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1-201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1초

Thallium-201 SPECT 뇌종양 영상 (Thallium-201 SPECT Imaging of Brain Tumors)

  • 김상은;최창운;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윤병우;노재규;정희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25
    • /
    • 1992
  • Thallium-201 $(^{201}T1)$ SPECT studies were performed on a normal volunteer and 12 patients with intracerebral lesions: 3 patients with gliomas, 3 patients with meningiomas, 1 patient each with metastatic tumor, brain abscess, and cerebral infarction, and 3 postirradiation patients. (2 with metastatic tumors, 1 with lymphoma). A $^{201}T1$ index, based on the ratio of $^{201}T1$ uptake in the brain lesion versus the homologous contralateral brain,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umor histology and CT/MRI findings. The SPECT $^{201}T1$ scan showed minimal uptake of tracer in a normal brain. There was substantial uptake of $^{201}T1$ in high-grade gliomas (index>1.5) with little uptake in low-grade lesions. A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 with recurrent astrocytoma, in whom MRI study was unable to distinguish tumor recurrence from necrosis, showed the lesions with high $^{201}T1$ indices in both hemispheric regions (2.50/1.93), suggesting tumor recurrence. Two meningiomas and a metastatic tumor showed varying degrees of $^{201}T1$ uptake (index $1.71\sim8.15$), revealing that $^{201}T1$ uptake is not exclusive to high-grade gliomas. In 2 postirradiation patients with metastatic tumors, no abnormal $^{201}T1$ uptake was found in the cerebral lesions, shortly after the initiation of radiation therapy or despite the persistence of enhancing lesions-though improved-on MR images, suggesting that $^{201}T1$ uptake may reflect the metabolic and possibly clonogenic activities of tumors and the brain $^{201}T1$ SPECT imaging might be valuable for the evaluation of tumor responsiveness to the therapy and for early detection of tumor recurrence. A patient with brain abscess on antibiotic treatment, showig increased uptake of $^{201}T1$ in the resolving lesions (index 2.87/1.52) is discussed. In a patient with cerebral infarction, there was no abnormal uptake of $^{201}T1$ in infarcted tissue. When using a threshold index of 1.5, correlation rate between $^{201}T1$ uptake and contrast enhancement of the cerebral lesions on CT/MRI was 73% (8/11). In conclusion, the brain $^{201}T1$ SPECT imaging may be useful for assessment of tumor response to the therapy and to predict low-or high-grade lesions.

  • PDF

급성 심근 경색 환자에서 재관류 후 조기에 시행한 휴식/24시간 지연 T1-201 심근 SPECT의 심근벽 운동 호전 예측능 (Predictive Values of Early Rest/24 Hour Delay T1-201 Perfusion SPECT for Wall Motion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Reperfusion)

  • 현인영;권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9-265
    • /
    • 1998
  • 목적: 심근의 T1-201 섭취는 심근 조직의 관류를 반영한다. 급성 심근 경색 환자에서 재관류 후에 T1-201 심근 SPECT로 구조된 심근을 찾아내어 심근벽 운동 회복을 예측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심근 경색 환자에서 조기 재관류 또는 경색 연관동맥에 대한 지연 재관류를 시행하고 6 시간 이내에 휴식, 다음날 지연 심근 T1-201 심근 SPECT를 촬영하여 휴식기 T1-201의 섭취 정도와 지연 재분포 여부를 관찰하여 재관류 후 조기에 시행한 T1-201 심근 SPECT의 심근벽 운동 호전 예측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휴식기 T1-201 섭취와 지연 재분포를 같이 고려하여 판정한 심근벽 운동 호전 예측능은 양성 예측율 99% (70/71), 음성 예측율 54% (14/27)이었다. 휴식기 T1-201 섭취 정도로 판정한 심근벽운동 호전 예측능은 양성 예측율 100% (69/69),음성 예측율 52% (15/29)로, 지연 재분포의 관찰이 휴식기 T1-201 섭취로만 판가한 심근벽 운동 호전 예측능을 유의하게 향상시키지 않았다. 심근벽 운동감소 정도에 따라 분류한 T1-201 심근 SPECT의 심근벽 운동 호전 예측능은 심근벽 운동이 저하된 46 분절에서 양성 예측율 100%, 음성 예측능 14%이었고, 심근벽 운동이 전혀 없거나 이상 운동이 있었던 52 분절에서 양성 예측을 97%, 음성 예측율 60%이었다. 음성 예측율은 심근벽 운동이 저하된 분절보다 전혀 없거나 이상 운동이 있는 분절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급성 심근 경색 환자에 대한 재관류 후 조기에 검사한 T1-201 심근 SPECT에서 심근생존능이 있으면 심근벽 운동은 호전되어 좋은 양성예측율을 보였으나 음성 예측율은 비교적 낮았다. 음성 예측율을 올리기 위해서 심근벽 운동을 고려하여 심근 관류를 판정할 필요성이 있었다.

