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al Period

검색결과 1,697건 처리시간 0.035초

Role of Red Light, Temperature, Stratification and Nitrogen in Breaking Seed Dormancy of Chenopodium album L.

  • Tang, Dong-Sheng;Hamayun, Muhammad;Ko, Young-Moon;Zhang, Yi-Ping;Kang, Sang-Mo;Lee, In-Ju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99-204
    • /
    • 2008
  • Seed dormancy behavior of weed seeds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their survival rates in a given cropping system as it helps the weeds to evade herbicides and other weeding practic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 light, alternating temperature, stratification duration and different doses of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red light on breaking seed dormancy of Chenopodium album L. The application of red light(80 ${\mu}mols^{-1}m^{-2}$) significantly increased seed germination of C. album in all treatments. Germination rates of 12 h incubated seeds were highest under 20 min of red light irradiation than 1 min, 5 min and 10 min treated seeds.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alternating temperatures of $25^{\circ}C\;and\;5^{\circ}C$ for 12 h each with an irradiation of red light(80 ${\mu}mols^{-1}m^{-2}$) for 10 min than other treatments. Stratification period of 15 days significantly stimulated germination percentage of seeds incubated in dark, although 5 days of stratification along with red light application for 10 minutes exhibit similar effects on seeds. Seed germination was also enhanced by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like $NaNO_2,\;KNO_3,\;NH_4Cl\;and\;NH_4NO_3$. We observed that seed germin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25 mM $KNO_3$ and 10 mM $NH_4NO_3$ in dark condition, while $NaNO_2$ and $NH_4Cl$ enhanced seed germination under red light irradiation. It was concluded that red light alone or synergized with alternating temperatures, stratification and nitrogen compounds, especially nitrite and ammonium enhanced seed germination of C. album. Thus, the red light can play a vital role in present and future weed management strategies.

  • PDF

진행성 유방암에서 즉시 유방 및 흉벽 재건술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 양정덕;김학태;정호윤;조병채;최강영;이정훈;이정우;박호용;정진향;채의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627-635
    • /
    • 2011
  • Purpose: Advanced breast cancer traditionally has been perceived as a contraindication to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because of concerns regarding adjuvant treatment delays and the cosmetic effects of radiotherapy to breast reconstruction, so delayed reconstruction is usually preferred in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mastectomy. However, with the improved outcome using multimodality therapy, consisting of perioperative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is now being performed as surgical option for selected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Additionally,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may be needed soft tissue coverage of an extensive skin and soft tussue defect after mastectomy. Current authors have experienced several types of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Methods: From December of 2007 to June of 2009, 14 women performed for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They had been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or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modified radical mastectomy or radical mastectomy. Four different techniques were used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which are pedicled TRAM flap (4 cases), extended LD flap with STSG (3 cases), thoracoabdominal flap (4 cases) and thoracoepigastric flap (3 cases). Results: The mean age was 53 years and mean follow up period was 9 months. Patients' oncologic status ranged stage IIIa to stage IV. Two patients had major complications: partial flap necrosis of TRAM flap and one distal necrosis of thoracoabdominal flap. Three patients with stage IV disease died from metastas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can be considered as surgical op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But we need long term follow up and large prospective studies for recurrence and survival.

고립성 폐결절의 예후에 관여하는 인자 (The Prognostic Factors of Solitary Pulmonary Nodule)

