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concentration

검색결과 6,117건 처리시간 0.033초

광양만 및 주변 하천에서의 노닐페놀 화합물 분포 (Distribution of Nonylphenol in Gwangyang Bay and the Surrounding Streams)

  • 이동호;김민선;심원준;임운혁;홍상희;오재룡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71-77
    • /
    • 2004
  • 광양만 및 주변 하천에 존재하는 페놀류 화합물과 sterol 화합물의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lkylphenols (8종), chlorophenols (2종), bisphenol A (1종), coprostanols (2종) 및 cholesterol (1종) 등 화합물들을 분석대상물질로 선정하여 표층수와 표층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대상물질 중에서 nonylphenol과 dihydrocholesterol 화합물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일부 하천퇴적물 시료에서 t-octylphenol, bisphenol A, coprostanols이 검출되었다. 분석대상물질은 하천시료에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으며, 또한 광양만 내해에서 외해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표층해수와 표층해양퇴적 물에서의 nonylphenol농도는 각각 4.0∼74.0 ng $l^{-1}$ 및 3.1∼74.3 ng $g^{-1}$ dry wt.이었다. 해양표층퇴적물에 의한 nonylphenol 평균 농축배수(Log $K_{oc}$ )는 4.8이었다. 하천표층퇴적물에서의 nonylphenol농도는 4.6∼808.6 ng $g^{-1}$ dry wt.이었으며 dihydrocholesterol 농도는 78.4∼1133.6 ng $g^{-1}$ dry wt.이었다 공단지 역을 경유하는 하천시료에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nonylphenol이 검출되었으며 주민 거주지역을 경유하는 하천퇴적물에서는 dihydrocholesterol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노출농도를 보이였다. 섬진강 표층수에서의 nonylphenol 농도는 염분도의 증가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논에서의 오염부하 예측을 위한 범용모형 개발 (Water Quality Model Development for Loading Estimates from Paddy Field)

  • 전지홍;황하선;윤광식;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344-355
    • /
    • 2003
  • 논은 우리나라 총 면적의 12%를 차지하며, 인간활동이 이루어지는 토지이용 중 가장 많은 면적으로 비점오염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논은 시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논표면수의 수질변화 폭이 매우 커 지표배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따라 논에서의 부하량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논에서의 오염부하량산정과 최적관리기법개발에 있어 획일적인 원단위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유역모형의 대부분은 논을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포함하더라도 논에서의 충분한 기작을 모의할 수 없어 우리나라의 적용에 있어서 제한점을 가지므로 앞으로의 합리적인 오염총량제 적용을 위해서는 논모형의 개발이 절실하다. 그러나 논은 담수라는 기능을 가지므로 유역모형과 같은 물리적인 반응보다는 수질모형과 같은 생화학적 반응이 우세하리라 판단된다. 논을 하나의 얕은 호소로 간주하여 호소모형의 적용이 가능하나 이를 위한 수많은 인자 결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논에서의 영농활동은 거의 유사한 시기에 해마다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동일한 양과 형태의 시비가 이루어지며 완전낙수에 의해 다음해의 수질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므로. 오히려 간단한 반응공식으로도 충분한 해석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영농활동이 이루어지는 논에서의 시비와 바닥에서의 용출에 의한 영향을 dirac deltal function과 continuous source function을 이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여 지하수관개지역과 지표수관개지역을 대상으로 보정 및 검증결과 높은 적용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방향은 논에서의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여러 지역의 적응을 통한 논 모형의충분한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논에서의 오염부하량 산정과 BMPs개발 뿐 아니라, 기존의 유역모형에 연결함으로써 우리나라 오염총량제의 합리적인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니켈 표면처리공정에서 전류밀도 효과분석 (Effect of Current Density on Nickel Surface Treatment Process)

  • 김용운;정구형;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19권2호
    • /
    • pp.228-235
    • /
    • 2008
  • 니켈 표면처리 공정에서 전류밀도에 따라 니켈의 전착두께가 증가되었으며, 증가폭은 $6{\sim}10A/dm^2$에서 저전류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류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Hull-cell 분석을 수행 하였다. 최적 공정온도는 $60^{\circ}C$, pH는 3.5~4.0이었고, 전해용액 중 니켈이온의 농도는 300 g/L 이상에서 농도에 따라 전착두께가 증가되었다. 전류밀도에 따라 용액 중 니켈이온 감소 속도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음극표면에서 니켈 전착 량에 따른 전착두께의 증가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착속도가 빠를 경우 니켈 전착 층의 치밀성은 저하되며, 표면의 상태는 불규칙하게 변화된다. 니켈이온의 전착과정이 불규칙하게 일어나 조직의 pin hole 등을 야기해 표면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택니켈 전착 후 25 h 내식을 유지한 결과, 낮은 전류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내식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모사 결과, 전류밀도가 높아질수록 확산 층의 두께는 증가하며, 음극표면의 농도는 낮아진다. 농도분포는 낮은 전류밀도에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일정한 전착두께를 예측할 수 있다. 생산성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공정시간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전류밀도와 전착두께를 변화시키면서 공정변수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의 표면분석 결과 조직특성이나 내식성 등의 표면 물성이 낮은 전류밀도를 사용할 경우에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황산금나트륨염을 이용한 Au 범프용 금도금층의 표면형상 및 우선적 결정 성장방향 (Surface Morphology and Preferred Orientation of Gold Bump Layer formed by using $Na_3[Au(SO_3)_2]$)

