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eck plat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44초

교량용 강ㆍ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의 실험적 구조성능 (An Experimental Structural Performance of Steel Concrete Hybrid Deck for Bridge)

  • 정연주;정광회;구현본;김병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24-529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experimental structural performance of steel-concrete hybrid bridge deck, which has studs to connect steel plate and concrete and T beam to improve structural performance, by steel plate shape, studs and load location. It proved that steel-concrete hybrid deck has a high structural performance and lightweight due to the efficient use of steel plate as a structural member, which has only used as formwork. In failure mode, few specimen failed at punching shear and many specimen at concrete crushing, therefore proved it has sufficient stability to punching shear which is the most frequent damage of bridge deck. Steel-concrete hybrid deck of plane steel plate has a high structural performance, and that of corrugated steel plate has a high reduction of weight.

  • PDF

T형 데크 플레이트 중공형 슬래브의 구조성능 및 사용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and Usability of Void Slab Established in T-deck Plate)

  • 홍은애;정란;백인관;윤성호;조승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77-684
    • /
    • 2012
  • 최근 들어 건축물의 LCC 분석 결과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수명연장기술 즉, 건축물의 장수명화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요구되어지는 공간의 다변화에 따른 대응이 필요하게 된다.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위해서는 라멘구조가 필수요소이며 이와 더불어서 장스팬 구조 또한 필수적 요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모듈화 되어감에 따라 장스팬 구조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실현을 위해서는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경량화가 기본 조건이 된다. 이에 콘크리트 슬래브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부재의 단면2차모멘트를 극대화 시켜 휨 저항에 유리한 I형 구조로 형성된 중공 슬래브로 개발한 T형 데크 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 조립체를 사용한 중공슬래브의 휨 및 진동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 분석을 통하여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현행기준의 공칭강도에 대한 규정을 사용하여 경량성형재를 사용한 중공슬래브의 휨 강도 설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절곡강판을 이용한 교량용 강-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의 피로 성능평가 (Fatigue Strength Evaluation of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Dec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 안진희;심정욱;정연주;김상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31-740
    • /
    • 2008
  • 본 연구는 하부 절곡강판과 T형강을 D16mm 스터드 전단연결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킨 교량용 강합성 바닥판의 피로 거동 및 피로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제안된 강합성 바닥판의 피로성능 평가를 위하여 총 8본의 시험체가 제작되었으며, 각각의 시험체에 3 종류의 일정진폭을 가진 피로하중이 재하되었다. 피로실험결과, 피로균열은 강합성 바닥판 하부 절곡강판의 절곡점에서 발생하여 상부 T형강으로 진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로하중에 따라 시험체의 변위 및 변형률이 증가하고 피로균열발생 후 변위와 변형률이 급격히 변화하였다. 제안된 강합성 바닥판의 피로강도는 도로교설계기준 및 도로교설계기준 피로상세 범주의 자료가 된 NCHRP 102와 NCHRP 147 보고서의 피로실험결 과와 비교하여 평가한 결과 대상 강합성 바닥판은 피로상세 범주 C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데크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가 결합된 슬래브의 차음성능에 대한 실물실험 평가 (A Study on the Sound Insulation for Void-deck Slab Combined with Deck Plate and Polystyrene Void Foam)

  • 노영숙;윤성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0-65
    • /
    • 2015
  • This study is to explore floor impact sound and sound ins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void-deck slab system which combines polystyrene void foam and T-shaped steel deck plate. A void-deck slab system can effectively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used and hence the mass of a reinforced concrete slab. Also void slab system has dynamically favorable for bending. Three-bay 2-story building was constructed as a mock up test specimen using void-deck slab system and floor impact sound was measured to valuat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ight weight floor impact and heavy weight floor impact were investigated. Light weight floor impact pressure levels were 32dB, 28dB, and 29db at representative locations which are $1^{st}$ level i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grading system. The heavy-weight floor impact pressure levels were 44dB, 45dB, and 43dB at representative locations which are $2^{nd}$ level i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grading system. Therefore void-deck slab system can be used in public housing apartment building in terms of not only effectively reduced construction materials but also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윤하중에 의한 강바닥판 교면포장의 종방향균열 관련 수치해석법 개발 (Local Deformation Analysis of the Orthotropic Steel Bridge Deck Due to Wheel Loadings Using FSM and FEM)

  • 정진석;정명락;옥창권;이원태;김문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243-251
    • /
    • 2016
  •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강바닥판은 윤하중의 작용으로 국부적으로 매우 큰 변형이 발생하고, 이것은 교면포장에 종방향으로 구조적인 균열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강바닥판의 윤하중 국부해석을 위하여 가로보의 휨 및 비틀림강성을 엄밀히 고려할 수 있는 평면쉘 스트립요소, 프리즘요소, 그리고 이 두요소를 연결하는 링크요소로 구성된 개선된 유한대판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판 플레이트 거더교의 일부를 해석예제로 선택하여 연직처짐 및 교축직각방향 변형율 결과를 쉘요소, 솔리드요소, 그리고 코히시브요소를 이용한 ABAQUS 해석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직교 이방성 판 이론을 이용한 바닥판 활하중 모멘트 산정식 개발 (Development of Live Load Moment Equations Using Orthotropic Plate Theory)