  • 정윤섭;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425-435
    • /
    • 1989
  •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is considered as a round or ovoid lesion with sharp, circumscribed borders, surrounded by normal appearing lung parenchyme on all sides, and found on a simple chest X-ray without any particular symptoms or signs. There is a wide spectrum of pathologic conditions in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s prove to be malignant tumors, either primary or metastatic. Most Benign granulomas and other benign conditions can also be seen as solitary nodules. The resection of solitary malignant nodules results in a surprisingly high 5-year survival rate. On the contrary, most benign nodules do not need to be resected and a period of prolonged observation and nonsurgical management is usually indicated. Therefore, the best approach to the controversial management of solitary pulmonary nodules depends on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malignancy. In this article, clinical records and chest roentgenographies of 60 patients operated on over the past 8 years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There were 15 malignant nodules and 45 benign nodules and the prevalence of malignancy was 25%. The most common pathologic entity was tuberculoma [21 cases]. The mean age was 55.5*9.6 years in the malignant group, 45.8>12.5 years in the benign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malignant ratio in each age group increased with advancing age. The average smoking amount was 35.6*12.9 cigarettes per day in malignant smokers, 20.9* 12.0 cigarettes per day in benign smok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malignant ratio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smoking amount. Comparing the appearance of the nodule on chest films, 6 calcifications and 7 cavitations were found only in benign nodules, not in malignant nodules. Therefore, calcification and cavitation can be considered as preferential findings for benignity. Previous cancer history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deciding the prognosis of the nodule [p< 0.05]. The average diameter on chest X-ray was 3.07*0.82 cm in malignant nodules, 3.25*1.04 cm in benign nodu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author used Bayes theorem to develop a simple method for combining individual clinical or radiological factors of patients with solitary nodules into an overall estimate of the probability that the nodule is malignant. In conclusion, patient age, smoking amount, appearance of nodule on chest film such as calcification and cavitation, and previous cancer history were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malignancy, but size of nodule was not associated with malignancy. Since these prognostic factors have been found retrospectively, prospective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have really prognostic significance.

  • PDF

대동맥판막치환술을 주(主)로 한 판막치환술의 임상성적 (Clinical Study of Isolated and Combined Aortic Valve Replacement)

  • 박동욱;황윤호;최강주;최석철;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62-269
    • /
    • 1999
  • 배경: 약 11년 동안의 대동맥판막치환술에 대한 중.장기임상성적을 알아보기 위해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들을 추적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1997년 5월까지 134례의 대동맥판막치환술이 시행되었다. 남자가 71명, 여자가 6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8.9세였으며 최저 17세에서 최고 70세의 연령범위를 보였다. 결과: 동반된 수술은 승모판치환술(62례), 승모판치환술과 삼첨판성형술(14례), 대동맥륜확대술(16례), Cabrol 술식(10례) 등이었다. 119개의 기계판막과 15개의 조직판막이 치환되었으며 21 mm 이하의 작은 판막이 68례에서 치환되었다. 술후 조기 합병증은 35례에서 발생하였는데 이 중 울혈성심부전 9례, 저심박출증 6례, 술후 출혈 5례, 흉막 삼출액 5례 등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조기사망은 13례(9.7%)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원인은 저심박출증(5례), 울혈성 심부전(2례),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2례) 등이었다. 총 추적기간 누계는 452.7 환자-년이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3.4$\pm$3.1 년/환자였다. 판막과 유관한 장기합병증은 9례에서 발생하였는데 항응혈제관련 출혈 4례, 심내막염 2례, 혈색전증 2례, 판막파괴 1례 등이 있었다. 추적기간 중 심장과 유관한 후기 사망은 5례(1.1%/환자-년)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항응혈제관련 출혈이 2례, 심부전이 2례, 심내막염이 1례였다. 결론: Kaplan-Meier 방법에 의한 11년 보험 통계적 생존률은 91.0$\pm$4.3%였다.

