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al of Lactobacilli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시판 요구르트 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의 안정성 및 내산성 연구 (Stability and Gastric Acid Resistance of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in Commercial Yogurts)

  • 이범진;박옥선;고준수;안태석;박승용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9-93
    • /
    • 1999
  • 시판 요구르트 제품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 의 안정성과 내산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요구르트 제품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 의 안정성 및 내산성은 제품들간에 큰 차이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요구르트 제품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 의 생존률은 저장중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10^7$-$10^8$ cfu/ml로의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요구르트 제품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의 생존률은 pH가 낮아짐에 따라 점차로 감소하였다. 인공위액에서 2시간 노출시킨 후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의 생존률은 3개의 제품에서 $10^3$-$10^4$ cfu/ml 이상이었으나 캡슐제품에 함유된 Bifidobacteria 의 생존률은 $10^8$cfu/ml 이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 PDF

시판 드링크 및 액상 요구르트 제품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의 내산성 연구 (Gastric Acid Resistance of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in Commercial Drink and Liquid Yogurts)

  • ;심명재;이정석;이범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1-165
    • /
    • 2000
  • 국내 시판 19종의 드링크 및 18종의 액상 요구르트 제품에 함유된 2종의 유산균인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의 내산성을 인공위액(pH 1.5) 조건에서 비교 고찰되었다. 드링크 및 액상 요구르트 제품중 초기 Lactobacilli의 생존율은 각각 $10^8~10^{10}$ cfu/ml 및 $10^6~10^{10}$cfu/ml 범위 내에 있었다. 한편 드링크 요구르트 중 초기 Bifidobacteria의 생존율 $10^8~10^{10}$cfu/ml 이었다. 요구르트 제품중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a의 생존율은 인공위액에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20분 노출시에 제품들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0^3~10^6$cfu/ml),캡슐을 함유한 요구르트 제품의 경우, 캡슐을 제외한 Mix는 인공위액에 30분에서 120분 노출시에 약$10^5$cfu/ml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타사 제품과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Bifidobacteria를 함유한 캡슐요구르트 제품의 경우 인공위액에 약 120문 노출시켰으때 타사 제품보다 생존율이 약10~737배 이상 증가하였다. 즉 Bifidobacteria의 내산성은 코팅물질을 사용한 캡슐로 봉입하였을 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Screening of Probiotic Activities of Lactobacilli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Tibetan Qula, A Raw Yak Milk Cheese

  • Zhang, Bei;Wang, Yanping;Tan, Zhongfang;Li, Zongwei;Jiao, Zhen;Huang, Qunc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90-1499
    • /
    • 2016
  • In this study, 69 lactobacilli isolated from Tibetan Qula, a raw yak milk cheese, were screened for their potential use as probiotics. The isolates were tested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survive at pH 2.0, pH 3.0, and in the presence of 0.3% bile salts; tolerance of simulated gastric and intestinal juices; antimicrobial activity; sensitivity against 11 specific antibiotics; and their cell surface hydrophobicity. The results show that out of the 69 strains, 29 strains (42%) had survival rates above 90% after 2 h of incubation at pH values of 2.0 or 3.0. Of these 29 strains, 21 strains showed a tolerance for 0.3% bile salt. Incubation of these 21 isolates in simulated gastrointestinal fluid for 3 h revealed survival rates above 90%; the survival rate for 20 of these isolates remained above 90% after 4 h of incubation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The viable counts of bacteria after incubation in simulated gastric fluid for 3 h and simulated intestinal fluid for 4 h were both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e counts at 0 h (p<0.001). Further screening performed on the above 20 isolates indicated that all 20 lactobacilli strains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icrococcus luteus ATCC 4698, Bacillus subtilis ATCC 6633,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and Salmonella enterica ATCC 43971. Moreover, all of the strains were resistant to vancomycin and streptomycin. Of the 20 strains, three were resistant to all 11 elected antibiotics (ciprofloxacin, erythromycin, tetracycline, penicillin G, ampicillin, streptomycin, polymyxin B, vancomycin, chloramphenicol, rifampicin, and gentamicin) in this study, and five were sensitive to more than half of the antibiotics. Additionally, the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seven of the 20 lactobacilli strains was above 70%, including strains Lactobacillus casei 1,133 (92%), Lactobacillus plantarum 1086-1 (82%), Lactobacillus casei 1089 (81%), Lactobacillus casei 1138 (79%), Lactobacillus buchneri 1059 (78%), Lactobacillus plantarum 1141 (75%), and Lactobacillus plantarum 1197 (71%).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seven strains are good probiotic candidates, and that tolerance against bile acid, simulated gastric and intestinal juices, antimicrobial activity, antibiotic resistance, an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could be adopted for preliminary screening of potentially probiotic lactobacilli.