  • PDF

각종 뇌 종양의 Thallium-201 뇌 SPECT에서 Thallium-201의 동태 (Thallium-201 Uptake and Washout in T1-201 Brain SPECT of Various Brain Tumors)

  • 임상무;홍성운;이창훈;이승훈;김종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60-364
    • /
    • 1992
  • Treatment for the brain tumors consist of surgery, chemotherapy, and a variety of methods of irradiation. Therapy is aimed to destroy the tumor, but necrosis and edema occur concurrently. Conventional structural imaging techniques such as CT or MRI are unable to reliably distinguish persistent and recurrent tumor from necrosis or edema. T1-201 has been shown to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the myocardial viability by comparing the early uptake and redistribution im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early uptake and delayed washout images of the T1-201 brain SPECT in the brain tumors. In the pathologically diagnosed various brain tumor patients, brain SPECT was done with rotating gamma camera 15 minutes and 3 hours after T1-201 injection, and the T1-201 uptake in the tumor was compared with the skull and scalp activity. In the glioblastoma multiforme, meningioma and metastatic tumor, the T1-201 uptake was higher than low grade glioma in both 15 minute and 3 hour images (p<0.02). In the low grade glioma,3 hour T1-201 uptak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15 minute uptake (p<0.05) but in the glioblastoma, meningioma and metastatic tum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1-201 uptake among the glioblastoma, meningioma and metastatic tumors. In one matastatic tumor, T1-201 uptake was decreased after radiation therapy. T1-201 brain SPECT could distinguish the benign and malignancy, and seems to be useful in the follow-up after treatment. But one of the early or delayed SPECT seems not to be necessary for these purposes.

  • PDF

우측 관상동맥 폐쇄 환자에서 관상동맥내 Thallium-201 주사를 이용한 측부 혈행의 의의 (Functional Significance of Angiographic Collaterals in Patients with Totally Occluded Right Coronary Artery: Intracoronary Thallium-201 Scintigraphy)

  • 이도연;이종두;조승연;심원흠;하종원;김한수;권헉문;장양수;정남식;김성순;박창윤;김용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0-217
    • /
    • 1993
  • To compare the myocardial viability in patients suffering from total occlusion of the right coronry artery (RCA) with the angiographic collaterals, intracoronary injection of Thallium-201 (T1-201) was done to 14 coronary artery disease (CAD) patients (pts) with total occlusion of RCA and into four normal subjects for control. All 14 CAD pts had Grade 2 or 3 collateral circulations. There were 14 male and 4 females, and their ages ranged from 31 to 70 years. In nine pts, T1-201 was injected into left main coronary artery (LCA) ($300{\sim}350{\mu}Ci$) to evaluate the myocardial viability of RCA territory through collateral circulations. The remaining five pts received T1-201 into RCA ($200{\sim}250{\mu}Ci$) because two had intraarterial bridging collaterals and three had previous successful PTCA. Planar & SPECT myocardial perfusion images were obtained 30 minutes, and four to five hours after T1-201 injection. Intravenous T1-201 reinjection (six pts) or $^{99m}Tc-MIBI$ (two pts) were also performed in eight CAD pts. Intracoronary myocardial perfusion images were compared with intravenous T1-201 (IV T1-201) images, ECG, and ventriculography. Intracoronary T1-201 images proved to be superior to that of IV T1-201 due to better myocardial to background uptake ratio and more effective in the detection of viable tissue. We also found that perfusion defects were smaller on intracoronary T1-201 images than those on the IV T1-201. All of the 14 CAD pts had either mostly viable myocardium (seven pts) or large area of T1-201 perfusion (seven pts) in RCA territory, however ventriculographic wall motion and ECG did not correlate well with intracoronary myocardial perfusion images. In conclusion, total RCA occlusion patients with well developed collateral circulation had large area of viable myocardial in the corresponding territory.