  • PDF

일본납작진딧물(Ceratovacuna japonica)의 야외 생태특성 조사 (A ecological survey of Ceratovacuna japonica (Takahashi)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이영보;윤형주;이경용;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3-128
    • /
    • 2014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간 국립농업과학원 내 포장 및 기타 주요 조사지에서 관찰한 일본납작진딧물의 생태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대 내 일본납작진딧물 접종방법 조사결과, 이대 잎에 핀으로 꼽아 접종하는 것보다 핀으로 털어 접종하는 방법이 더 유효하였으며, 노지, 비닐하우스, 반딧불이 망실보다 유리온실구가 접종율이 좋았다. 2. 일본납작진딧물의 겨울철 생존온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산호수공원과 구리생태공원은 2010년 1월 7일과 1월 15일 $-15^{\circ}C$ 이하로 조사되어 이대 생육한계 온도인 $-10^{\circ}C$ 이하이었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이대 및 이대를 흡즙하는 일본납작진딧 물이 서식할 수 있는 겨울철 최저 온도 조건 지역은 한강 이남인 보라매공원과 수원 곤충생태원 포장으로 조사되었다. 3. 수원 곤충생태원 포장 내 최저 온도 조사에서는 곤충생태원 노지가 1월 17일 $-17.5^{\circ}C$로 조사되어 역시 이대 및 일본납작진딧물이 서식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 따라서 이대를 식재하여 일본납작진딧물을 도입하여 사육하기 위해서는 유리온실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의 다분할조사 방사선 치료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Concomitant Boost Technique for Unresectable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21-225
    • /
    • 1991
  • 25예의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다불할조사 방사선 치료 및 추가 조사 기술로 치료하였다. 전에 수술이나 항암제 치료를 받았거나 늑막삼출 및 심 한 체중 감소(체중의 $10\%$이상)가 있는 환자는 이 연구에서 제외했다. 처음 3주에 걸쳐 27Gy를 15번에 나누어 large field에 조사하였다. 그 후에 large field에 1.8Gy를 준 후 cone down boost field에 1.4Gy를 하루에 두번 주어 총 49.4 Gy를 주었다. 49.4 Gy를 준 후 추가조사 영 역에 하루에 두번 1.8 Gy와 1.4 Gy를 주었다. 총 조사량은 12명의 환자에서는 62.2Gy, 13명의 환자에서는 65.4Gy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였다. 실질적인 생존율은 6, 12, 18개월에 각각 $88\%,\;62\%,\;38\%$였다. 무병 생존율은 $88\%,\;41\%,\;21\%$였다. 집합적 국소 재발율은 9, 12, 15개월에 각각 $36\%,\;43\%,\;59\%$이었다. 24개월간 추적관찰한 결과 급성 합병증이나 후기 합병증의 증가는 없었다. 더 긴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지만,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의 다분할조사 방사선 치료 및 추가 조사기술의 효과를 판정하는데는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prospective 연구를 시행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Wilms씨 종양에서 방사선 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Wilms' Tumor)

  • 김미숙;김일한;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325-331
    • /
    • 1991
  • 1979년부터 1988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Wilms씨 종양환자 28명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40개월이었다. 3년 국소 치유율 및 생존율은 각각 78.1$\%$와 67.4$\%$이었다. 연령에 따른 국소치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Favorable histology 와 Unfavorable histology 유형의 국소치유율은 각각 83.3$\%$와 62.5$\%$이었다. Favorable histology유형의 II기와 III기 종양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83.3\%\;vs100.0\%$). Unfavorable histology유형의 I/II기와 III기 종양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83.3\%:0\%$). 임파절 침윤이 확인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은 불량하였다($50.0\%\;vs\;87.5\%$). 방사선치료를 수술후 10일 이후에 개시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과 수술 후 9일 이내에 개시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 따라서 방사선치료는 국소치유율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였으나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종양에 대하여는 치료방법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Naegleria fowleri 자연살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Naegzeria fowleri infected mice)

