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hear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영상매체에 나타난 복식의 의미작용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TV드라마 『애인』을 중심으로- (Semiotic Approach on the Signification of Clothing through Visual Mass Media -in a TV Serial Drama′Aein(Sweetheart)′-)

  • 박희순;이수인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4호
    • /
    • pp.62-73
    • /
    • 1998
  • This study focuses on semiotic significance of clothing, showed in visual mass media. This study will look into what general public understand from clothing and what influence clothing on visual mass media exert on fashion. This study employs an example, "Aein(sweetheart)", which was televised from 09/02/1996 till 10/23/1996. Some specialists(master′s degree or doctoral degree holders, or professors) of Clothing and Textile picked and analyzed scenes with specific clothing.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analysis are 1) in what procession the significance operate from the view of mythological symbols by Bart, 2) what influences clothing on TV dramas exert on fashion.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First, clothing′s signifying proces hs two dimensions; linguistic dimension and mythological dimension. Linguistic dimension which is regarded as general and unvariable and is related to the reproductive signifying operation,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the characters including the characters′ social activities, professions, social or economic position. Mythological dimension which is related to the cultural and implicative signifying oper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Thus, it operates to create and deliver images including that atmosphere of he drama and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Second, the TV media which is characterized with the form of centralized transmission and individual reception and the ability tro readily lead the fashion, has huge influence upon the fashion by properly creating mythological or linguistic dimension of the clothing in the drama, arousing the public′s sympathy, and stimulating the public′ immitation or conformity mentality.

  • PDF

웨딩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이미지에 대한 지역간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Sensibility Image Comparison of Wedding Dress Design between two regions)

  • 이은정;이은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23
    • /
    • 2009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differences of sensibility image of wedding dress design for single women of marriageable age in Ulsan and Seou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silhouette, both of two region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ut within the same sensibility image there was a bit of differences. In neckline, reminded sweetheart of pure image, yet those of Ulsan reminded sweetheart of feminine image. Both of two regions reminded V of hard image, boat of feminine image, square of hard image, halter of complex image. But within the same sensibility image there was a bit of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Oval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Subject of Ulsan reminded oval of mature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oval of elegance image. It was reminded ruffle of complex image. Subject of Ulsan reminded china of hard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china of calm image. In material,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but within the same sensibility image there was a bit of differences between two regions. In detail, subject of Ulsan reminded ruffle of messy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ruffle of complex image. Both of two areas reminded ribbon of pure image, button of pure image. Subject of Ulsan reminded beads of feminine image, yet those of Seoul reminded beads of pure image.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s in sensibility image for wedding dress design between Ulsan and Seoul.

조선후기 '님' 담론의 특성과 그 의미 : 사설시조와 잡가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Nim' Texts in the Late Chason Period: Focused on Saseol-sijo and Chap-ga)

  • 신은경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0집
    • /
    • pp.113-139
    • /
    • 2004
  • 사설시조에서는 남성화자가 여성 님에 대한 그리움과 연모의 정을 토로하는 작품들이 급증하고 이 현상은 잡가에서 극대화된다. 이런 텍스트들은 근대 이후의 시에서 '여성예찬' 혹은 '여성의 초점화'와 같은 주제가 활성화되는 내적 토대가 되며 여성에 대한 당대의 시각변화를 반영하고 있어 사설시조가 내포하는 '근대성'을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님'에 대한 애정을 노래한 사설시조는 애정의 성격에 따라 '상사형'과 '육정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사설시조에서 특별히 부각되기 시작하는 유형은 '남성 상사형' 즉 남성화자가 여성 님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유형이다. 남성 상사형 사설시조는, 이전의 한국 시가의 전형적 패턴이 되어 온 '여성상사형' 즉 여성화자가 남성님을 향한 그리움과 연모의 정을 표현하는 유형과는 달리 ‘여성'이 발화와 가치의 중심에 놓인다는 특징을 지닌다. '상사형' 텍스트에서 '님'은 시적 화자에게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가치의 총체이자 발화의 중심이 되는데 '남성 상사형'은 곧, 남성만이 차지하던 '님'의 자리에 여성도 위치하게 되었음을 알려주는 징표가 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여성의 초점화'라는 용어로 포괄하여 사설시조 및 잡가를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폈으며 근대 이후의 시에서 '마돈나' '그대' '당신'으로 지칭되는 여성 님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내적 토대가 된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 PDF

<춘향전>에서의 법(法)과 사랑 (Law and Love in )

  • 김종철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8호
    • /
    • pp.175-200
    • /
    • 2018
  • 조선시대의 법과 관습을 기준으로 볼 때,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춘향과 변학도의 갈등과 대결, 이몽룡의 암행어사 출도와 춘향 구출 등의 사건들은 새로운 의미를 함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은 당시의 법과 규범에 저촉되는 것이었지만 서술자는 이를 문제 삼지 않으며 오히려 지배 질서에 저항하는, 낭만적이고 새로운 사랑으로 그렸다. 그리고 춘향은 이몽룡에게 혼인을 보장한다는 증서(證書)를 요구하는데, 이는 전례 없는 법적 행위이다.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 공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춘향과 변학도의 갈등과 대립이 전개된다. 변학도는 춘향에 대한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청을 요구하다 거부당하자 춘향에게 관장(官長)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혐의와 관장을 능욕한 혐의를 씌워 형추(刑推)를 가하고, 이에 맞서 춘향은 법의 부당한 적용을 항의하고, 수청 요구를 유부녀를 겁간(劫姦)하는 범죄라고 맞선다. 흥미롭게도 이 과정에서 관장이 소속 관청의 기생에게 수청을 요구하는 것은 위법 행위라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지 않으며, 사욕(私慾)을 위해 법을 남용하는 변학도의 행위와 춘향의 새로운 법의식이 더 부각된다. 춘향과 결연한 이몽룡이 암행어사 출도를 하여 변학도를 봉고파직(封庫罷職)하고 춘향을 구출하는 것은 어사의 권한을 사적(私的) 목적으로 이용한 혐의를 피하기 어렵다. 그러나 서술자나 남원 민중과 국왕 등 작중 인물들은 이를 문제 삼지 않는다. 변학도와 이몽룡의 법 집행에 대한 이러한 상이한 평가는 작중 인물들과 독자들의 법감정(法感情)에 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즉 이몽룡과 춘향의 새로운 사랑과 춘향의 인권 의식에 공감하는 관점에서 변학도는 징치되어야 마땅하다고 보는 법감정이 형성되었고, 암행어사 출도는 오히려 이 법감정에 극적 쾌감을 주는 장치로 수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은 당시의 실정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법감정을 동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법감정은 춘향의 인권의식에 대한 공감에 기초해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