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ine growth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1초

화학비료와 액상분뇨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NO3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Liquid Manure Applic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and NO3 of Soil)

  • 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7-244
    • /
    • 2004
  • 본 실험은 석회, 돈분액비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토양의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토양 전처리, 기비, 추비를 각각 달리처리한(C구: 화학비료 + 화학비료, T1; 석회 + 화학비료 + 화학비료, T2; 돈분액비 + 돈분액비, T3; 석회 + 돈분액비 + 돈분액비, T4; 돈분액비 + 화학비료)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초장, 착수고, 암이삭 비율, 건물율)은 석회로 토양을 교정하고 기비와 추비를 돈분액비로 처리한 T3구가 가장 좋았던 반면, 토양교정 없이 기비 및 추비를 화학비료로만 처리한 대조구(C구)가 낮은 경향치를 보였다. 건물 및 TDN 수량에 있어서도 T3구가 각각 18,611 및 13,746kg/ha로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낸 반면 T1구는 13,529 및 9,541kg/ha로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NDF 및 ADF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생육 특성이 떨어지고 수량(건물 및 TDN)이 낮았던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성분중 질산염은 시용 비료에 따라 뚜렷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50cm 토양에서는 전 처리구 모두 시험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농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100cm 토양에서는 C, T1 및 T4구는 50cm구와 같은 경향을, T2구와 T3구는 후기에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stimation of Genetic and Phenotypic Covariance Functions for Body Weight as Longitudinal Data of SD-II Swine Line

  • Liu, Wenzhong;Cao, Guoqing;Zhou, Zhongxiao;Zhang, Guix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5호
    • /
    • pp.622-626
    • /
    • 2002
  • Growth records over six generations of 686 pigs in SD-II Swine Line were used to estimate the genetic and phenotypic covariance functions for body weight as longitudinal data. A random regression model with Legendre polynomials of age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used to estimate the (co)variances amo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thus the coefficients of genetic and permanent environmental covariance functions by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employing the average information algorithm.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litter effect as additional random effect, a reduced order of fit did not describe the data adequately. For all five orders of fit, however, the change trends of genetic and phenotypic (co)variances were very similar from ${\kappa}$=3 onwards.

돈사의 상대습도가 돼지흉막폐렴의 병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lative humidity in swine house on pathogenesis of swine pleuropneumonia)

  • 정현규;한정희;김재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1-142
    • /
    • 1996
  •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in swine house on swin pleuropneumonia was examined in pigle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serotype 5. A total of 20 piglet were grown under 30~40%, 41~50%, 51~64% and 65~80% relative humidity chambers after intratracheal inoculation of A pleuropneumoniae. Characteristic fibrinous pleuropneumonia was observed in the pigs grown at the low relative humidity groups. The detail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Growth performance and environment conditions were lower than high relative humidity groups. 2. Characterist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fibrinous pleuritis and pneumonia accompanied congestion, hemorrhage, thrombosis and edematous change. 3. Antigenic distribution of inoculated bacterium was found mainly in alveolar macrophages or accumulated foci of macrophages adjacent to necrotic area. 4. Characteristic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were proliferation of type II pneumocyte with increased lamella bodies and activated alveolar macrophages with pseudopods and widening of interstitium.

  • PDF

사료 중 Lysine과 Leucine 수준별 첨가가 비육돈의 생산성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ysine and Leucine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 문홍길;이성대;정현정;김영화;박준철;지상윤;권오섭;김인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687-694
    • /
    • 2008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내 lysine 및 leucine 수준과 그들간의 상호작용이 성장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일령이 비슷하고 체중이 75.5±2kg인 3원교잡종 36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사료 중 lysine 함량 2수준(0.45%, 0.75%)과 leucine 함량 3수준(1.0%, 2.0%, 3.0%)의 2×3 요인실험으로, 처리 당 3반복, 반복당 2두씩 완전임의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요인 및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lysine 0.45%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가 lysine 0.75%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거래 정육율은 lysine 0.45%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가 lysine 0.75%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기타 도체특성에서는 요인 및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강도(marbling score)는 lysine 0.45%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가 lysine 0.75% 수준의 사료를 섭취한 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기타 육질특성에서는 요인 및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eucine 수준에 따른 성장, 도체 및 육질특성에 있어 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b* 값이 leucine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기타 조사항목에서는 요인 및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육후기에 저 lysine 사료를 급여 시 기호성이 높은 고 상강도의 돈육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고 leucine 사료는 근내지방이나 상강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우리흑돈 종모돈이 삼원교잡종 돼지의 성장, 체형 및 부분육 생산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ori Black Pig Sire on Growth Performance, Body Shape, and Retail Cut Yield of Crossbred Pigs)