Lactobacillus bulgaricus와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에서 Clostridium thermocellum 유래 endoglucanase의 발현과 발현 유산균의 in vitro 생존 특성 (Expression of Clostridium thermocellum Endoglucanase Gene in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nd in vitro Surviv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ed Lactobacilli)

  • 조재순;강승하;이홍구;이현준;우정희;문양수;양철주;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659-666
    • /
    • 2003
  • 다양한 미생물들로부터 유래한 cellulase 중에서, 특히 장내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에 안정한 Clostridium thermocellum 균주 유래의 endoglucanase를 선별하였다. 그 후 그 유전자의 자체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되는 재조합 Lactobacillus용 발현벡터를 구축하였고, 그 발현벡터를 pSD1이라 명명하였다. 이 발현벡터를 L. bulgaricus와 L. plantarum 균주에 각각 전기천공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시키는데 성공하였으며 그 재조합 균주들로부터 endoglucanase 효소역가를 조사한 결과 각각 배지 상층액에서 0.12, 0.144 U/ml로 조사되었다. 한편 이들 균주들의 생균제로 갖추어야할 특성인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내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들 균주들은 모두 pH3과 같은 산성 조건하에서도 안정하였으며, 내담즙성에 있어서는 특히 L. plantarum 균주의 경우 0.3, 1% 의 oxgall에서도 안정하였다. 또한 항생제 내성을 조사한 결과 두 균주 모두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colistin에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vivo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U 631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KU101 infection

  • Bae, Jin-Seong;Byun, Jung-Ryul;Yoon, Yung-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430-434
    • /
    • 2003
  • In vivo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U 631 and Lactobacillus spp. against typical enteritis causing pathogen Salmonella enteritidis KU 101 have been determined, which showed an increase in survival rate and the decline in viable cell numbers of pathogen in liver and spleen at sacrifice. A signifcant difference in the antagonistic effect against KU 101 were observed, which was species and/or strain dependent of Lactobacillus (p<0.01), the survival rate of the mice in the Salmonella infection by feeding L. helveticus CU 631 has been shown to be 157%, whereas those of L. rhamnosus GG ATCC 53103, L. acidophilus ATCC 4356, L. johnsonii C-4 were 137%, 132%, 119%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lactobacilli non-associated control KU101 fed mice to be 100%. Viable cells of S. enteritidis KU101 in the liver and in the spleen at sacrifice were decreased in Lactobacillus spp. fed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level of total secretory IgA concentration in the intestinal fluid of lactobacilli fed mice than control mice have been observed. In vitro antagonistic activity of Lactobacillus spp. against KU101 have been determined, a prominent antagonistic activity of CU 631 against KU 101 were demonstrated.

Lactobacillus spp의 Salmonella enteritidis KU 101에 대한 보호 효과와 L. casei YIT 9018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염기배열 특성 (Protect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KU101 and Characteristics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Sequence)

  • 배진성;윤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73-482
    • /
    • 2003
  • Lactobacillus spp. 급여에 의하여 Salmonella enteritidis 감염에 의한 치사율의 저하 성향, 시험관내 억제활성, 장액 내의 총 IgA 농도변화와 Lactobacillus casei.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의 sequence를 측정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actobacillus spp. 5균주는 시험관내 Salmo- nella enteritidis 억제활성 측정 결과 모든 시험균주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억제활성의 차이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억제활성의 차이는 L. helveticus CU 631 > L. rhamnosus GG ATCC 53103 > L. johnsonii C-4 > L. acidophilus ATCC 4356 > L. casei YIT 9018 인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p. 급여에 의하여 Salmonella enteritidis challenge에 의한 치사율 저하효과는 Lb. helveticus CU 631은 대조구의 생존률 62%에 대하여 100%로서 가장 높은 치사율 저하효과를 나타내었고, L casei YIT 9018, L johnsonii C-4의 생존률이 70%와 50%를 나타내었다. Lactobacillus spp.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의 sequence를 측정하고 gene bank에 등록된 균주의 sequence와 비교한 결과 homology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리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a Breast-Fed Infant)

