2.45 GHz (2.06-3.14 GHz) and WLAN at 5.4 GHz (5.11-5.66 GHz).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it operates only at 3 GHz (2.44-3.66 GHz). The antenna radiates omni-directionally in these bands with an adequate, bandwidth (>10 %), efficiency (>90 %), gain (>1.2 dB), directivity (>1.7 dBi) and VSWR (<2). The fabricated antenna is tested in the laboratory to validate the simulated results. The antenna, due to its reasonably compact size ($39{\times}37mm^2$), can be used in portable devices such as laptops and iPads.

36주간 저항성 운동이 비만노인의 신체구성, 체력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36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the Obese Elderly)

  • 소위영;송미순;조비룡;박연환;임재영;김선호;송욱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48
    • /
    • 2010
  •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36-week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the obese elderly. Method: fourteen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he resistance training group. The 12-16 exercise sessions were performed for 60min with 15-25 repetitions twice per week for 36 weeks.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version 12.0 for Windows. Results: Significant changes were evident in weight (t=5.983, p<.001), body mass index (t=5.922, p<.001), % body fat (t=3.480, p=.004), and fat free mass (t=-2.592, p=.022). Concerning exercises, no significance was noted for back scratch (t=-1.814, p=.093), but were for 2-min step (t=-3.075, p=.009), arm curl (t=-2.223, p=.045), chair stand (t=-3.671, p=.003), chair sit and reach (t=-2.508, p=.026), and 8-ft up and go (t=5.545, p<.001). No significant changes were evident in total cholesterol (t=1.189, p=.279), and total glucose (t=0.689, p=.517), while the change in high-density lipoprotein was significant (t=3.535, p=.012). Conclusion: The 36-week resistance training program enhanced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but not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elderly subjects.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두개부내 표적의 3차원적 위치결정 (Determination of Stereotactic Target Position with MR Localizer)

  • 최태진;김옥배;주양구;서수지;손은익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6
  • 목적 : 전신자기공명영상장치의 두개부코일링에 삽입할 수 있는 뇌정위표적기를 제작하고,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표적의 입체적 위치를 결정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 고강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1.5T 의 전신자기공명 영상장치에서 뇌정위시술용 두 개 부고정환에 부착하여 두개부내 표적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뇌정위표적기를 시험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험제작된 뇌정위표적기는 자기공명장치 Magnetom 1.5T(Siemens사, 독일)의 두부코일(외경이 260mm)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횡단면이나 시상면 또는 관상면에서 표적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하여 각 단면에서 결정된 가상표적의 위치를 비 교하였다. 결과 : 위치가 서로 다른 2개의 가상표적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 횡단면에서 x축의 최대오차는 -1.4mm, y축 -0.7mm, z축 1.lmm를 얻었으며, 시상면에서는 X축 1.3, Y축 1.0mm, Z축 1.lmm, 관상면에서는 X축 -1.4mm, Y축 1.1mm, Z축 -1.5mm로 나타나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구한 표적값이 실험오차범위에서 거의 일치하였다. 결론 : 고강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시험제작한 자기공명영상용 뇌정위표적기를 이용하여 두개부내 표적에 대한 모의실험결과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구해진 표적의 위치가 2mm의 오차범위내에서 실제값에 거의 일치함을 얻었다.

  • PDF

K-ICT 표준화전략맵 Ver.2016 수립

  • 위규진;장종표;박정환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호
    • /
    • pp.11-15
    • /
    • 2015
  • TTA에서는 급변하는 세계 ICT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매년 ICT 표준화전략맵을 수립하고 있다. 2015년도(Ver.2016)에는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5G이동통신, SW 등 K-ICT 전략분야를 중심으로 25개 중점기술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국내외 표준화 추진전략을 마련하였다. 본 고에서는 K-ICT 표준화전략맵 Ver.2016의 주요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세이프 네트워크 기술 (Safe Network Technologies)

  • 송종태;노성기;박혜숙;박종대;김상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6호
    • /
    • pp.28-36
    • /
    • 2013
  • 사이버 테러의 급증으로 인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네트워크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 정보 유출 등에 의한 국가적 차원의 사이버 안보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세이프 네트워크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본고에서는 (1) IP 주소 은닉기반 라우팅 기술, (2) 전역적 제어 관리 시스템 기술 (3) 폐쇄망용 프로텍티드 WiFi시스템기술, (4) 보안을 강화한 네트워크 SW 기술을 주축으로 하는 세이프 네트워크의 핵심기술 및 주요 시스템의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