  • 안예준;남석현;박장호;신영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6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9-756
    • /
    • 2006
  • Because of the orthotropic elastic properties and significant two-way bending action, orthotropic plate theory may be suitable for describing the behavior of concrete filled grid bridge decks. Current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2004) has live load moment equations considering flexural rigidity ratio betwee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but the Korea highway bridge design specification(2005) doesn't. The Korea highway bridge standard specification LRFD(1996) considers an orthotropic plate model with a single load to estimate live load moments in concrete filled grid bridge decks, which may not be conservative. This paper presents live load moment equations for truck and passenger car, based on orthotropic plate theory. The equations of truck model use multiple presence factor, impact factor, design truck and design tandem of the Korea highway bridge standard specification LRFD(1996). The estimated moments are verified through finite-element analyses.

  • PDF

철선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구조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Test research of Structural Safety for Steel Wire-Integrated Deck Plate System)

  • 이용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220-228
    • /
    • 2010
  • 일체형 삼각 트러스 형태의 철선을 아연도금 강판에 용접한 철선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는 슬래브 시공 시 현장시공 최소 및 동바리와 지보공 등 거푸집 공사비 절감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이미 많은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선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의 구조성능 평가를 위해 상부철선, 하부철선, 래티스 철선, 경간, 단부가공방법을 변수로 채택하여 총 32개의 시험체를 실물크기로 제작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시험체의 최종파괴형태 변화 및 단부가공방법이 시험체의 구조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간 3.2m 시험체는 래티스 철선으로 ${\Phi}4.5$를 사용해도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께 180mm 슬래브에 적용 가능한 철선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개발 (Development of Steel Wire-Integrated Deck Plate Applicable to Slab with 180mm Thickness)

  • 이용재;윤상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9-98
    • /
    • 2012
  • 일체형 삼각 트러스 형태의 철선을 아연도금 강판에 용접한 철선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는 슬래브 시공 시 현장시공 최소 및 동바리와 지보공 등 거푸집 공사비 절감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이미 많은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0mm 두께 슬래브에 적용 가능한 철선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부철선, 하부철선, 래티스 철선, 경간, 단부가공방법을 변수로 채택하여 총 14개의 시험체를 실물크기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시험체의 최종 파괴형태 변화 및 단부가공방법이 시험체의 구조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철선의 영향보다는 래티스 철선이 시험체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콘크리트의 현장 표면단열 양생공법 시공사례 연구 (Field Application of Surface Insulation Curing Method to Cold Weather Concreting)

  • 김종백;임춘근;한민철;김성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28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ield application of surface insulation curing method, which combined double layer bubble sheet(DBS) and thick-curing-material(TCM) for cold weather concreting. According to the test, deck slab, curing only upper section with DBS and TCM, does not make big different temperature history with that, curing both upper and bottom section during daily average temperature 6.5t. It is concluded that combination of DBS and TCM in only upper section can be safely cured in early period of time during cold water concreting. The field test was carried out with this favourable data. The upper deck slab was insulated by combination of DBS and TCM, and the construction was surrounded by tent. in order to protect from outside wind.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lowest temperature of deck slab indicated 6$ ^{circ}C $. It demonstrated that this curing method can resist early frost and save construction cost in the side of management and saving labor cost, compared with previous method. In addition, the column specimen, combined both form and bubble board, exhibited favorable temperature history, due to internal hydration heat insulation effect.

  • PDF

캡플레이트를 이용한 장스팬용 춤이 깊은 데크의 휨성능 개선 (Improvement of Flexural Performance for Deep-Deck Plate using Cap Plate)

  • 박기연;남윤선;최영환;김영호;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555-567
    • /
    • 2013
  • 철골구조의 층고를 절감을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춤이 깊은 데크를 사용한 슬림플로어 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장스팬과 층고절감을 요구하는 건물이 증가하고 있지만 7m이상 장스팬에 춤이 깊은 데크를 적용 시 과도한 처짐에 의한 사용성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스팬에 적용되는 춤이 깊은 데크의 콘크리트 타설시 처짐의 사용성 및 개방형 단면의 불안정성에 의한 휨비틀림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Cap형태의 plate(이하 '캡 플레이트')를 두가지 형태(Flat, Hat)로 개발하고 보강 길이와 위치의 최적화를 이론적 계산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 캡플레이트를 춤이 깊은 데크의 골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상부 개방형 불안전성을 극복하고 단면의 강성을 증대시켜 중앙부 처짐을 제어하고자 한다. 캡 플레이트의 설치위치와 보강길이에 따른 휨서능 개선의 효과를 해석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