  • PDF

K-통로개방제가 배양심근세포와 생쥐 체내의 Thallium-201역동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tassium-Channel Opener on Thallium-201 Kinetics: In-vitro Study in Rat Myocyte Preparations and In-vivo Mice Biodistribution Study)

  • 이재태;김은지;안병철;손상균;이규보;하정희;김천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7-515
    • /
    • 1996
  • 1) 강력한 $K^+$ 통로개방제인 pinacidil은 투여한 pinacidil의 농도, T1-201의 방사능양, 실험에 사용된 심근세포 수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배양된 심근세포의 T1-201섭취를 1.6-2.5배 감소시켰고, 심근내로 유입시킨 T1-201의 세포외로의 배출을 1.6-3.1배 증가시켰다. Pinacidil의 T1-201의 세포내로의 섭취억제는 세포내로 유입되는 T1-201의 세포 내에서의 저류가 억제되어 일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2) 생쥐체내에 주사한 pinacidil의 효과는 실험관내의 심근세포의 변화처럼 뚜렸하지는 않았지만 T1-201을 주사한 생쥐에서 10분 이후 pinacidil의 정맥주사한 경우에는 혈액과 간장의 방사능치는 치료하지 않은 군보다 약간 높았고, 신장과 심장의 방사능치는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배양된 심근세포와 생쥐체내 실험의 연구결과는 항고혈압약제나, 항협심증약, 기관지천식 치료제로 사용되는 $K^+$통로개방제는 심근내로의 T1-201 축적을 억제하고 배출을 촉진시켜. T1-201 심근관류스캔의 판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분화된 갑상선암 수술후 T1-201 및 I-131 전신신티그라피 소견 (T1-201 and I-131 Whole Body Scintigraphy in Postoperative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현인영;차중직;이진오;강태웅;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7-92
    • /
    • 1990
  • T1-201 and I-131 scintigraphy were performed to visualize malignant lesions postoperatively in 26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nyone of uptake index and retention index was higher in malignant lesions than that in benign lesions. T1-201 scintigraphy showed uptake ininflammatory tissues. T1-201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fourteen patients and six of them had malignant lesions, while I-131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six patients and all had malignant lesions. In sensitivity, combination of T1-201 and I-131 scintigraphy is higher than I-131 or T1-201 scintigraphy only. In postoperative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t may be useful that T1-201 scintigraphy will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I-131 scintigraphy for detecting recurrence.

  • PDF

휴식기 T1-201/디피리다몰 부하 게이트 Tc-99m-MIBI/24시간 지연 T1-201 SPECT를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후 심근벽 운동 호전의 예측 (Prediction of Improvement of Myocardial Wall Mo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Using Rest T1-201/Dipyridamole Stress Gated Tc-99m-MIBI/24 Hour Delay T1-201 SPECT)

