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restoration

검색결과 674건 처리시간 0.028초

반복주조된 치과용 합금의 피착면 처리방법에 따른 접착성 수지와의 접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 STUDY ON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INS TO SUEEXSSIVELY RECAST ALLOYS FOR REISN-BONDED RESTORATIONS)

  • 정금태;양재호;이선형;정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3-76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ins to successively recast Rexillium III and Degudent-U. Recasting was done 4times successively. Specimen $A_1$, were cast by new metal, and $A_2$ by surpus of $A_1$, $A_3$ by surplus of, $A_2$ $A_4$ by surplus of $A_3$, $A_5$ by surplus of $A_4$ plus 50% new metal. The types of surface treatment for resinbonded restoration in this experiment were electrolytic etching by OXY-ETCH(Oxy dental products, Inc., Hillside, New Jersey, U.S,A.), aluminum oxide blasting, anodic oxidation by EZ-OXISOR( Towagiken Co., Kyoto, Japan), electrotinplating by Kura Ace(Kuralay Co., Kyoto, Japan). Three kinds of cementing resin used in this study were Comspan(K.P. Cauil Co, Milford Delaware, U.S.A.), Super Bond C&B(Sun-Medical Co. Ltd., Kyoto,Japan), Panavia EX(Kuralay Co., Ltd., Osaka, Japan). 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1125) and all the specimen were observed with SEM(JEOL, JSM-T2000) and mode of bond failure were record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electrolytic etched group, tensile bond strength was decreassed when recast alloy was used,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Compan and panavia 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2. In remaining group treated by aluminum oxide blasting, EZ-OXIOR, Kura Ace, tensile bond strength were not changed when recast alloy were used,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SuperBond(C&B and Panavia 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3. IN SEM evaluation, electrolytic etched group and electrotinplated group exhibited different image when recast alloy was used, and remaining groups treated by aluminum oxide blasting, EZ-OXISOR exhibited the same. 4. IN observation of bond failure, electrolytic etched group exhibited adhesive failure and remaing groups treated by aluminium oxid blasting, EZ-OXISOR, Kura Ace exhibited adhesive and cohesive failure.

  • PDF

치과용 콤포짓트 레진의 수분 흡수에 따른 압축강도와 굴곡강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 OF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DENTAL COMPOSITE RESIN AFTER WATER STORAGE)

  • 정내정;김정욱;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6-153
    • /
    • 2001
  • 콤포짓트 레진의 다양한 성분은 기계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수복물 주위의 환경 또한 재료의 성질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강 내에서 수복된 콤포짓트 레진은 항상 수분에 노출되어 있고, 콤포짓트 레진의 매트릭스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콤포짓트 레진은 팽창하게 된다. 또한 콤포짓트 레진의 수분 흡수가 표면강도와 마모저항의 저하와 관계된 다고 알려져 있는바 저자는 치과용 콤포짓트 레진의 수분 흡수에 따른 압축강도와 굴곡강도의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는 1군을 Z-100(3M, U.S.A.), 2군을 Spectrum(Dentsply, U.S.A.), 3군을 Clearfil AP-X(Kuraray, Japan), 4군을 Pyramid(Bisco, U.S.A), 5군을 Heliomolar(Vivadent, Germany)로 나누어 7일, 30일, 60일, 120일간 증류수에 넣어 $37^{\circ}C$에서 보관한 후 Instron 6022(Instron, U.K.)를 이용하여 압축강도와 굴곡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7일, 30일, 60일, 120일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압축강도가 감소하였다(p<0.05). 2. 7일, 30일, 60일, 120일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굴곡강도가 감소하였다(p<0.05). 3. Hybrid type인 1, 2, 3군에 비해 matrix 비율이 높은 microfine type인 5군이 강도가 낮았다.

  • PDF

동해안의 석호에서 통발의 분포, 생활사 그리고 생장 특성 (Distribution, Life Histor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Utricularia japonica Makino in the East Coastal Lagoon, Korea)

  • 정연인;홍보람;김영철;이규송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110-123
    • /
    • 2016
  • 천진호에서 희귀식물인 통발의 입지요인, 생활사, 식물 계절 현상, 생장 및 공간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발의 서식지 7곳을 확인하였다. 통발은 결빙기에 월동아로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이듬해 해빙기에 수면 위로 떠올라 발아하였다. 발아한 월동아는 하나의 줄기로 자라다가 분지하였고, 10월부터 줄기가 분해되면서 새로운 월동아를 형성하였다. 개화기는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지속되었다. 개화율은 6.3%로 상당히 낮았다. 통발은 4월부터 6월까지 빠른 생장률을 보였고, 8월에는 최대 생육기를 보였으며, 10월에는 최대로 생장하였다. 통발은 개방된 수역의 수심 50 cm~150 cm에서 큰 개체들이 밀생하였다. 천진호의 통발은 수온, 빛 및 양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식물에 의해 부착과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환경과 다른 생물요인들이 통발 개체군의 시공간적 분포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간섭이 큰 천진호에서 통발 개체군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천진호의 환경을 통발이 요구하는 최적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천진호의 통발 개체군을 보전하고 관리하는 데 그리고 희귀식물인 통발 개체군의 복원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2
  •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

