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ded sediment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5초

인간활동으로 인한 부유토양유출의 환경변화 (Environmental Change of Suspended Sediment Discharge by Human Action)

  • 박종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3-160
    • /
    • 1993
  • 산지유역에서 토사공급과 이동에 관한 문제는 동적지형학뿐만 아니 수문학적 순환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토사유출 자연의 개변정도등 지형학적 요인에 크게 지배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자연의 개변정도가 서로 다른 유역에서 유출되는 부류토량을 비교하여 부류토사 유출과정과 메타니즘을 알아 보았다. 강우강도가 유사한 30mm의 비가 내렸을때 채석장이 분포하고 있는 인공개변유역의 부유토사농도는 최고 27,000mg/l인 반면, 백연유역의 부유토사농도는 270mg/l에 불과해 100배 정도의 농도차이가 나타났다. 또 인공개역중에서도 인공개변도에 따라 최대부유토사양도 6,400mg/l에서 27,000mg/l까지 다양하게 관측되었다. 일반적으로 부유토사 공급원은 자연유역의 경우 하상, 하안, 그리고 하도주변하도입이며, 인공개변유역은 사면등의 하도외 지역이다.

  • PDF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영역에서의 평형 및 비평형 부유사이동특성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Wave and Current Co-Existing System)

  • 김규한;;배기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09-216
    • /
    • 1991
  •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영역에서의 부유사이동특성, 특히 농도분포형상 및 확산계수, 기준점농도에 미치는 흐름의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또한, 비정상이류확산방정식에 기반한 고정도수치계산법을 이용하여 평형상태에서의 부유사농도분포 및 지금까지 예측하기 곤란했던 비평형상태의 부유사농도분포의 재현을 시도하여 본 결과, 비교적 만족할만한 재현도를 나타내주었다.

  • PDF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임하댐 부유사 변화탐지 (The Suspended Sediment Change Detection of Imha Dam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 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25-3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Landsat과 SPOT 5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부유사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하댐의 수질을 시-공간적으로 평가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임하댐의 부유사 농도 분포를 동시에 관측하기 위해서 위성관측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중요한 과정은 위성에서 관측된 반사도와 부유사 농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하지만, 부유사 알고리즘은 위성자료에서 계산된 부유사와 동일시점의 현장관측 자료와 비교되어야만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위성관측 반사도로부터 도출된 상관식을 기초로 한 부유사 알고리즘은 부유사 농도 추정을 위한 경험식으로 유도되고 검증되었다.

  • PDF

영산강 부유하중의 시계열적 입도 특성 변화: 승촌보, 죽산보를 중심으로 (Time-series Changes in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 at the Seungchon and the Juksan Weir in the Yeongsan River)

  • 임영신;김진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0
    • /
    • 2019
  • In order to establish appropriate policy to control sediment-associated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sediments in particulate form in the Yeongsan River. Two time-integrated suspended sediment samplers were installed at Seungchon and Juksan weir on the upper and middle Yeongsan River in July 2012. Reservoir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at monthly intervals until October 2014.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a total of 38 sediment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Seasonal trends of suspended sedimentation rates and grain size distributions were examined based on variations in precipitation and discharge fluctuations. Moreover, stream flow characteristics,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sediment, was analyzed using flow duration curve for the period 2003-2019 at Naju gauging station. Sedimentation rates during summer, when heavy rainfall was concentrated due to the monsoonal front and typhoon, were very high, indicat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 concentration and discharge. Particle size analysis of the collected sediment showed that coarse silt and very fine sand-sized sediment dominated most of the Seungchon weir sediment. On the other hand, medium silt-sized sediment dominated the downstream Juksan weir except for a few summer sampl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spended sediment are determined not only due to flow fluctuations, but also with regard to the antecedent rainfall conditions, hillslope-channel connectivity, and the supply of materials from various contributing regions. This information about flow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variations in reservoir sediment can be used for safe management of the weir and discussing the issues on the dismantling of the weirs.

파랑존재시 해저 모래결위의 부유사 농도분포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over Ripples for Waves)

  • 김효섭;김태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81-19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파랑이 존재할 때 모래결위에서의 흐름과 부유사의 거동에 관하여 기술한다. 새로운 수치모형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규칙파랑을 이용한 기존 실험실 실험조건과 가상적불규칙파랑조건에 적용하였다. 흐름장 계산은 SMAC 방법에 근거한 프로그램 SOLA를 Kim 등(1994)이 일부 수정하여 제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흐름계산 부모형은 x-z 면에서의 연속방정식과 Reynolds의 운동방정식을 기본방정식으로 한다. 흐름부모형으로 파랑궤적도, 전단응력, 압력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모형실험결과 중 수직방향궤적도는 관측자료와 잘 일치하였다. 퇴적물이동 부모형은 부유사의 이류확산을 나타내는 식을 기본방정식으로 한다. 수치기법은 분리기법을 이용하며, 모래결 표면으로부터 퇴적물이 연행되어 유체내로 투입된다. 규칙파랑 실험조건에 수치모형을 적용한 결과, 부유사농도의 연직분포가 Deltaflume의 실험자료와 유사하게 재현되었다. 가상적인 불규칙 파랑조건에 모형을 적용한 결과 부유사농도의 높게, 부유사확산 범위가 더 넓게 예측되었다.