  • 최요한;민예진;정현정;정용대;김정아;조은석;김영신;홍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32-439
    • /
    • 2020
  • 우리흑돈(Woori black pig, W)은 재래흑돼지와 두록(Duroc, D)을 이용하여 재래흑돼지의 낮은 경제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신품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배 종료종모돈으로써 우리흑돈이 삼원교잡종의 성장, 체형 및 부분육 생산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32두의 삼원교잡종을 교배 종료 종모돈에 기반하여 2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교배 종료종모돈으로 두록과 우리흑돈에 기반한 2개의 다른 삼원교잡종은 LYD[(Landrace×Yorkshire)×Duroc]와 LYW[(Landrace×Yorkshire)×Woori black pig]이였다. 본 연구는 시험 개시 후 53일 동안 수행되었다. 우리흑돈과 두록 종모돈은 삼원교잡종의 53일 체중, 총증체량, 일당증체량 및 90 kg 체중 도달일령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체장, 체고 및 흉심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등지방두께에서 LYD(17.29 mm)와 LYW(18.96 mm)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LYW 삼원교잡종의 등심수율(13.11%)이 LYD(13.85%)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LYW의 목심 수율(8.99%)은 LYD(8.2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결과, 우리흑돈은 삼원교잡종의 사양성적, 체형 및 생산수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교배 종료종모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이 토양 화학성과 벼 (Oryza sativa L.)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ine Liquid Manur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Rice (Oryza sativa L.))

  • 이규회;유재홍;박은주;정영인;;;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45-953
    • /
    • 2010
  • 영광지역에서 양돈분뇨 발효액비를 활용한 벼 재배 현장평가를 통하여 가축분뇨 발효액비의 시용이 벼의 생육특성, 수량, 수량구성요소, 쌀 품질,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양돈분뇨 액비의 총질소 함량은 2,881 mg $L^{-1}$이었다. 토양화학성 변화 중 pH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와 화학비료 처리구 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EC와 유기물은 화학비료 처리구 보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 후의 토양의 치환성 칼륨 함량은 화학비료 처리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에 따른 논토양의 중금속함량은 높아지지 않았으며, 시험 후 토양의 구리와 아연 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기준치 이하였다. 분얼기인 이앙 후 30일, 유수형성기인 이앙 후 80일, 수확기인 이앙 후 110일에 평균 초장 및 경수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와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당수수는 백수, 법성, 염산의 3개 지역 모두에서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와 화학비료 처리구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등숙률은 백수, 군남, 법성의 3개 지역의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에서 80.3~84.9%로 화학비료 처리구 78.4~82.6% 보다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정조수량은 백수와 군남 지역에서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와 화학비료 처리구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영광과 염산 지역에서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에서 695.3~722.6 kg $10a^{-1}$로 화학비료 처리구 730.5~735.5 kg $10a^{-1}$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도복율은 영광과 염산 지역에서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에서 1.9~2.2%로, 화학비료 처리구 0.4~1.2%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백수, 군남, 법성, 염산의 4개 지역에서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양돈분뇨 발효액비 처리구와 화학비료 처리구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돈분뇨 발효액비를 벼에 대한 기준시비량 11 kg N $10a^{-1}$를 기준으로 균일 살포하였을 때 화학비료 시용과 비교해서 생육 (초장, 경수), 수량 및 미질 면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액비화 과정 중 인 이용 우수미생물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rus Accumulating Microorganisms under Liquid Fertilization of Swine Slurry)

  • 임정수;조성백;황옥화;양승학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8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capability to accumulate phosphorus during liquid composting process of pig slurry. Storage liquid compost and pig slurry were analyzed by using MALDI-TOF technique, which showed the colonies of Acinetobacter towneri and Bacillus licheniformis. In addition,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under high phosphoric acid conditions using X-phosphate MOPS medium with the addition of 2 mM $K_2HPO_4$. Microbial growth was observed in high and low phosphoric conditions due to the growth of bacterial diversities in the liquid fertilizer and slurry. The colonies isolated in the high phosphoric acid medium were uncultured bacterium clone and Acinetobacter sp. were identified by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Uncultured bacterium showed higher growth rate and excellent phosphorus ability then Acinetobacter sp.. In addition to Paenibacillus sp. AEY-1 isolated from pig slurry performed excellent phosphorus utilizing capability.