  • 이규래;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267-278
    • /
    • 1991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 뇌염을 일으키는 병원성이 강한 자유 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이 영양형을 마우스 비강에 접종시킨 후 12시간, 1일, 2일, 3일 및 5일째에 비장 세포의 자연살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51Cr 방출 경사법과 단세포 독성 검사에 의하여 표적 세포 결합능, 활성 자연살세포, Vmaz 및 재순환능을 측정하였다. 감염 마우스의 사망률은 접종 후 20일까지 76.7%이였으며 사망한 마우스의 평균 생존 기간은 12.87±0.71일이었다. 자연살세포의 독성은 아메바 접종후 12시간째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접종후 1일째 가장 증가하였다. 표적 세로 결합능간에는 경과 기간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환성 자연살세포와 재순환능은 자연살세포의 독성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N. fowleri가 감염되었을 때 자연살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연살세포의 독성이 증가함에 따라 환성 자연살세포 및 재순환능이 증가하였고, 표적 세포 결합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1N0 성문암의 방사선치료관련 예후 인자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reatment-Related Prognostic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after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T1N0 Glottic Cancer)

  • 김수산;김상윤;남순열;최승호;조경자;김종훈;안승도;신성수;송시열;최은경;이상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4-40
    • /
    • 2003
  • Objective: To analyze the treatment-related parameters after the radiotherapy of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9 and August 2000, 54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i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They were all males with age ranged from 31 to 80 years (median 61 years). 1997 AJCC stages were 31 T1a, 23 T1b. Patients were treated with 4-MV X-rays with a parallel-opposed two-field technique. Ten patients received 66.0-68.4Gy at 1.2Gy per fraction twice daily, 21 patients received 64.8-66.6Gy at 1.8Gy per fraction once daily, and 23 patients received 66.0Gy at 2.0Gy per fraction once daily. Follow-up period was 16-119 months (median 56 months). Results: 5-year overall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s for patients with T1 lesions were 87.0% and 88.5%, respectively. 5-year local control with larynx preservation rate was 90.5%. Host and tumor-related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stage,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and tumor bulk proved not to be significant. Only shorter overall treatment time among treatment-related factors had correlation with imporved local control. Conclusion: Comparable high local control rate with organ preservation was achieved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salvage surgery. Shortening of overall treatment time is related to improved local control rate. To determine the optimal fractionation scheme, randomized trial is mandatory.

수온과 광량에 따른 다시마 초기 생활사의 발아와 성장 (Germination and Growth of Laminaria japonica (Phaeophyta) Microscopic Stages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and Photon Irradiances)

  • 강래선;고철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38-443
    • /
    • 1999
  • 여러 가지 수온과 광량 하에서 다시마 포자의 발아, 암배우체의 성장과 성숙, 그리고 어린 포자체의 성장을 조사하였고, 이 결과를 동남해안의 수온과 특성과 결부하여 해석하였다. 수온 $25^{\circ}C$에서 포자들은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5\~20^{\circ}C$에서의 발아율은 $70\~86\%$였다. $5\~20^{\circ}C$에서 포자의 발아율은 광량에 따라 달랐다. $150 {\mu}E{\cdot}m^{-2}{\cdot}s^{-1}$이하에서 배양한 포자의 발아율은 $70 {\mu}E{\cdot}m^{-2}{\cdot}s^{-1}$이하에서 배양한 포자의 발아율에 비해 낮았다. 암배우체는 $20^{\circ}C$에서 영양세포를 가장 많이 형성하였으나, 이 수온에서는 성숙하지 않았다. 수온 $5\~15^{\circ}C$에서는 광량이 증가할수록 영양세포의 생산량이 줄어들었으나, 성숙률은 오히려 높아졌다. 또한 수온이 낮아질수록 성숙률은 높아졌으나, 반면 영양세포의 생산량은 줄어들었다. 어린포자체의 성장에 대한 최적수온은 $10^{\circ}C$였으며, $70 {\mu}E{\cdot}m^{-2}{\cdot}s^{-1}$의 광량은 어린 포자체의 성장하기에 충분한 광량으로 판단되었다. 동남해안의 수온특성을 볼 때, 다시마의 지리적 분포를 벗어난 이 지역에서도 7월 이전에 방출된 포자는 배우체를 거쳐 어린 포자체로 발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 속에서도 자연 개체군이 존속할 수 없는 이유는 여름철 높은 수온에 의한 어린 포자체의 사망으로 요약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