  • PDF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 around Intake of Pyongtaek Power Plant, West Coast of Korea)

  • 류상옥;장진호;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4호
    • /
    • pp.247-256
    • /
    • 2002
  •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과 부유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동계에는 상대적으로 개방된 북측해역에서 조립하고 남측해역에서 세립한 반면. 하계에는 조석의 영향에 따라 서측해역에서 조립하고 동측해역에서 세립한 퇴적상의 변화를 보인다. 부유퇴적물의 농도는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았으며, 표층수보다는 중.저층수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조석에 따라서는, 조류의 비대칭성에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이 바다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에 비해 뚜렷하게 많았으며, 낙조에서 창조로 바뀌는 수심이 낮은 창조 초반에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장.단기간에 걸쳐 관측된 부유퇴적물의 순이동률은 3.4$\times$$10^{-3}$ kg.m$^{-2}$ .s$^{-1}$~5.7$\times$$10^{-3}$ kg.m$^{-2}$ .s$^{-1}$범위로 육지쪽 취수구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취수구 주변에서 육지쪽으로 발생되는 인위적인 흐름과 주변의 인공구조물에 의해 조류의 순환양상이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새만금 해역에서 연직 1차원 퇴적물 확산모델 검증 (Examination of Vertical 1D Sediment Resuspension and Diffusion Model Using Field Data Collected in the Saemangeum Area)

  • 이관홍;이희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537-543
    • /
    • 2008
  • The sediment resuspension and diffusion model is an integral part of a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 change model. We examined a vertical one-dimensional sediment resuspension and diffusion model using field data collected at about 10-m depth off the Saemangeun $4^{th}$ dike. The field data include waves, currents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near the bed for about a day in May, 2007.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obtained from the 1D model overestimated the observation about two orders of magnitude with single grain size and multiple grain sizes. The incorporation of the bed armoring effect, which adjusts the amount of suspended sediment with the available bed sediment, improved the agreement between the model and observation within a factor of two.

SED2D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퇴사거동 모의-모의시간간격의 민감도를 중심으로 (Simulation of Sediment Deposition Behavior in a Reservoir using a SED2D model: Focusing on Sensitivity of Simulation Time Step)

  • 김대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95
    • /
    • 2012
  •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he simulation time step on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two-dimensional, vertically averaged sediment transport model SED2D and an analysis of the deposited sediment distribution in suspended sediments of reservoirs according to grain size. The simulation time ste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osited sediment distribution in a reservoir. In particular, if the simulation time step is set to be excessively large, physically invalid results are obtained. Additionally,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imulation time step for SED2D, the selection of a simulation time step that will allow the analysis of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profile at the main points of the simulation domain is necessary. The deposited sediment distribution in a reservoir according to grain size, including suspended sediments of clay, silt, and sand, was successfully simulated. Such information will prove valuable in applic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management and reduction measures of reservoir sediment deposits.

Enhanced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 at upper layer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profile

  • Kim, Hyoseob;Jang, Changhwan;Lhm, Namjae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4호
    • /
    • pp.289-295
    • /
    • 2012
  • Assume fluid eddy viscos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arabolic. Sediment particles diffuse with the given fluid eddy viscosity. However, when the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 profile is computed from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profile, the coefficient shows lager values than the fluid mixing coefficient values. This trend was explained by using two sizes of sediment particles. When fine sediment particles like wash load are added in water column the sediment mixing coefficient looks much larger than the fluid mixing coefficient.

해저사연형을 고려한 해안성의 저질부유특성 (Suspended Sediment Mechanism above Rippled Bed)

  • 김규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40-249
    • /
    • 1993
  • 여러 종류의 다양한 외력조건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유사농도에 대한 종합적 해석을 수행하고, 부유사양 Flux의 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확산계수와 기준점농도에 관한 실용적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부유사농도의 연직확산계수는 사연형상을 고려한 저부마찰속도 및 조도요소를 사용하여 계산되는 과동점성계수에 대해 명확한 비예관계가 성립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흐름이 파에 부가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기준점농도의 저하현상은 파와 흐름의 공존영역에서 형성되는 사연의 비대칭성에 기인됨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