  • 김인수;양성훈;박종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673-681
    • /
    • 1995
  • 아황산금나트륨염을 이용하여 형성된 약 20$\mu\textrm{m}$ 금도금층의 표면형상 및 우선적 결정 성장 방향에 대하여 전류밀도, 온도, 농도, pH, 교만속도, 금이온농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표면형상은 cathode 근처의 금이온농도가 증가하는 조건[전류밀도(13.0mA/$\textrm{cm}^2$2$\longrightarrow$4.6mA/$\textrm{cm}^2$)], 온도 (3$0^{\circ}C$$\longrightarrow$6$0^{\circ}C$), pH(12.0$\longrightarrow$9.0), 교반효과(Orpm$\longrightarrow$3200rpm), 금이온농도(10g /1$\longrightarrow$l4g/1)으로 갈수록 porous한 조직에서 미세한 조직으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X선분석에 의하면 금도금층의 결정성장의 주방향은 표면형상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표면형상이 미세화되는 조건인 전류밀도(13.0$\longrightarrow$14.6mA/$\textrm{cm}^2$), pH(12.0$\longrightarrow$9.0)는 감소 할수록, 온도(3$0^{\circ}C$$\longrightarrow$6$0^{\circ}C$), 교반속도(0rPm$\longrightarrow$3200rpm), 금이온농도(10g/1$\longrightarrow$g/1)]는 증가 할수록 결정성장의 주회절피크는 (111)에서 (220)으로 그 성장면이 변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 PDF

방조제 체절이후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수질변화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in the Saemangeum Salt-Water Lake after the Sea-dike Construction)

  • 정용훈;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3
    • /
    • 2015
  •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조성된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수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총 40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호 내 표층수의 염분은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 감소하여 장기간 감소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 표층수의 SPM은 감소하였으나, 이후 호 내 수위 변동과 관련하여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층수의 Chl-a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부터 증가하여 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표층수의 DIN 항목들은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NH_4-N$은 증가(90%)하였다. 표층수의 DIP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는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264%)하였다. $NH_4-N$과 DIP의 증가는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유기물의 축적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층수의 $NO_3-N$은 방조제 끝물막이 이후 변화가 없는 반면, DISi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부터 증가하여 계속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담수 기원 이외의 다른 유입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새만금 방조제 끝물막이 이후 호 내의 수질은 공간적으로 강하구와 나머지 지역들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성층은 방조제 쪽보다 강하구 쪽에서 더 강하게 관측되었다. 특히 하계에 강하구 쪽에서 강한 염분 성층과 함께 표층에서 약 1 m 이하로 저산소 상태가 관측되었다. 저산소층의 형성은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및 중금속 등의 용출을 유발시킴으로서 수질악화를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대기경계층과 연안순환에 의한 부유입자의 재순환 (Recycling of Suspended Particulates by Atmospheric Boundary Depth and Coastal Circulation)

  • 최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8호
    • /
    • pp.721-731
    • /
    • 2004
  • The dispersion of suspended particulates in the coastal complex terrain of mountain-inland basin (city)-sea, considering their recycling was investigated using three-dimensional non-hydrostatic numerical model and lagrangian particle model (or random walk model). Convective boundary layer under synoptic scale westerly wind is developed with a thickness of about I km over the ground in the west of the mountain, while a thickness of thermal internal boundary layer (TIBL) is only confined to less than 200m along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below an easterly sea breeze circulation. At the mid of the eastern slop of the mountain, westerly wind confronts easterly sea breeze, which goes to the height of 1700 m above sea level and is finally eastward return flow toward the sea. At this time, particulates floated from the ground surface of the city to the top of TIBL go along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in the passage of sea breeze, being away the TIBL and reach near the top of the mountain. Then those particulates disperse eastward below the height of sea-breeze circulation and widely spread out over the coastal sea. Total suspended particulate concentration near the ground surface of the city is very low. On the other hand, nighttime radiative cooling produces a shallow nocturnal surface inversion layer (NSIL) of 200 m thickness over the inland surface, but relatively thin thickness less than 100m is found near the mountain surface. As synoptic scale westerly wind should be intensified under the association of mountain wind along the eastern slope of mountain to inland plain and further combine with land-breeze from inland plain toward sea, resulting in strong wind as internal gravity waves with a hydraulic jump motion bounding up to about 1km upper level in the atmosphere in the west of the city and becoming a eastward return flow. Simultaneously, wind near the eastern coastal side of the city was moderate. Since the downward strong wind penetrated into the city, the particulate matters floated near the top of the mountain in the day also moved down along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reaching the. downtown and merging in the ground surface inside the NSIL with a maximum ground level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SP) at 0300 LST. Some of them were bounded up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1km upper level and the others were forward to the coastal sea surface, showing their dispersions from the coastal NSIL toward the propagation area of internal gravity waves. On the next day at 0600 LST and 0900 LST, the dispersed particulates into the coastal sea could return to the coastal inland area under the influence of sea breeze and the recycled particulates combine with emitted ones from the ground surface, resulting in relatively high TSP concentration. Later, they float again up to the thermal internal boundary layer, following sea breeze circulation.

