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technologies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99초

ICT를 활용한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방안과 사례 (Development of Educational Software using ICT in Environmental Education)

  • 김대희;허희옥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7권1호
    • /
    • pp.43-56
    • /
    • 2004
  •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cultivate democracy citizens suitable for sustainable society. Suitable citizens for sustainable society are fostered person of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sensibility, ecological and synthetic sights of environmental problems, decision mak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etc. by environmental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ively, it is desirable that produces and utilizes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orks and methods that can show efficiently special sides(inter-relation, long-term effects etc.) of environmental problems. ICT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and methods are rais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e of teenagers to environmental education because they are accustomed to the Internet in South Korea. Students can easily conversation with the person of similar interests and environment experts through cyber ICT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ICT teach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enforce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on studying etc.

  • PDF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매크로 트렌드 분석 (An Analysis of Sustainable Macro Trends of Luxury Fashion Brands)

  • 이호재;고은주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1호
    • /
    • pp.16-29
    • /
    • 2022
  •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ingly serious, and sustainability in the fashion industry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Nowadays, numerous brands are engaging in sustainable fashion activities, such as recycling, vegan, fair trade, etc., which have not been done before.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about sustainable fashion activities focusing on luxury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urrent status of luxury brands' sustainable fashion activities based on the macro trend of Todeschini et al(2017)'s thesis. This study selected six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Louis Vuitton, Hermes, Gucci, Prada, Burberry, and Stella McCartn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brand's websites and reports, fashion magazines, and Goog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adjustments are being implemented; first,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Second, transparency on working conditions is provided in various ways. Third, luxury brands' awareness of the sharing economy was not opened. Fourth,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eco-friendly materials and technologies to minimize wastag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f appli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brands and start-up companies, it will help establish directions of sustainable fashion strategies.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 (Implement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Smart City)

  • 반영운;김유미;홍나은;한경민;백종인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45-5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발전, 스마트 도시 관련 이론 및 두 개념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국내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의 개념을 정의한 후 경제, 사회, 환경부문의 목적을 도출하고 부문별 전략을 구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가 추구해야 할 통합적인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 방안은 '4차 산업혁명시대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1)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조성, (2) 스마트 인프라 구축 및 유지관리, (3) 스마트 도시재생 등 3가지 전략 및 전략 부문 별 17개 주요 기술로 구성되었다.

조경설계를 위한 Geodesign 방법론 (A Geodesign Methodology for Landscape Design)

  • 고재용;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77-87
    • /
    • 2015
  • 지구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설계 방법은 자연의 과정과 도시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통각적(apperceptive), 전체론적(holistic) 관점을 요구하고 있다. 통각적, 전체론적 조경 설계방법은 분석-계획-설계의 개별 과정이 하나의 환경에서 수반되어져야 하며, 각각의 과정별로 공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고, 디자인의 결과와 영향에 대한 평가와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1969년 "Design with Nature"에서 Ian Mcharg가 제시하였던 지구 전체를 하나의 생태계(Superorganism)로 보는 비젼이 Geodesign의 기술 환경으로 현실화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GIS의 지속가능한 설계의 지원한계를 극복하고 수행할 수 있는 Geodesign 조경설계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선행연구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국외의 Geodesign 사례와 적용 이론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조경설계를 위한 Geodesign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방법론을 구현하기 위한 Geodesign 기술과 도구들을 살펴보고,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기술적 가능성, 활용 방안 등을 검토하고, 미래의 조경설계에 있어서 본 방법론이 가지는 잠재력과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열전발전 기술의 현황 (Current Status of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Technology)

  • 이재광;김진원;이재영
    • 공업화학
    • /
    • 제27권4호
    • /
    • pp.353-357
    • /
    • 2016
  • 인구 증가와 문명 발전에 따른 에너지 고소비형 사회로 진행됨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에너지원의 고효율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 중 열에너지 고효율화 방안으로 열전발전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열전발전 분야는 나노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폐열회수 분야 등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ZT > 2를 도달하였고, 더 높은 효율을 갖는 소재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온도영역별 열전발전 소재 개발 및 모듈기술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막을 이용한 저농도 Dichloromethane 수용액의 투과증발 (Pervaporation Separation of Trace Dicholoromethane from Water Using Fluorinated Polysiloxaneimide do Membranes)