  • 이동수;이원우;여정석;김석기;김기봉;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7-508
    • /
    • 1998
  • 목적: 휴식기 T1-201/디피리다몰 부하 게이트 Tc-99m-MIBI/24시간 T1-201 SPECT을 이용하여 심근 벽운동의 수술 후 호전 가능성을 예측하고 어떤 지표가 예측률이 좋은지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39명(남자:여자=34:5, 나이: $58{\pm}8세$)에서 우회로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전과 수술한지 3개월 후에 심근 관류 SPECT를 하여 수술 전 SPECT로부터 부하-휴식기 가역성, 휴식기 T1-201 섭취, T1-201 휴식-재분포 양상,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을 준정량적으로 등급화하고 이 지표가 수술 후 심근 벽운동 호전여부를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 보았다. 휴식기에 관류 감소가 있는 16명은 24시간 지연재분포 T1-201 SPECT를 촬영하였다. 17분절로 나누어 관류는 0에서 3 (0: 정상, 1: 가벼운 감소, 2 심한 감소, 3: 결손), 벽운동은 0 에서 4 (0: 정상, 1. 가벼운 저운동, 2: 심한 저운동, 3: 무운동, 4: 이상운동),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은 좋거나 나쁨으로 판정하였다. 전체 99동맥영역의 585분절 중에서 142분절이 벽운동이 이상이 있어서 우회로 또는 수술적 성형술로 재관류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구혈률은 수술 전에 구혈률이 낮은 환자 22명은 $37.8{\pm}9.0%$에 비해 $45.5{\pm}12.3%$ 까지 증가하였다. 103 개의 분절(72.5%)의 벽운동이 수술 후 호전되었다. 부하-휴식기 가역성, 휴식기 T1-201 섭취, T1-201 휴식-재분포 양상, 심근의 수축기 두꺼워짐의 벽운동 호전 예측능은 각각 83%, 76%, 43%, 69%이었다. 음성예측률은 48%, 44%, 58%, 21%이었다. 네 지표중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 양성예측률은 74% 음성 예측률은 46%이었다. 판단도표 분석에 의한 양성예측률은 78%, 음성예측률은 58%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 부하-휴식기 가역성(p=0.0008)과 휴식기 T1-201 섭취(p=0.024)가 유의한 지표였으나 다변량 단계별 로짓분석에서는 부하-휴식기 가역성(p=0.0008)만 유의하였다. 결론 휴식기 운동이상 분절의 심근생존능을 조사한 이 연구에서 휴식기 T1-201/디피리다몰 부하 게이트 Tc-99m-MIBI/24시간 T1-201 SPECT에서 얻은 여러 지표로 수술 후 벽운동 호전을 예측할 수 있지만 부하-휴식기 가역성이 생존 심근을 찾는데 유용한 실제적인 예후 지표임을 알았다. 환자 단위로 수술여부를 판단할 때 생존심근을 가진 환자를 찾을 때에도 부하-휴식기 가역성이 중요한 단일지표인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 PDF

만성 간질환에서의 T1-201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 T1-201 섭취 지표의 평가 (T1-201 Per Rectum Scintigraphy in Chronic Liver Disease: Assessment of T1-201 Uptake Indices)

  • 문원진;최윤영;조석신;이민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9-56
    • /
    • 1999
  • 목적: T1-201 경직장 문맥신티그라피에서 심장/간 섭취비(단락지수)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문맥-체단락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만성 활동성 간염과 간경변 환자에서 T1-201 섭취 양상과 초기 간/심장 섭취속도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단락지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간생검으로 만성 간질환(만성 활동성 간염 35명, 간경화 23명)을 진단받은 58명의 환자에서 T1-201 18.5 MBq를 상부직장에 주입 후 T1-201 경직장 문맥신티그라피를 시행하였다. 간섭취 양상(1형: 균일 분포, 2형: 분절단위 불균일 분포, 3형: 비분절단위 불균일 분포)과 비장, 심장, 신장의 간외 분포양상(grade 0: 방사능 섭취 없음, grade 1: 간보다 적은 방사능 정도, grade 2: 간과 비슷한 방사능 정도, grade 3: 간보다 많은 방사능 정도), 초기 간/심장 섭취속도(처음 10분간의 간/심장 섭취비의 기울기)와 단락지수(심장/간 계수비)를 구하였다. T1-201 섭취 양상과 초기 간/심장 섭취비를 병리진단, 단락지수와 비교하였다. 결과: 간 섭취 양상은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 1형과 2형의 간내 방사능 분포 양상이 많았고(만성 활동성 간염: 27/35, 간경변: 8/23), 간경변은 3형이 유의하게 많았다(만성활동성 간염. 8/35, 간경변: 15/23)(p<0.005). 간외분포양상의 grade는 간경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비장: p<0.001, 기타 연 조직 p<0.005). 초기 간/심장섭취속도는 만성 활동성 간염($0.110{\pm}$0.111)이 간경변($0.014{\pm}0.090$)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간경변의 판정지표로서 0.0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77.2%, 67.7%였다. 초기간/심장 섭취속도와 단락지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347, p<0.01). 결론: T1-201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에서 간 및 간외 방사능 분포와 초기 간/심장 섭취속도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문맥-체단락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생각된다.