Statistical Approach for Derivation of Quantitative Acceptance Criteria for Radioactive Wastes to Near Surface Disposal Facility

  • Park Jin Beak;Park Joo Wan;Lee Eun Yong;Kim Chang L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5호
    • /
    • pp.387-398
    • /
    • 2003
  • For reference human intrusion scenarios constructed in previous study, 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to derive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 limits for the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s conducted. Statistical approach by the Latin Hypercube Sampling method is introduced and new assumptions about the disposal facility system are examined and discussed. In our previous study of deterministic approach, the post construction scenarios appeared as most limiting scenario to derive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 limits. Whereas, in this statistical approach, the post drilling and the post construction scenarios are mutually competing for the scenario selection according to which radionuclides are more important in safety assessment context. Introduction of new assumption shows that the post drilling scenario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limiting scenario instead of the post-construction scenario. When we compare the concentration limits between the previous and this study, concentrations of radionuclides such as Nb-94, Cs-137 and alpha-emitting radionuclides show elevated values than the case of the previous study. Remaining radionuclides such as Sr-90, Tc-99 I-129, Ni-59 and Ni-63 show lower values than the case of the previous study.

참외젤리 제조에 따른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f Organoleptic and Physical Properties on Preparation of Oriental Melon Jelly)

  • 이기동;윤성란;이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73-1380
    • /
    • 2004
  • To prepare oriental melon jelly having highly favorite, oranoleptic and physical properties of jelly with special to the content of glucomannan, oriental melon concentration juice and vinegar was monitored by four-dimensional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Mouth-feel showed maximum sensory score in 0.09% glucomannan, 3.17% oriental melon concentration juice and 1.25% oriental melon vinegar. Organoleptic taste showed maximum sensory score in 0.12% glucomannan, 3.64% oriental melon concentration juice and 0.91% oriental melon vinegar. Overall palatability showed also maximum sensory score in 0.10% glucomannan, 3.07% oriental melon concentration juice and 1.34% oriental melon vinegar. The sensory socore of overall palatability was more than 7.0 in the texture ranges of 0.20~0.31 cm/g (softness) and 8.0~12.5 gㆍcm (jelly strength).

移動汚染源에 대한 大氣擴散模型의 感應度 分析에 관한 硏究 (HIWAY2, PAL, CALINE3 模型을 對象으로)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Line Source Air Quality Models)

  • 김선태;김병태;김정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0
    • /
    • 1989
  • The sensitivity analysis is a method to quantify to what extent the output of a model changes with the values of input parameters. This will lead to increase model accuracy through measurement validation. Three line source air quality models, HIWAY 2, PAL, and CALINE 3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input parameters analysed included wind speed, wind direction, stability, emission rate, mixing height, receptor distance, initial dispersion coefficient, surface roughness, and averaging time. It turned out that PAL model generally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an other two models, and that between CALINE 3 and HIWAY 2, CALINE 3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an HIWAY 2 model near the line sources, but beyond a certain downwind distances HIWAY 2 model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e modesl were very sensitive to wind speed especially in the range of 0 $\sim$ 1 m/s and to wind direction near the parallel wind to streets. In case of emission rate, the output concentration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se input parameters. And the sensitivity of the input parameters such as stability, mixing height, initial dispersion coefficient, surface roughness, and averaging time were not very significant.

  • PDF

복잡지형에서의 지표면 거칠기에 따른 오존 농도 수치모의 (Air Quality Modeling of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oughness Length on the Complex Terrain)

  • 최현정;이화운;성경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0-439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he air quality modeling according to the practical roughness length using the building information as surface boundary conditions. As accurate wind and temperature field are required to produce realistic urban air quality modeling, comparative simulations by various roughness length are discussed. The prognostic meteorological fields and air quality field over complex areas of Seoul, Korea are generated by the PSU/NCAR mesoscale model (MM5) and the Third Generation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g System (Models-3/CMAQ), respectively. The simulated $O_3$ concentration on complex terrain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 weak synoptic flow had relatively strong effects by the roughness length. A comparison of the three meteorological fields of respective roughness length reveals substantial localized differences in surface temperature and wind folds. Under these conditions, the ascended mixing height and weakened wind speed at night which induced the stable boundary stronger, and the difference of simulated $O_3$ concentration is $2{\sim}6\;pp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