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finishing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34초

슬러리 순환방식을 이용한 파이프 내면의 자기연마특성 (The Magnetic Finishing Characteristics of Pipe Inside Polished by Slurry Circulation System)

  • 박원규;최환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4
    • /
    • 2004
  • An internal finishing process by the application of magnetic abrasive machining has been developed as a new technology to obtain a fine inner surface of non-ferromagnetic pipe. In this paper, an abrasive slurry circulation system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fine inner surface of pipe was available by the use of these machining methods. The basic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pin-type magnetic tools were analyzed experimentally.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in-type magnetic tools have more machining efficiency than Iron particles as magnetic tools.

  • PDF

Finishing 용 전자빔 집속 장치의 성능 실험 (Performance Experiment of Electron Beam Convergence Instrument)

  • 임선종
    •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8
    • /
    • 2015
  • Finishing process includes deburring, polishing and edge radiusing. It improves the surface profile of specimen and eliminates the alien substance on surface. Deburring is the elimination process for debris of edges. Polishing lubricates surfaces by rubbing or chemical treatment. There are two types for electron finishing. The one is using pulse beam. The other is using the convergent and scanning electron beam. Pulse type device appropriates the large area process. But it does not control the beam dosage. Scanning type device has advantages for dosage control and edge deburring. We design the convergence and scan type. It has magnetic lenses for convergence and scan device for scanning beam. Magnetic lenses consist of convergent and objective lens. The lenses are designed by the specification(beam size and working distance).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convergence performance by pattern process. Also, we analysis the results and important factors for process. The important factors for process are beam size, pressure, stage speed and vacuum.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into systematizing pattern shape and the factors.

아말감의 표면처리에 따른 복합레진과의 전단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COMPOSITE RESIN TO AMALGAM ACCORDING TO AMALGAM SURFACE TREATMENT METHODS)

  • 박문희;조영곤;황호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1호
    • /
    • pp.114-121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n treatment methods to shear bond strength between composite resin and amalgam when the alloy surface was finished with a diamond wheel or an sandblaster. Forty round acrylic cylinders were fabricated with a diameter of 33mm and a height of 20mm to fit into the device used during shear bond strength testing. A round undercut cavity (diameter, 8mm: depth, 2.5mm) was prepared in the center of the acrylic surface and the cavity was restored using a amalgam. A total of 40 acrylic cylinders with amalgam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 The group treatment were as follows : Group 1 : acid etching after finishing the amalgam with diamond wheel Group 2 : no acid etching after finishing the amalgam with diamond wheel Group 3 : acid etching after sandblasting the amalgam Group 4 : no acid etching after sandblasting the amalgam The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bonded to amalgam of each specimen was test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0.5mm/min and 500kg in full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After diamond finishing, the non-acid etching group had highest shear bond strength with 7.29kg/$cm^2$ and after sandblasting, the acidetching group had lowest shear bond strength with 4.49kg/$cm^2$. 2. In both diamond finishing and sandblasting group, acid etching of the roughened amalgam surface de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3. The group treated with a diamond wheel had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ose treated with an sandblaster but there was not significanat.

  • PDF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FINISHING METHODS)

  • 민정범;조공철;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38-150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복합레진 연마 후 레진전색제의 적용이 복합레진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측정과 FE-SEM 관찰을 통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미세입자형과 nanofill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times}3{\times}2mm$의 시편을 각각 100개씩 제작하였고, 연마방법과 레진전색제의 적용 유무에 따라 20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Micronew를 사용한 군은 M군, Filtek Supreme을 사용한 군은 5군으로 분류한 후, 연마방법에 따라 M1 과 S1군 은 polyester strip만을 사용한 군, M2군와 S2군은 Sof-Lex disc를 사용한 군, M3군과 S3군은 Enhance disc와 polishing paste를 사용한 군, M4군과 S4군은 Astropol disc를 사용한 군, M5군과 S5군은 carbide finishing bur를 사용한 군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또한 연마 후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군은 연마방법에 따른 각 군에 B를 추가하여 M1B군-M5B군 및 S1B군-S5B군으로 분류하였다. 제작된 모든 시편은 표면조도의 측정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기 전에 실온의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 표면조도 값을 산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군에서 대표적인 시편 1개를 선택하여 FE-SEM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값은 polyester strip에 의해 형성된 모든 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S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 finishing bur로 연마한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의 표면은 polyester strip을 사용한 M1군과 S1군이 가장 평활한 표면을 나타냈고, finishing bur를 사용한 M5군과 S5군은 필러의 탈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기포와 함께 울퉁불퉁한 표면을 보였다. 2.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표면조도는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Micronew가 Filtek Supreme보다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p<0.05), 3.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란계 프라이머를 활용한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 평가 (Evaluation of Adhesive Performance of Surface Finishing Material with Primer Based on Silane)

  • 정권영;윤다애;장석준;길배수;윤현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9-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머 도포 여 부 및 압축강도수준 그리고 바닥 마감재 시공재령에 따른 주차장용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현행 KS 기준에서는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을 모르타르 공시체를 활용하여 평가하도록 제안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바닥 마감재는 콘크리트 상부면에 시공되기 때문에 바탕면 변화에 따른 부착성능을 추가변수로 계획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모르타르는 현행기준에서 제안하고 있는 배합표에 준하여 제작하였으며,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18, 30, 50 MPa로 계획하였다. 프라이머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재령 28일 변수에 따라 바닥 마감재와 함께 도포되었으며, KS 기준에 준하여 바닥 마감재 재령 일에 따라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변수에 따른 부착성능 평가결과 바닥 마감재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바닥 마감재 부착성능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괴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콘크리트 쪼갬 인장강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프라이머 도포에 따른 부착성능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머의 사용은 부착강도에 문제없이 콘크리트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바탕면의 부착강도 특성을 비교한 결과 바닥재의 부착강도는 구성재료 보다 압축강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KS 기준의 모르타르 바탕면 실험체의 부착강도를 근거로 실제현장의 부착강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udy on Method of Expressing Surface of Furniture and Wooden Accessories during Modeling Process using Graphic Program - Focused on 3ds MAX and V-ray -

  • Lee, Jae-Young;Choi, Ki;Cho, Won-Hee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2-238
    • /
    • 2009
  • In designing furniture and interior accessories, a computer graphic program is normally used over the whole process of manufacturing furniture from idea stage to actual manufacturing stage. It especiall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odeling process which comes before actual manufacturing stage. in such modeling process, the most important part is expression of quality of material used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Expression of material quality of wood and surface finishing just like an actual picture enable the designers to analogize the feeling of furniture and interior accessories more exactly over the whole process of actual manufacturing and such a result has positive effect on development field of furniture and accesso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