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형 열전대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Histologic Effects of a Contact Diode Laser on Intraoral Soft Tissue (접촉식 다이오드레이저조사가 구강연조직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

  • White, Joel M.;Shin, Keum-Back;Thompson, Rick;Myers, Terry D.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2
    • /
    • pp.101-108
    • /
    • 1998
  • 본 연구는 두 가지 관점, 즉 다이오드레이저를 구강연조직에 접촉식으로 조사하여 조직을 절제할 경우 첫째 심부조직에서의 온도 상승 정도에 대한 분석 평가, 둘째 절제에 따른 조직의 열적 응고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평가를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도축된 소의 혀 배면으로부터 5.0mm깊이에 T형 열전대(type T thermocouple)를 설치하고 조사조건에 따른 레이저절제 도주의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또한 해당조사부위의 조직을 대상으로 통법에 의한 H-E염색 후 조직학적 측면에서 열적 응고상을 검색하여 Nd:YAG레이저의 경우에서와 비교하였다. 즉 파장815nm의 다이오드레이저를 0-10W의 출력, 50Hz와 연속파의 주파수조건에서 접촉식으로 조사하였으며, 또한 파장1064nm의 Nd:YAG레이저를 0-10W의 출력, 50Hz와 100Hz의 주파수 조건에서 접촉식으로 조사하였다. 레이저의 접촉조사시 레이저광섬유 첨단부에서 10(10gm의 일정한 압력과 25mm/sec의 이동속도로 조직을 절제하였다. 레이저가 접촉조사된 조직부위를 통법에 의해 조직학적으로 H-E염색을 시행하였으며, 계측현미경을 이용하여 10배율 아래에서 조직절제의 폭과 깊이, 측방 및 하방 쪽으로 열적 응고의 폭을 계측하였다. 계측치에 대한 통계학적 처리결과 조직절제의 폭과 측방쪽으로 열적응고의 폭은 다이오드레이저에와 Nd:YAG레이저에서 같은 정도를 나타냈다. 조직절제의 깊이는 Nd:YAG레이저에서에 비해 다이오드레이저에서 더 깊었다. 하방쪽으로의 열적응고의 폭은 Nd:YAG레이저를 10Hz의 조건에서 조사한 경우에서 가장 넓었으며, 다이오드레이저를 50Hz와 연속파의 조건에서 조사한 경우에서 가장 좁았다. 레이저절제 도중 심부조직에서의 온도변화는 다이오드 레이저에서와 Nd:YAG레이저에서 모두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었으며, 다이오드레이저에서 보다 Nd:YAG레이저에서 더 높이 상승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도된 조사조건 범위 이내에서는 구강연조직 절제시 다이오드레이저가 펄스형 광섬유 전달식 Nd:YAG레이저 보다 심부조직에서의 낮은 온도상승과 하방쪽으로의 좁은 열적 응고의 폭을 보이면서 우수한 조직절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

Effects of the Wire-screen Rib on Heat Transfer and Friction Factors (와이어 스크린 리브이 열전달과 마찰계수에 미치는 효과)

  • Oh, Se-Kyung;Ahn, Soo-Whan;Lee, Dae-Hee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2
    • /
    • pp.196-203
    • /
    • 2011
  • Experiments to determine heat transfer coefficients and friction factors are conducted on a stationary transverse parallel wire-screen rib roughened rectangular channel. The test section consists of 198 mm (W) x 40 mm (H) x 712 mm (L). The channel has the aspect ratio of 4.95 and hydraulic diameter of $D_h$=6.66 cm. Four wire screen ribs and a solid rib are used. 0.1 mm-thick-stainless steel foil heaters and thermocouples (T type) are used to measur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Reynolds numbers studied range from 20,000 to 60,000. The wire-screen rib height (e) to hydraulic diameter ($D_h$) ratio ($e/D_h$) is 0.075; spacing (p) to height ratio (p/e) is 10. Results indicate that the solid rib produces the greatest Nusselt number and friction factor.

Investigation of Convec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queous SiO2 Nanofluids under Laminar Flow Conditions (층류유동 조건에서 SiO2 나노유체의 대류 열전달 특성에 대한 연구)

  • Park, Hyun-Ah;Park, Ji-Hyun;Jeong, Rag-Gyo;Kang, Seok-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1-11
    • /
    • 2016
  • The effect of the migration of nanoparticles near the wall of a channel on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in a laminar flow of $SiO_2$ nanoparticle suspensions (nanofluids) under constant wall heat flux boundary conditions was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dynamic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queous $SiO_2$ nanofluids was measured using T-type thermocouple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stainless steel circular tube (with a length of 1 m and diameter of 1.75 mm). The nanofluids used in this study were synthesized by dispersing $SiO_2$ spherical nanoparticles with a diameter of 24 nm in de-ionized water (DIW). The enhanc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nanofluids (e.g., an increase of up to 7.9 %) was demonstrated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profiles in the flow of the nanofluids with that in the flow of the basefluids (i.e., DIW). However, this trend was not demonstrated in the computational analysis, because the numerical models were based on continuum assumptions and flow features involving nanoparticles in a stable colloidal solution. Thus, to explore the non-continuum effects, such as the modification of the morphology caused by nanoparticle-wall interactions on the heat exchanging surfaces (e.g., the isolated and dispersed precipitation of the nanoparticles),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DIW right after the measurements using the nanoflu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