새만금 간척지일대 염습지 생태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Halophytes -)

  • 김창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3-471
    • /
    • 2009
  • A study on vegetation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s and the surrounding regions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efforts to determine the expected ecological changes in the salt marshes, to restore their vegetation, to explore the restoring force of halophyte, to examine the community mechanism and, ultimately, to rehabilitate marshy land vegetation along the lakeside, coastal dune and salt marshes of the Saemangeum Project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ve species such a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ster tripolium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estuary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halophyte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o find out the strategies of plants for survival and the cause of forming community structure, a research was made as for appearance ratio of biomass, root lengths and germination. With regard to biomasses of halophyte, the biomass of Suaeda japonica increases rapidly, while Salicornia herbacea adopts a strategy of unstable growth pattern by which the biomass increases slowly in parallel with its slow speed of growth since initial appearance of young sapling. In contrast, Suaeda asparagoides,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choose to adapt themselves to environment promptly by being transformed into life form of annual or biennial plant, a pattern that is presumed to be favorable and stable for survival in the later stage of growth. In short, there is a sharp distinction among the 5 species: i.e. Suaeda japonica that begins to grow fast in the length of surface and underground section but slows down from the mid-stage on; Salicornia herbacea that grows slowly in the beginning step but starts to step up from the middle onward;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growing slowly in the initial stage but fast later on;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turns from the constant growth in the beginning to rapid growth in the later period.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into status of growth and influencing factors of Suaeda japonica in the sowing field that is most widely prevalent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as a sort of ecological pioneer in the salt marshes showed that the average size of grass lands, density and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 in the natural sowing field as well as in the plowing field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as well as physico-chemical features of the soil as the season progresses from June to October of a year.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금관 및 국소의치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Monolithic surveyed restoration and electronic surveying in RPD metal framework fabrication: A case report)

  • 최영하;김형섭;권긍록;배아란;노관태;백장현;홍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43-249
    • /
    • 2018
  •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들을 치료를 시작할 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과 수복을 위한 공간의 적절성으로 분류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의 여성으로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어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나고 잔존 치아의 마모 증가가 동반되어 보철을 위한 약간의 악간 공간의 상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부여하고 안정화기간을 거쳐 안정된 교합접촉을 제공한다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과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광중합 방법 및 레진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유치 수복물의 미세누출 (THE EFFECT OF LIGHT CURING METHODS AND RESIN ADHESIVES ON THE MICROLEAKAGE OF RESTORATIONS IN PRIMARY TEETH)

  • 정영남;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2-599
    • /
    • 2002
  •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다양한 레진 접착제는 최근 소아의 유치 수복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치의 복합레진 수복 시 중합방법과 접착제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탈락기에 있는 건전한 유전치 150개의 순면에 직경 1.6mm, 깊이 1.6mm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의 충전재로써 1종의 복합레진, 1종의 콤포머, 4종의 레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중합 광원은 3종을 사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각 시편은 Sof-Lex 폴리싱 디스크로 표면을 연마한 후 $5^{\circ}C$$55^{\circ}C$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하고 2% methylene blue 수용액에 넣어 색소를 침투시킨 후 저속 diamond cutter($Isomet^{TM}$, Buehler, USA)를 이용하여 순면을 근원심으로 절단하였다. 각 재료별 미세누출의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충전재 및 광중합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콤포머를 사용한 5군에서 충전방법과 관계없이 가장 작았고, Clearfil SE bond를 Optilux 501로 중합한 군에서 가장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2. 충전재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콤포머를 충전한 5군에서 $1{\sim}4$군의 복합레진 충전군에 비해 더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3. 광중합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Optilux 501을 사용한 군에서 가장 작았고, Flipo를 사용한 군에서 가장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 PDF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의 기계적 강도에 관한 연구 (Mechanical strength of Zirconia Abutment in Implant Restoration)

