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ree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5초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주요 수종(주목, 잣나무, 구상나무, 신갈나무)에 대한 산소동위원소연대기 작성 및 기후와의 관계 분석 (Establishing Tree Ring δ18O Chronologies for Principle Tree Species (T. cuspidata, P. koraiensis, A. koreana, Q. mongolica) at Subalpine Zone in Mt. Jiri National Park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Corresponding Climate)

  • 서정욱;정현민;;최은비;박준희;이광희;김요정;박홍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61-670
    • /
    • 2017
  • 지리산 아고산대 주요 침엽수(주목, 잣나무, 구상나무)와 신갈나무를 이용하여 50년간의 산소동위원소연대기(1966~2015)를 작성하였다. 산소동위원소연대기 작성은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 결과가 우수한 4본을 각 수종에서 선발하여 실시하였다. 동일 수종 내 임목 간 산소동위원소연대기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유의성(p < 0.001)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PS도 0.85 이상이었다. 동일 수종 내 임목 간 상관분석뿐만 아니라 수종간 상관분석에서도 유의성(p < 0.001)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기후요소(강수량, 기온)와 산소동위원소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반응함수 분석에서 주목은 당년 5월 강수량과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구상나무는 4월 강수량과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향후 주목과 구상나무에 대한 장기간의 산소동위원소연대기가 작성된다면 과거 측정하지 못한 장기간의 4월과 5월 강수량 복원이 가능할 것이다.

A Research on IoT Security Technology based on Blockchain and Lightweight Cryptographic Algorithms

  • Sun-Jib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43-348
    • /
    • 2023
  • As the IoT market continues to grow, security threats to IoT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 application of security technology to the existing system to IoT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is impossibl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IoT devices. Various methods for solving related problems have been studied in existing studies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IoT authentication standards and existing research to propose an algorithm that applies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and 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s to IoT equipment with limited resources. In this study, a key generation method was applied using a Lamport hash-chain and data integrity between IoT devices were provided using a Merkle Tree, and an LEA encryption algorithm was applied using confidentiality in data communication. In the experiment, it was verified that the efficiency is high when the LEA encryption algorithm, which is a 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 is applied to IoT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옻나무 추출액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Rhus verniciflua Extract on Egg Quality and Performance of Laying Hens)

  • 강환구;강근호;나재천;유동조;김동욱;이상진;김상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0-615
    • /
    • 2008
  • 본 연구는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산란계 생산성, 계란품질 및 저장기간에 따른 계란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6처리 4반복 반복당 20수씩 공시하였으며, 옻 추출액 무침가구(C), 500 ppm(T1), 1,000 ppm(T2), 2,000 ppm(T3), 3,000 ppm(T4), 5,000 ppm(T5)으로 처리구를 배치하여 총 12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산란율은 T5 처리구에서 90.2%로 전체 처리간 비교 시 가장 높았으며, 산란량은 5,000 ppm 첨가구에서 59.7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섭취량에서는 대조구와 비교시 옻나무 추출액 첨 가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옻나무 추출액 1,000 ppm 첨가구인 T2 처리구에서 118.5 g/hen으로 가장 낮았고(p<0.05),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는 전체 처리구간 비교 시 T5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시험 기간 동안 난각강도는 T4 처리구와 T3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난황색은 전체 처리구간 비교 시 T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Haugh unit은 대조구와 비교 시 옻나무 추출액 5,000 ppm 첨가구인 T5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저장기간에 따른 Haugh unit 변화 역시 옻나무 추출액 급여에 의하여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전체 처리구 간 비교 시 옻나무 추출액 첨가구에서 단백질과 회분의 이용률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옻나무 추출액 3,000ppm 및 5,000 ppm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적정 수준의 옻나무 추출액을 첨가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계란 품질에 있어 난각질 및 난황색의 개선과 함께 저장 기간 중 신선도에 있어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 REFINED ENUMERATION OF p-ARY LABELED TREES

  • Seo, Seunghyun;Shin, Heesu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1권4호
    • /
    • pp.495-502
    • /
    • 2013
  • Let $\mathcal{T}^{(p)}_n$ be the set of p-ary labeled trees on $\{1,2,{\ldots},n\}$. A maximal decreasing subtree of an p-ary labeled tree is defined by the maximal p-ary subtree from the root with all edges being decreasing. In this paper, we study a new refinement $\mathcal{T}^{(p)}_{n,k}$ of $\mathcal{T}^{(p)}_n$, which is the set of p-ary labeled trees whose maximal decreasing subtree has k vertices.

