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ctic

검색결과 717건 처리시간 0.03초

The Use of Phonetics in the Analysis of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Syntax

  • Fellbaum, Marie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430-431
    • /
    • 1996
  • Among the scholars of second language (L2) acquisition who have used prosodic considerations in syntactic analyses, pausing and intonation contours have been used to define utterances in the speech of second language learners (e.g., Sato, 1990). In recent research on conversational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lexically marked causal clause combining in the discourse of native speakers can be distinguished as "intonational subordination" and "intonational coordination(Couper-Kuhlen, Elizabeth, forthcoming.)". This study uses Pienemann's Processability Theory (1995) for an analysis of the speech of native speakers of Japanese (L1) learning English.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the psycholinguistic stages of syntactic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pitch, loudness, and timing must all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syntactic analysis of interlanguage speech production. Twelve Japanese subjects participated in eight fifteen minute interviews, ninety-six dyads. The speech analyzed in this report is limited to the twelve subjects interacting with two different non-native speaker interviews for a total of twenty-four dyads. Within each of the interviews, four different tasks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stage of acquisition of English for each subject. Initially the speech is segmented according to intonation contour arid pauses. It is then classified accoding to specific syntactic units and further analysed for pitch, loudness and timing.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ech must be first claasified prosodic ally and lexically, prior to beginning syntactic analysis. This analysis stinguishes three interlanguage lexical categories: discourse markers, coordinator $s_ordinators, and transfer from Japanese. After these lexical categories have been determined, the psycholinguistic stages of syntactic development can be more accurately assessed.d.

  • PDF

영어 구문 분석의 효율 개선을 위한 3단계 구문 분석 (Three-Phase English Syntactic Analysis for Improving the Parsing Efficiency)

  • 김성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호
    • /
    • pp.21-28
    • /
    • 2016
  • 영어 구문 분석기는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의 영어 구문 분석기는 규칙 기반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서, 많은 구문 규칙을 구축하고 차트 파싱 기법으로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구문 규칙의 수가 많기 때문에 구문 분석 과정에서 많은 구조가 생성되는데, 이로 인해 구문 분석 속도가 저하되고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여 번역의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쉼표를 포함하는 긴 문장들은 구문 분석 복잡도가 매우 높아 구문 분석 시간/공간 효율이 떨어지고 정확한 번역을 생성하기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긴 문장들을 효율적으로 번역하기 위해 문장 분할 방법을 적용한 3단계 구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구문 분석의 각 단계는 독립된 구문 규칙들을 적용하여 구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구문 분석의 복잡도를 줄이려 하였다. 이를 위해 구문 규칙을 3가지 부류로 분류하고 이를 이용한 3단계 구문 분석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특히 세 번째 부류의 구문 규칙은 쉼표로 구성되는 문장 구조에 대한 규칙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규칙들을 말뭉치의 분석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구문 분석의 적용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문장 분할만을 적용한 기존 2단계 구문 분석 방법에 비해 유사한 번역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시간/공간 효율 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어휘망(U-WIN)의 구문관계 자동구축 (Automatic Construction of Syntactic Relation in Lexical Network(U-WIN))

  • 임지희;최호섭;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10호
    • /
    • pp.627-6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어휘지능망(U-WIN)의 어휘 관계 중의 하나인 구문관계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구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후보명사를 용언의 용례에서 문형 정보를 기준으로 추출함으로써, 용언의 세분화된 의미별로 정확하고 다양한 후보명사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추출된 후보명사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어휘간의 명확한 구문관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후보명사의 여러 의미 중에서 정확한 의미로 결정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용례 매칭 규칙, 구문 패턴, 의미 유사도, 빈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후보명사의 의미를 분별한다. 또한 구문패턴의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용례에 나타나지 않지만 구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명사를 추출하여 구문관계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명사 중심의 어휘망이 용언과의 구문관계 구축을 통해 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 의미분석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어휘망의 기반을 다지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구문 관계와 운율 특성을 이용한 한국어 운율구 경계 예측 (Prediction of Prosodic Break Using Syntactic Relations and Prosodic Features)

  • 정영임;조선호;윤애선;권혁철
    • 인지과학
    • /
    • 제19권1호
    • /
    • pp.89-10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한국어 운율구 경계를 예측하기 위해 (1) 문장 성분을 하위범주화하고, (2) 세분화된 문장 성분 간 의존관계를 이용하여 통사구를 추출하며 (3) 추출한 통사구의 유형에 따른 운율구 경계 예측 규칙을 설정하였다. 또한, (4) 통사적 정보 외에도 통사구와 문장의 길이, 통사구의 문장 내 위치, 문맥의 의미 정보 등에 따라 가변적인 운율구 경계를 판단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운율구 경계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통사구 경계와 상관관계가 높은 강한 운율구 경계 예측과 운율구 내부 비경계 예측에 있어 90% 이상의 높은 재현율과 정확도를 보였으며, 전체 운율구 경계 예측에 있어서도 87%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 PDF