  • 신성애;김창섭;조욱;정창모;전영찬;윤지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49-360
    • /
    • 2009
  • 목적: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서 심미적 요구도가 증진되면서 최근에는 고강도, 고인성을 지니면서 생체적합성 우수하고 치아의 색과 조화로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몇몇 임상보고를 통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우수한 주위조직 반응과 단기간의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 되었으나, 장기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계적 강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경, 각도, 연결방식이 상이한 임플란트 고정체 -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단순 파절강도와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한계 측정을 통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기계적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ISO규정에 따라 지르코니아 지대주-고정체를 변연골이 3mm 흡수된 조건에서 $30^{\circ}$경사하중으로 압축굽힘강도를 측정하고, 그 값의 80%를 최대하중으로 10%를 최소하중으로 하여 10Hz의 sine형 반복하중을 $5{\times}10^6$ 주기를 초과하는 조건의 내구성한계를 측정하였다. 지르코니아 지대주로는 regular diameter를 가지면서 external butt joint의 straight 지대주와 $17^{\circ}$ angled 지대주, 그리고 narrow diameter 이면서 external butt joint의 straight 지대주와 internal conical joint의 straight 지대주를 사용하였다. 압축굽힘강도 값을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으로 검증하였으며, 피로파절면을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했다. 결과: 압축굽힘강도는 최소 927N 이상으로, 직경의 차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5), 내구성 한계는 503N에서 868N까지의 번위를 보였다. 결론: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구강내 기능하중을 견딜수 있는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담금질 조건에 따른 방짜유기의 미세조직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Microstructures of Traditional Forged High Tin Bronzes by Quenching)

  • 이재성;전익환;박장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1-43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청동유물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미세조직의 출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재 전통방식으로 방짜유기를 제작하는 한국민속촌 유기공방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작방법과 담금질 조건을 조사하였으며, 여기에서 제작된 방짜유기의 미세조직과 조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공방에서와 유사한 조건으로 재현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전통 유기공방에서 수행하는 담금질 조건을 자세히 기술함과 동시에 작업 조건에서 나타나는 변동성을 미세조직의 관찰 결과와 함께 제시하였다. 유기공방의 화덕 온도는 $750{\sim}850^{\circ}C$로 측정되었으며 다음 단계의 작업을 위하여 화덕에서 막 꺼낸 청동소재의 표면온도는 대략 $650{\sim}685^{\circ}C$로 측정되었다. 이 같은 큰 폭의 온도 편차는 담금질 과정을 거쳐 생산된 방짜유기에 다양한 미세조직을 초래하였다. 특히 외부기온에 따른 온도편차가 큰 겨울과 비교적 영향이 적은 봄에 각각 제작된 방짜유기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 ${\alpha}$상을 중심으로 그 배경에서 마르텐사이트(${\beta}$)상, ${\gamma}$상, ${\alpha}+{\delta}$ 공석조직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다양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특히 실험실에서 재현한 시험편에서도 짧은 시간동안 가열할 경우 ${\alpha}+{\gamma}$상 또는 ${\alpha}+({\beta})+{\gamma}$상 등 다양한 미세조직이 형성되었다. 이처럼 미세조직에서 관찰되는 다양성은 유물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실제 유기공방에서 담금질시 적용하는 열처리 조건이 온도측정으로부터 예측되는 작업조건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경골 천정(pilon) 골절의 최신 치료 (Current Treatment of Tibial Pilon Fractures)

  • 이준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57
    • /
    • 2011
  • Pilon fractures involving distal tibia remain one of the most difficult therapeutic challenges that confront the orthopedic surgeons because of associated soft tissue injury is common. To introduce and describe the diagnosis, current treatment,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the pilon fractures. In initial assessment, the correct evaluation of the fracture type through radiographic checkup and examination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s needed to decide appropriate treatment planning of pilon fractures. Even though Ruedi and Allgower reported 74% good and excellent results with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recently the second staged treatment of pilon fractures is preferred to orthopedic traumatologist because of the soft tissue problem is common after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components of the first stage are focused primarily on stabilization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f fibula is fractured, fibula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s integral part of initial management for reducing the majority of tibial deformities. Ankle-spanning temporary external fixator is used to restore limb alignment and displaced intraarticular fragments through ligamentotaxis and distraction. And the second stage, definitiv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tibial component, is undertaken when the soft tissue injury has resolved and no infection sign is seen on pin site of external fixator. The goals of definitive internal fixation should include absolute stability and interfragmentary compression of reduced articular segments, stable fixation of the articular segment to the tibial diaphysis, and restoration of coronal, transverse, and sagittal plane alignments. The location, rigidity, and kinds of the implants are based on each individual fractures. The conventional plate fixation has more advantages in anatomical reduction of intraarticular fractures than locking compression plate. But it has more complications as infection, delayed union and nonunion.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provides greater stability and lesser wound problem than conventional implants. But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remains poorly defined for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Active, active assisted, passiv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is recommended when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is started. Splinting with the foot in neutral is continued until suture is removed at the 2~3 weeks and weight bearing is delayed for approximately 12 weeks. The recognition of the soft tissue injury has evolv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management of pilon fractures. At this point, the second staged treatment of pilon fractures is good treatment option because of it is designed to promote recovery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n first stage operation and get a good result in definitiv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articular surface and axial alignment in second stag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