  • 홍성문;소병천;윤승원;김철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5-53
    • /
    • 2012
  • 본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째 신생아의 분변으로부터 L. acidophilus를 분리 및 동정하고, 이들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pH 5.5에서 생장하는 lactobacilli 43균주를 분리하고, 그 중 pH 2.5에서 생존율이 약 80% 이상이고, homo 젖산 발효를 하는 lactobacilli 14균주를 1차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lactobacilli 14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당 이용성 및 균체 지방산 조성의 확인을 통해 동정된 L. acidophilus 9균주(NB 201~NB 209)를 시험 균주로 선발하였다. 내산성 실험 결과, 시험 균주를 pH 2.5에서 2시간 배양하였을 때 모든 시험 균주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L. acidophilus NB 204는 pH 2.0에서도 71%의 생존율을 보여 내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즙산 내성은 73%의 생존율을 보인 L. acidophilus NB 206을 제외한 8균주가 bile extract가 1%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생존율이 85% 이상으로 담즙산 내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균주 모두가 단백질 분해 활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yeast extract 0.1%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0.2% 첨가 시 또는 24시간 배양과 비교하여 48시간 배양 시 TCA 가용성 펩타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량이 높았으며, 특히 L. acidophilus NB 204와 NB 209가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또는, yeast extract의 첨가량 및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CA 가용성 펩타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L. acidophilus NB 204와 NB 209가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시험 균주들의 ${\beta}$-galactosidase 활성은 1.97~2.45 unit/m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Kim, Seon-Ja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47-550
    • /
    • 2005
  • Fourteen out of 87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tram Kimchi were found to be resistant against the action of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s. In particular, lactobacilli KM 3, 7, 28, and 37 showed strong resistance and their viable cell counts at the initial stage remained the same even after 3 hours of cultivation in an artificial gastric juice. However, the survival rates of KM 14, 28, and 64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enhanced in artificial bile juice. Based on the paper disc method, it was evident that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vulnific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crispatus KLB46의 생균제제화를 위한 저온 전처리시 증지의 효과 (Effect of Cold Adaptation on the Improved Viability of Lactobacillus crispatus KLB46)

  • 김주현;이석용;장정은;김승철;윤현식;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626-631
    • /
    • 2001
  • 본 연구에서 L. crispatus KLB46을 저온 전처리함으로서 제제화 과정에 받게 되는 얼림과 녹임, 건조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증진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성 증진에 신규 단백질 합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저온 충격 유전자 (csp)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균주를 제제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온 전처리를 이용할 경우 생균력 유지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Lactobacillus rhamnosus GG의 면역조절작용과 장내 정착성 (Immunogenicity and Survival Strategy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in the Human Gut)

  • 타다오 사이토;임광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31-36
    • /
    • 2012
  • Lactobacillus rhamnosus GG(ATCC 53103) is one of the best researched probiotic strains in the world. Studies in children have shown that Lactobacillus rhamnosus GG effectively prevents early atopic disease in patients with high risk. The active molecules associated with the immunostimulatory sequence and anti-allergy effects of L. rhamnosus GG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Unmethylated CpG motifs in bacterial DNA have a mitogenic effect in mouse immune cells, CpG-containing ISS oligodeoxynucleotides are potent Th1 adjuvants, effective in both preventing and reversing Th2-biased immune deviation in allergy models. The genomic DNA of L. rhamnosus GG is a potent inducer of murine B cell and dendritic cell immunoactivation. In L. rhamnosus GG genomic DNA, ID35 shows high activity in ISS assays in both mice and humans. The effects of ID35 result from a unique TTTCGTT motif located at its 5'-end, and its effects are comparable with murine prototype CpG 1826. L. rhamnosus GG is known to secrete proteinaceous pili encoded by the spaCBA gene cluster. The presence of pili structures may be essential for its adhesion to human intestinal mucus, explaining the prolonged duration of intestinal residence of this bacterium, compared to that of non-piliated lactobacill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