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 suitability

검색결과 862건 처리시간 0.029초

임분(林分) 공간구조(空間構造) 분석(分析)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Stand Spatial Structure Analysis)

  • 신만용;오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89-399
    • /
    • 1999
  • 본 연구는 개체목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밀 임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분의 3차원 공간구조 분석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임분의 ha당 통계량 계산 등 양적 정보뿐만 아니라 직경, 수고, 재적분포, 그리고 3차원 임분 공간구조와 수관투영도 등의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 상에서 가상 시업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업후의 임분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통계분석 부분은 SAS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였고, 그래픽 정보의 표현 능력은 유사한 3차원 수관도 프로그램인 TreeDraw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료분석 시간이나 결과의 요약 등 실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해당 임분에 대한 적합한 조림조치와 합리적인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임분 공간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확장 베이지안망을 적용한 고위험성 HRCT 영상 분류 (Classification of Very High Concerns HRCT Images using Extended Bayesian Networks)

  • 임채균;정용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2호
    • /
    • pp.7-12
    • /
    • 2012
  • 최근 의료분야에서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의사결정트리, 신경망, 베이지안망 등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적용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환자의 기본적인 신상정보나 과거력, 가족력과 같은 정보 이외에도 MRI, HRCT 등의 영상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고 진단에 활용함으로써 질병진단의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황이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량의 변수가 존재하므로 특정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촬영된 의료영상도 부수적으로 진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주관적인 판단 비중이 높아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처리하기가 난해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현실의 복잡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대처가 유리하고 다변량 확률적인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베이지안망에서 K2나 TAN 등으로 탐색 알고리즘을 개선한 확장 모델이 제안되었다. 이 때, 적용되는 탐색 알고리즘의 종류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확장 베이지안망의 특성상, 각 기법에 대한 성능과 적합성의 사실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확장 베이지안망에서 질병 진단에 대한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K2, TAN과 같은 탐색 알고리즘에 변화를 주며 분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서는 10-fold 교차검증을 수행한 결과분석을 기반으로 성능을 비교평가하고, 발병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 대한 HRCT 영상을 분류하여 고위험성의 데이터를 식별 가능하도록 하였다.

3차원 직선교 모델 객체의 인식을 통한 고유 명칭부여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Unique Naming Algorithm for 3D Straight Bridge Model Using Object Identification)

  • 박준원;박상일;김봉근;윤영철;이상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557-56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직선교 모델의 객체인식을 통해 각 객체별 고유 명칭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3차원 객체의 수치적 인식을 위해 국부 좌표계 상의 솔리드 객체 도심 좌표를 활용하였으며, 객체의 분류, 부재의 구분, 교량 방향 인식 등을 수행하여 객체특성집합을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경간정보, 부재정보, 객체의 순서정보를 포함한 객체별 고유 명칭을 부여하였고, 트러스 교량 모델 및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갖는 교량모델에 적용하여 각 부재별 객체특성집합을 이용한 명칭의 부여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실제 교량의 3차원 모델을 대상으로 제안된 방법론을 통해 객체특성집합 정의 및 객체별 명칭을 부여하였고, 이를 매개로 모바일 장치용 모듈과 로컬 서버용 모듈에 적용하였다. 객체인식을 통한 명칭부여 알고리즘을 활용한 방법과 기존 현장점검 방식의 비교를 통해 기존 유지관리 현장점검 업무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안정화작전시 행정기능 모의방안 연구 (A Study of Simulation Method for Administrative Functionality on Civil-Military Operations)

  • 전일룡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1-28
    • /
    • 2016
  • 우리 군은 북한 자유화지역에서의 안정화작전에 대한 연습을 전투모델과 연합사에서 운영하는 JNEM모델을 연동하여 일부 제한된 "민간요소"에 대한 연습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투모델이나 JNEM모델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민간요소"들과 제한되는 상황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연습간 메시지로 처리하여 연습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스럽게도 우리 군은 이러한 비군사적분야의 "민간요소"를 우리 실정에 맞게 민사 5대 기능으로 정리하여 "민군작전모의모델" 체계를 2014년 부터 개발 중에 있다. 민사 5대 기능 중의 기본이 되는 행정기능의 업무수행 내용은 대부분 정성적(精性的)인 내용이 많고, 정량화(定量化)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객관적으로 계량화(計量化)하여 모의방안을 구축하기에는 어려운 사항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연구를 통해 계량화 방법을 찾아보았고, 행정기능 5개 대과제(13개 세부과제)의 모의 흐름도를 작성하여 모의결과가 타 기능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봄으로써 객관적 타당성을 포함한 모의방안을 작성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민군작전모의모델" 체계가 개발되면, 민군작전 연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북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사업 모니터링 여건평가 (Evaluating Monitoring Condition for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to Demonstrate CSR in North Korea)

  • 주승민;허만호;김종달;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1-20
    • /
    • 2015
  • 모니터링은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핵심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여건에 대한 모니터링이 잘못되었을 경우, 입증수단과 방법을 사전에 점검하여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탄소상쇄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증책임에 관련된 쟁점들을 사전에 점검하고자 백두산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여건(사업대상지의 적합성, 산림 바이오매스 성장에 따른 탄소축적, 바이오매스의 손실, 삼림 전용 및 훼손 여부,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성 영상은 백두산의 산림현황을 가시적인 기록으로 제시하였는데, 대북 산림탄소상쇄사업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표를 대부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에서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수행하려는 한국기업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닝 콘텐츠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Evaluation of the Quality Certification for e-Learning Contents)