  • PDF

단일 폐병변에서 T1-201 SPECT를 이용한 악성 종양의 감별진단 (Thallium-201 SPECT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Malignancy from Benign Pathology in Patients with a Solitary Pulmonary Lesion)

  • 안병철;이재태;천경아;김동환;손상균;김창호;박재용;정태훈;이규보;김천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3-150
    • /
    • 1998
  • 목적: T1-201 SPECT는 악성과 양성폐질환을 감별하는데 비교적 높은 예민도를 가지는 정확한 검사법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 검사법의 특이도 및 예측도는 대상환자군의 양성질환의 종류와 빈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결핵에 의한 양성 폐결절이 많아 T1-201 SPECT의 악양성 감별능이 외국에서 보고되는 결과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결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T1-201 SPECT의 악양성감별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 호흡기 내과, 종양내과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상 단일폐결절을 가진 환자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89명은 악성폐종양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고, 44명은 양성폐결절로 확인되었다. 영상촬영은T1-201 111 MBq를 투여한 후 15분과 3시간에 영상을 촬영하였고, 판독은 2명의 핵의학과 전문의가 육안적으로 이상집적이 보인 경우를 양성으로 판독하였다, 양성으로 판독된 병변의 단위 voxel당 계수를 반대측 정상폐의 계수와 비교하여 T1-201 섭취비를 구하고, 초기영상과 지연영상의 섭취비를 이용하여 T1-201 정체율를 구하였다. 결과, 1) T1-201을 투여후 15분에 실시한 초기 T1-201 SPECT의 악성 폐질환의 진단의 예민도는 92%이고 3시간에 실시한 지연 T1-201 SPECT의 악성 폐질환의 진단율은 93%로 높았으나, 각각의 특이도는 39%와 41%로 낮았다. 2) 악성과 양성질환의 T1-201의 섭취비는 초기 및 지연영상 모두에서 악성폐질환의 섭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28, p=0.014). 그러나 중복되는 부분이 많았다. 3) T1-201 정체율은 악성질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한국과 같이 활동성 염증성병변의 발생빈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단일 폐결절환자를 대상으로한 T1-201 SPECT의 악성병변의 진단에 대한 예민도는 높으나 특이도가 낮고, T1-201 섭취비도 겹치는 부분이 많아 임상적으로 제한적인 가치를 가진다.

  • PDF

유방암 진단에 있어서 탈륨스캔과 Tc-99m MIBI 스캔의 비교 (Comparison of Thallium-201 Scan and Tc-99m Sestamibi Sca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reast Mass)

  • 조인호;원규장;이형우;이수정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6-83
    • /
    • 1999
  • 목적: 유방종괴의 악성과 양성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탈륨스캔의 조기스캔 및 지연스캔과 함께 Tc-99m MIBI 스캔을 시행하여 이들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방종괴를 호소한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탈륨의 조기스캔과 지연스캔 및 Tc-99m MIBI 스캔을 얻었다. 탈륨스캔은 74-111 MBq의 탈륨을 정맥주사한 후 10분과 3시간에 촬영을 하고, 이어서 555-740 MBq의 Tc-99m MIBI를 정맥주사하고 30분 후에 전면상과 측면상을 얻어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38명의 환자 중 23예가 악성 종양으로, 15예가 양성 종양이었다. 유방암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탈륨 조기스캔이 100% (23/23)와 73% (11/15), 탈륨 지연스캔이 82% (18/22)와 73% (l1/15), Tc-99m MIBI 스캔이 90% (18/20)와 83% (10/12)로서 탈륨 조기스캔의 민감도가 탈륨 지연스캔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다른 지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탈륨 조기스캔과 지연스캔에서 위양성을 보인 섬유선종 3예와 비정형 상피세포증식증 1예의 종괴의 크기는 음성으르 나온 11예의 양성 종양보다 유의하게 컸다(p<0.01). 액와부 림프절 전이의 진단적 민감도는 탈륨 조기스캔이 38% (5/13), 탈륨 지연스캔이 15% (2/13), Tc-99m MIBI 평면스캔이 58% (7/12), 단층영상이 67% (4/6)였다. Tc-99m MIBl 평면, 단층영상이 탈륨 지연스캔보다 높았다. 결론: 유방암 진단에서 탈륨의 조기스캔과 Tc-99m MIBI스캔은 진단능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탈륨 지연스캔은 민감도가 낮았다. 액와부 림프절 전이의 진단에는 탈륨스캔보다 Tc-99m MIBI 스캔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