  • 김정훈;장봉준;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184-190
    • /
    • 2007
  • 본 연구는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 막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일종인 dichloromethane(DCM)을 물로부터 투과증발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연한 사슬을 갖는 diamine-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SIDA)과 경직된 구조를 갖는 불소계 방향족 디아민 단량체(2-(perfluorohexyl)ethyl-3,5-diaminobenzene PFDAB)과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thalic anhydride(6FDA)를 이용하여 일련의 소수성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 막을 제조하여 다이아민의 구성성분에 따른 분리능의 변화를 상온에서 관찰하였다. 공중합체 막 내의 다이아민 성분 중 SIDA의 함량은 0, 25, 50, 75, 100 mol%로 조절되었으며, 원액의 조성은 DCM 0.05 wt%를 사용하였다. 소수성이 높고 자유부피가 큰 SID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수성 용매인 DCM의 수착도 및 수착선택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확산계수 및 확산선택도 또한 증가하여 궁극적으로는 투과플럭스와 투과선택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분권화 시대 대구광역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방안 (Dissemination Plan for the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 최용호;조성덕
    • 환경정책연구
    • /
    • 제3권1호
    • /
    • pp.71-9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wa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 the local community. Fundamentally, the renewable energy is abl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iminish a use of fossil-fuel energy in the local area. And it will lead to promoting regional sustainable energy in the future, as well as making contributions to local economic development. Above all,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ject, including greening of the city and improving water quality, Daegu metropolitan city has launched a series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such as solar city programs and local energy plan. But, some problems still exist, due to the technological, economic and socio-political barriers. Thus, to encourage and disseminate a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we need to examine a present condition on renewable energy and analyze constraint elements to prevent its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to set the feasible strategy to develop and disseminate renewable energy in Daegu city and help it systematically integrat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to environmental economics and city planning. Ultimately, to achieve this purpose, we need to adopt the following policy measures: (1)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for renewable energy; (2) interconnection between local development project and energy industry; (3) promo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4) inducement of and assistance to renewable energy industry; (5) fostering venture companies; (6) specializing Daegu's public office by energy-specific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local entities including local company, consumers, policy-makers and citizen's groups have to pay attention to local energy plan for the regional sustainable energy future. These measures will lead to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city.

  • PDF

Lithium ion car batteries: Present analysis and future predictions

  • Arambarri, James;Hayden, James;Elkurdy, Mostafa;Meyers, Bryan;Abu Hamatteh, Ziad Salem;Abbassi, Bassim;Omar, Waid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699-710
    • /
    • 2019
  • Electric vehicles (EVs) are spreading rapidly and many counties are promoting hybrid and fully EVs through legislation. Therefore, an increasing amount of lithium ion batteries will reach the end of their usable life and will require effective and sustainable end-of-life management plan which include landfill disposal or incineration.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more sustainable methods such as remanufacturing, reuse and recycling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battery compositions and provide insights to the need recycling methods to be developed to handle large amounts of batteries sustainably in the near future. The two most prominent material recovery techniques are hydrometallurgy and pyrometallurgy which are explored and assessed on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and feasibility. Hydrometallurgy is a superior recycling method due to high material recovery and purity, very low emissions, high prevalence of chemical reuse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mpounds. Expanding recycling technologies globally should take the research and technologies pioneered by Umicore to establish a sustainable recycling program for end-of-life EVs batteries. Emerging battery technology of Telsa show the most effective designs for high performance batteries includes the use of silicon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capacity of batteries in the future.

폐플라스틱의 열화학적 재활용 기술 국내 동향 (Domestic Trends in Thermochemical Recycling Technology of Waste Plastics)

  • 노선아;민태진;김진태;한방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6호
    • /
    • pp.79-89
    • /
    • 2023
  • 최근 탄소 중립 이슈와 함께 가장 많은 조명을 받고 있는 환경 문제로는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있다.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기술 중에서도 고온의 조건에서 유기물을 전환하여 원료 및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열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그동안 폐플라스틱에 주로 이용되어 왔던 물질재활용의 한계를 넘어선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열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폐플라스틱을 원래 플라스틱의 원료로 재순환할 수 있는 순환경제의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후속공정 및 최종 생산품의 활용 방법에 따라서 원료(Chemical recycling) 및 에너지(Waste to energy)로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화학적 재활용의 대표적인 세가지 기술인 연소, 가스화, 열분해에 대하여 살펴보고 최근 주요 기술 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적정기술의 맥락과 공학교육에의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xt of Appropriate Technology and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Education)

  • 장하원;박상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36-42
    • /
    • 2013
  •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and historic context of appropriate technology to provide the academic community with better understanding, insights, current trends, and finally,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education. To do that, a rigorous literature survey has been carried out. The result supports that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ncept will meet present tasks of engineering education, which calls on policy development and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