  • 한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49-66
    • /
    • 2015
  • 이러닝 산업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가는 민간 교육업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이러닝 콘텐츠 및 시스템 공급자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닝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짐에 따라,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콘텐츠와 시스템 및 그 공급자에 대한 평가 기준과 적합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연구들은 이러닝 품질인증에 대한 평가기준과 품질인증 평가기준의 세부 실행 방안은 제시하고 있으나, 품질인증 기술성에 대한 필요성과 기술성 평가기준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콘텐츠의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에 대한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의 특징과 기술성 평가기준 세부 항목별 적용 절차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의 세부적인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제시할 수 있고, 각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척도의 예시를 제공함으로써 이러닝 콘텐츠의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시범서비스가 이루어진 후, 이러닝 콘텐츠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기준에 대한 결과의 피드백에 따라 기준을 보완하여 정책에 반영하고 고시한다면, 해당 정책은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청미천 유역 Flux tower 결측치 보정 (A point-scale gap filling of the flux-tower data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 전현호;백종진;이슬찬;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929-9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유역에서의 플럭스타워에서 산출되는 증발산량의 결측값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사용하였다. 비교 평가를 위해, Mean Diurnal Variation(MDV),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Penman-Monteith(FAO-PM) 방법들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고, ANN 방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평가 방법으로 시계열 방법 및 통계 분석(결정계수, IOA, RMSE, MAE)이 사용되었다. 각 gap-filling 모델의 검증을 위해 2015년의 30분 단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121개의 결측값 중 MDV, FAO-PM, ANN 방법 순으로 각각 70, 53, 54개의 결측값을 보완하여 모든 데이터가 관측되지 않은 36개의 데이터를 제외하면 각각 82.4%, 62.4%, 63.5%의 성능을 보였다. 결정계수(MDV, FAO-PM, ANN 방법 순으로 각각 0.673, 0.784, 0.841)와 IOA(MDV, FAO-PM, ANN 방법 순으로 각각 0.899, 0.890, 0.951)를 분석한 결과, 3가지 방법 모두 양질의 상관성을 보여 활용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이 중 ANN 모델이 가장 높은 적합도와 양질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기계학습방법을 이용한 플럭스 타워 자료의 gap-filing 연구에 보다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경관형용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엄성준;김남춘;김상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4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Hence, in this paper we utilized landscape adjectives as a way to enhance the objectivity of the organic agricultural complex landscape assessment. More specifically, not only this study used a landscape image of an organic agricultural complex to identify a landscape adjective suitable for the landscape elements but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landscape adjectives compar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and the public.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2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of deriving the landscape adjectives from the main landscape elements, there were nine landscape adjectives that were consistent with experts and the public, including "clear" and "Artless" for rice paddies and fields, while the mismatched landscape adjectives were 'traditional'. The accent planting was a combin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such as 'natural' and 'clear', while the windbreak trees was a consensus of all landscape adjectives. Only two adjectives, 'friendly' and 'wild', agreed on the dirt load, nine dum-bung(small pond), ten natural small river, nine duckery, eight one-storied houses, 10 pavilion, eight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and three natural waterways. The most common landscape adjectives were windbreak trees, pavilions, and natural small river, all 10 landscape adjective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ree of the 10 landscape types on the dirt road and the natural number are matched. Thus, additional management measure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st common landscape adjectives were "Artless" and "friendly" 13 times. The landscape adjective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responded by expert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natural, clear, zingy, silent, traditional, artless, friendly, wild and Leisurely, and consistent with the general public's opinion.

복방제제 내 클로르퀴날돌과 프로메스트리엔에 대한 HPLC 기반 동시분석법의 개발 및 밸리데이션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quinaldol and promestriene in complex prescription)

  • 이슬지;신상연;신혜진;이진균;김동환;이수정;한상범;박정일;이정미;권성원
    • 분석과학
    • /
    • 제25권2호
    • /
    • pp.152-157
    • /
    • 2012
  • 현재 시중에 많은 복방제제가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여러 주효 성분을 가지는 복방제제의 경우 대부분 약전에 수재된 항목 중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약전에 단일 항목에 대한 시험법이 고시되어 있을 뿐 여러 항목을 한번에 시험하는 방법이 없어 한가지 제제를 관리 하는 데에 여러 시험법이 요구되어 효율이 낮고 비용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유통중인 복방제제의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한 과정과 그 때에 적용되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복방 프로메스트리엔, 클로르퀴날돌 제제에 대한 새로운 분석법을 HPLC를 기반으로 가장 적용이 용이하게 개발하였으며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회수율), 시스템 적합성(반복성, 분리도) 등의 항목에 대하여 밸리데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제품을 모니터링하고 실험실간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시험법의 견고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고시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실생활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의 의미 있는 장소 추출 방법 (The method for extraction of meaningful places based on behavior information of user)

  • 이승훈;김보경;윤태복;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03-508
    • /
    • 2010
  • 최근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기가 보편화 되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요구사항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수집되는 GPS등의 위치정보는 일반적으로 매우 방대하며, 이로 인해 경로 간 유사도 비교 시에 큰 연산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미 있는 장소를 정의하고 장소간의 이동으로 모델링하여 이동 경로를 단순화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은 체류 시간과 거리만을 고려하여 이를 정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류 시간과 거리, 상호작용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의미 있는 장소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추출된 의미 있는 장소를 이용하여 경로를 단순화하여, 이동 경로 유사도 비교 시 드는 연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GPS를 통한 위치정보와 타인과의 상호작용 정보(통화, 문자 메시지 송수신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친밀도가 높은 사람들을 정의하고 체류 시간과 거리, 주변에 있었던 사람의 정보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장소를 정의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실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의미 있는 장소를 추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된 의미 있는 장소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미 있는 장소로 단순화 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예측을 수행할 경우의 예측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 방법과의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연산에 소모되는 비용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