영한 기계번역에서 구문 분석 정확성 향상을 위한 구문 범주 예측 (Syntactic Category Prediction for Improving Parsing Accuracy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 김성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3호
    • /
    • pp.345-352
    • /
    • 2006
  • 실용적인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은 긴 문장을 빠르고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어야 한다. 보다 빠른 번역을 위해 문장 분할을 이용한 부분 파싱 방법이 제안되어 속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결정 트리를 이용한 구문 범주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문장 분할을 적용한 영어 분석에서 각각의 분할된 부분은 개별적으로 분석되며 각 분석 결과들이 결합되어 문장의 구조가 생성된다. 여기서 각 분할의 구문 범주를 미리 예측하여 부분 파싱 후에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선정하고 예측된 구문 범주에 근거하여 올바르게 다른 문장의 분할결과와 결합함으로써 문장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Wall Street Journal의 파싱된 말뭉치에서 구문 범주 예측에 필요한 특성을 추출하고 결정 트리를 이용하여 구문 범주 예측을 위한 결정 트리를 생성하였다. 실험에서는 사람이 구축한 규칙을 이용한 방법, trigram 확률을 이용한 방법, 신경망을 이용한 방법 등에 의한 구문 범주 예측 성능을 측정,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구문 범주 예측이 번역의 품질 향상에 기여한 정도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구문분석을 위한 구묶음 기반 의존명사 처리 (Processing Dependent Nouns Based on Chunking for Korean Syntactic Analysis)

  • 박의규;나동열
    • 인지과학
    • /
    • 제17권2호
    • /
    • pp.119-138
    • /
    • 2006
  • 구묶음 작업은 문장의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장의 구조 분석에 유용한 구묶음의 한 기법을 소개한다. 의존명사는 한국어 문장을 매우 복잡하고 길게 만드는 특성이 있다. 의존명사와 그 주변의 관계되는 단어에 대한 구묶음 작업을 통하여 문장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는 다음 분석 단계인 구문분석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존명사와 관련된 구묶음 처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우리는 의존명사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구묶음 방식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의존명사 관련 구묶음 처리 기법이 구문분석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주관식 문제 채점에서의 구문의미트리 비교 시스템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omparing System with Syntactic-Semantic Tree in Subjective-type Grading)

  • 강원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9-88
    • /
    • 2017
  • 질높은 주관식 문제 채점을 위해서는 답변 속에 들어있는 단어간의 구문의미적 관계를 분석하는 구문 의미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구문의미 분석의 결과인 구문의미트리는 단어간의 구조적 의미 관계를 내포하고 있어 단어의 나열인 일차원적인 벡터의 유사도 계산을 적용할 수가 없다. 본 연구는 단어의 지식과 함께 단어와 단어간의 구조적 의미 관계를 내포하는 구문의미트리를 비교하는 비교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문의미트리 비교를 위해 유사성 계산 원칙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구문의미트리 비교 시스템은 구문의미분석의 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하여 주관식 문제 채점에 도움을 줄 것이고 문서 유사도 영역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센다이 방언과 터키 앙카라 방언의 운율에 나타나는 통사적 애매성 해소에 관한 연구 (Syntactic Ambiguities and Their Resolution in Prosody between Sendai dialect of Japanese and Ankara dialect of Turkish)

  • 최영숙
    • 음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175-185
    • /
    • 2003
  • Japanese and Turkish are syntactically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re are syntactic structures that become ambiguous in terms of NP's and VP's modified by adjectives and adverbs, respectively. The prosody can play a crucial role in differentiating ambiguous sentences to correctly reflect their intended syntactic structures. In what way do the speakers of Sendai dialect of Japanese and Turkish use prosodic elements to differentiate syntactic ambiguities? Acoustic measurements were made of utterances of ambiguous sentences in Japanese and Turkish to observe prosodic strategies for disambiguation. Materials were sentences of the type ADV-VP1-NP-VP2, ADV-NP1-NP2-VP2, where the ambiguity lies in locative adverbial modification, ADV modifying either VP1 or VP2. For this construction the Japanese and Turkish creates the same ambiguities. In this paper, I look at duration, F0, and pause as observed in their speech and see how each language uses three prosodic elements in disambiguation. The results show that both speakers of Sendai dialect in Japan and those of Ankara dialect in Turky use lengthening of the syllable and/or pause before the boundary.

  • PDF

L2 한국어 통사 발달과 학습자 변인에 대한 종적 고찰: 자연 학습 환경의 예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n L2 Korean Syntactic Development and Learner Variables: Evidence from Natural Learning Environment)

  • 김정운;김영주;이선진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1-38
    • /
    • 2017
  • This longitudinal study analyzed syntactic development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CAF) of six L2 Korean learners in a natural learning context. The learners recalled the stories of a short animated video through speaking and writing every 3 months, from month 0 to 15. The learners' responses were analyzed for a series of CAF measures and their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 L2 Korean learners' speaking and writing in various time perio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ken and written accuracy, and complexity; (ii) the correlation between spoken and written complexity, spoken and written accuracy, as well as spoken and written fluency were significant, and (iii)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arners' cognitive,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L2 Korean syntactic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reports that L2 Korean learners engaged in self-learning in a natural learning environment without formal instruction made significant syntactic development.

다단계 구단위화를 이용한 고속 한국어 의존구조 분석 (High Speed Korean Dependency Analysis Using Cascaded Chunking)

  • 오진영;차정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03-111
    • /
    • 2010
  • 한국어 처리에서 구문분석기에 대한 요구는 많은 반면 성능의 한계와 강건함의 부족으로 인해 채택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구문분석을 레이블링 문제로 전환하여 성능, 속도, 강건함을 모두 실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리는 다단계 구 단위화(Cascaded Chunking)를 통해 한국어 구문분석을 시도한다. 각 단계에서는 어절별 품사 태그와 어절 구문표지를 자질로 사용하고 CRFs(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는다. 58,175문장 세종 구문 코퍼스로 10-fold Cross Validation(평균 10.97어절)으로 실험한 결과 평균 86.01%의 구문 정확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구문분석기와 대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이며 기존 구문분석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장문도 처리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