Reliability analysis of nuclear safety-class DCS based on T-S fuzzy fault tree and Bayesian network

  • Xu Zhang;Zhiguang Deng;Yifan Jian;Qichang Huang;Hao Peng;Quan M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1901-1910
    • /
    • 2023
  • The safety-class (1E) digital control system (DCS) of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structural multiple redundanc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eliability of DCS in different degree of backup loss. In this paper, a reliability evaluation model based on T-S fuzzy fault tree (FT) is proposed for 1E DCS of nuclear power plant, in which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is described by T-S fuzzy gates. Specifically, an output rejection control system is chosen as an example, based on the T-S fuzzy FT model, the key indicators such as probabilistic importance are calculated, and for a further discussion, the T-S fuzzy FT model is transformed into Bayesian Network(BN) equivalently, and the fault diagnosis based on probabilistic analysis is accomplished. Combined with the analysis of actual objects,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is proved.

프리패치 기법을 적용한 T.트리 인덱스 구조 (T-Tree Index Structures Utilizing Prefetch Methods)

  • 이익훈;심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9-131
    • /
    • 2009
  • 최근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한 환경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동 통신, 금융시장 환경에서 빠른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지원을 위한 메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연구와 구축이 많아졌다. 빠른 트랜잭션 지원을 위한 인덱싱 기법에 대한 연구로는 최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구조와 기능을 이용하여 캐시미스 수를 줄이거나 캐시 미스 발생시에 데이터 접근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지원하고 있는 프리패치 기법을 이용하여 캐시 미스 시에 데이터 접근 지연시간을 줄이는 트리인덱스 프리패치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프리패치 기법에 효과적인 pCST-트리 인덱스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트리의 우수성을 제시한다.

  • PD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treet Trees in Seoul

  • Jo, Hyun-Kil;Kim, Jin-Young;Park, Hye-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62-164
    • /
    • 2018
  • This study quantified the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treet trees in Seoul and explored suitabl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A systematic sampling model was used to select 50 plots to survey the structures of street trees. The average density and cover of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5.8 trees/$100m^2$ and 12.1%, respectively. Trees with a dbh of less than 30 cm accounted for about 66.3% of the total number of trees surveyed. The total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he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103,641 t and 10,992 t/yr, respectively. The total carbon uptake equaled the amount of annual carbon emissions from driving of about 11,000 cars. Street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hance carbon uptake. They included multi-layered and multi-aged planting, securing ground and space for plant growth, and avoiding excessive tree pruning.

A branch and bound algorithm for solving a capacitated subtree of a tree problem in local acc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 Cho, Geon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서울대학교, 서울; 30 Sep. 1995
    • /
    • pp.202-210
    • /
    • 1995
  • Given a tree T with a root node 0 having the capacity H and a profit $c_{v}$ and a demand $d_{v}$ on each node v of T, the capacitated subtree of a tree problem(CSTP) is to find a subtree of T containing the root that has the maximum total profit, the sum of profits over the subtree, and also satisfies the constraint of which the sum of demands over the subtree must be less than or equal to H. We first define the so-called critical item for CSTP and find an upper bound on the linear programming relaxation of CSTP. We then present our branch and bound algorithm for solving CSTP and finally report the computational results on a set of randomly generated test problems.s.s.

  • PDF

IoT 기반의 영산강 생태환경 감시망 연구 (A Study on Yeong-san River Ecological Environment Monitoring based on IoT)

  • 남강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3-210
    • /
    • 2015
  • 생태환경 감시 시스템은 센서노드, 게이트웨이, 서비스플랫폼, 그리고 웹브라우저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태환경 감시 서비스에서 다뤄질 수 있는 서비스 기능과 게이트웨이 리소스트리를 설계하였다. 게이트웨이 서비스기능은 oneM2M 규격의 공통 서비스 기능을 근간으로 하며, 게이트웨이 리소스트리는 센서 들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부분과 게이트웨이에 링크되어 처리되는 부분, 마지막으로 디바이스 등록, 센싱, 제어, 프로파일을 관리 처리하는 부분 구성된다.

정수 문자집합상의 접미사트리 구축을 위한 새로운 합병 알고리즘 (A New merging Algorithm for Constructing suffix Trees for Integer Alphabets)

  • 김동규;심정섭;박근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2호
    • /
    • pp.87-93
    • /
    • 2002
  • 주어진 스트링 S의 접미사트리 $T_s$를 구축하기 위하여 , 먼저 홀수위치들에 대한 접미사트리 $ T_0$를 제귀적으로 구축하고 짝수위치들에 대한 접비사트리 $T_e$$ T_o$/로 부터 구축한 다음 $ T_o$$T_e$를 합병하여 $T_s$를 구축하는 새로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인덱스자료구조에 관련된 문제들 중 정수 문자집합상의 접미사트리를 선형시간에 구축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미해결문제로 남아 있었다. Farach은 이 방식을 적용하여 처음으로 성형시간이 소요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중 가장 어려운 곳은 합병하는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BFS(breadth-first search)에 기반하는 새로운 합병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합병알고리즘은 Farach의 DFS(depth-first search) 방식보다 개념적으로 단순하게 동작하므로 다른 응용의로 쉽게 확장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