The Role of Synthetic Amino Acids in Monogastric Animal Production - Review -

  • Han, In K.;Lee,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543-560
    • /
    • 2000
  • The present paper gives a general overview on amino acid nutrition mainly focused on the concept of ideal protein and amino acid requirements in swine and poultry. Also, the nutrition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oles of synthetic amino acids are presented. A special emphasis has been given to the protein sparing effect by the supplementation of synthetic amino acids into diet and to the effect of thi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swine and poultry manure. It is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limited amounts of synthetic amino acids (0.1 to 0.3%) to diets for swine and poultry could spare 2 to 3 percentage units of dietary protein and substantially reduce nutrient excretion, especially nitrogen. Immunocompetency as affected by amino acid nutrition is also introduced and the importance of threonine for the synthesis of immunoproteins in colostrum and milk to maintain piglets' health and intestinal integrity has been emphasized. Finally, some speculation on the future of global amino acids market is presented in conclusion.

Toxoplasma gondii의 조직배양(組織培養)에 관한 연구(硏究) I 돼지의 Buffy Coat Cell Culture에서의 증식소견(增植所見) (Studies on the Toxoplama gondii in Buffy Coat Cell Culture I. Multiplication of Toxoplasma gondii in Swine Origin Buffy Coat Cells)

  • 김종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3
    • /
    • 1973
  • Toxoplasma gondii (Tp), RH strain, was inoculated into cultured buffy coat cells obtained from the swine blood. The main reason for adopting swine lies in the animal's unusual susceptibility to Tp, As for the culture method used in the experiment, those well proved methods practised by Cho, Merchant, Moore and Tarnvik were mainly referred to as a starting point: hence, the author's method has been turned out to be the modified or supplementary form of those methods.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phase of multiplication of Tp in the cytoplas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Better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Toxoplasma gondii were noticeably observed in the swine buffy coat cell, inoculated after three-to-five day cultivation of the cell. 2. In the lapse of the observation period, there appeard Toxoplasma gondii rarely available in the earlier stage, which had been inoculated into the cell after three-to-five day cultivation. In other words, Toxoplasma gondii started to show itself in seven or eight hours after inoculation, most outstandingly noticeable between twenty four hours and forty eight hours. Thereafter the disintegration stage of Toxoplasma gondii was observed.

  • PDF

Salmonellosis in swine: Clinical perspectives

  • Shim, Minkyung;Hong, Sanghyun;Seok, Min-Jae;Kim, Hyeun Bum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320-329
    • /
    • 2016
  • Salmonell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borne zoonotic pathogens, causing acute or chronic digestive diseases such as enteritis. The acute form of enteritis is common in young pigs of 2 - 4 months of age. The main symptoms include high fever ($41-42^{\circ}C$), loss of appetite, and increased mortality within 2 - 4 days of onset of the disease. It is often the cause of increasing mortality, decreasing growth rate and reducing feed efficiency of piglets. In the case of chronic enteritis in pigs, the main symptom is weight loss due to the continuing severe diarrhea.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Choleraesuis are typical pig adapted serotypes, which cause one of four major syndromes: enteric fever, enterocolitis/diarrhea, bacteremia and chronic asymptomatic carriage. These syndromes cause a huge economic burden to swine industry by reducing prod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wine industries should strive to decrease Salmonellosis in pigs in order to reduce economic losses. There are several measures, such as vaccination to prevent salmonellosis, that are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country to country. For the treatment of Salmonella, ongoing antibiotic treatment is needed. However constant doses of antibiotics can be a problem because of antibiotic resistance. Therefore, the focus should be made more on prevention than treatment. In this review, we addressed the basic information about Salmonella, route of infection, clinical symptoms, and prevention of Salmonell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