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ing Facilities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5초

정보불평등 대상별 도서관서비스 정책과 서비스 현황 진단 (A Study on the Library Policies & Services for the Type of Information Inequality in Korea)

  • 안인자;노영희;장로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1-295
    • /
    • 2018
  • 현재 정보불평등계층에 대한 개념과 정의는 국내의 법마다 상이하며 용어 또한 다양하다. 사회의 발전과 국가의 관심에 따라 정보불평등계층은 더 세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분화된 도서관정책과 서비스도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정보격차에 대한 용어, 개념, 법적근거, 디지털정보화수준에 근거한 지수개발, 격차해소정책 및 도서관발전계획상에서의 도서관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인서비스, 다문화서비스, 노인서비스의 정보불평등계층별 도서관서비스 정책 및 서비스 개발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 논문 및 사업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정책개발(법, 제도, 중장기 계획, 선진화계획, 사업 모형개발, 매뉴얼개발, 홍보전략, 평가지 등), 지원기구, 담당인력양성, 협력네트워크, 지원설비, 지원서비스, 지원자료 등 다수의 과정과 업무가 구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데스크탑 회의시스템 지원을 위한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실시간 서비스 프리미티브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Service Primitive in Message Handling System Supporting Desk-top Conferencing System)

  • 강승찬;김영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69-18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데스크탑 회의시스템 지원을 위해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개발한다. 데스크탑 회의시스템은 대표적인 실시간 그룹통신 서비스중의 하나이다. 현대 조직 사회에서는 조직의 작업 대부분이 서로간의 헙동체제로 처리됨에 따라 조직원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실시간 그룹통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실시간 그룹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은 드문 실정이다. 이러한 실시간 그룹통신 시스템의 확산을 막는 걸림돌은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보편적인 실시간 그룹정보 전송환경의 부재에 기인한다. 분산사무환경에서 정보교환 서비스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표준화된 정보전송 체계를 제공하며 다른 응용 프로토콜과의 연동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그룹통신지원을 위해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서 실시간 그룹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실시간 전송을 지원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제안한다.

  • PDF

Ground Tracking Support Condition Effect on Orbit Determination for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in Lunar Orbit

  • Kim, Young-Rok;Song, Young-Joo;Park, Jae-ik;Lee, Donghun;Bae, Jonghee;Hong, SeungBum;Kim, Dae-Kwan;Lee, Sang-Ryoo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7권4호
    • /
    • pp.237-247
    • /
    • 2020
  • The ground tracking support is a critical factor for the navigation performance of spacecraft orbiting around the Moon. Because of the tracking limit of antennas, only a small number of facilities can support lunar missions. Therefore, case studies for various ground tracking support conditions are needed for lunar missions on the stage of preliminary mi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the ground supporting condition effect on orbit determination (OD) of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in the lunar orbit. For the assumption of ground support conditions, daily tracking frequency, cut-off angle for low elevation, tracking measurement accuracy, and tracking failure situations were considered. Two antennas of deep space network (DSN) and Korea Deep Space Antenna (KDSA) are utilized for various tracking conditions configur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daily tracking frequency effect, three cases (full support, DSN 4 pass/day and KDSA 4 pass/day, and DSN 2 pass/day and KDSA 2 pass/day) are prepared. For the elevation cut-off angle effect, two situations, which are 5 deg and 10 deg, are assumed. Three cases (0%, 30%, and 50% of degradation) were considered for the tracking measurement accuracy effect. Three cases such as no missing, 1-day KDSA missing, and 2-day KDSA missing are assumed for tracking failure effect. For OD, a sequential estimation algorithm was used, and for the OD performance evaluation, position uncertainty,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true and estimated orbits, and orbit overlap precision according to various ground support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Orbit prediction accuracy variations due to ground tracking conditions were also demonstrated. This study provides a guideline for selecting ground tracking support levels and preparing a backup plan for the KPLO lunar mission phase.

농업용수 유역 물수지 분석 모델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ater Balance Network Model in Agricultural Watershed)

  • 윤동현;남원호;고보성;김경모;조영준;박진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6권3호
    • /
    • pp.39-51
    • /
    • 2024
  •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policy outlined in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Act, it is essential to analyze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at both basin and water district levels. Currently, agricultural water is primarily distributed through open canal systems and controlled by floodgates, yet the utilization-to-supply ratio remains at a mere 48%. In the case of agricultural water, when analyzing water balance through existing national basin water resource models (K-WEAP, K-MODISM), distortion of supply and regression occurs due to calculation of regression rate based on the concept of net water consumption. 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complex and diverse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within the basin into a single virtual reservoi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surplus or shortage of agricultural water for each field within the basin. There are limitations i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sites of rural water areas, such as inconsistencies with river and reservoir supply priority site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aimed at improving the deficiencies of current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s. The developed model aims to provide standardized water balance analysis nationwide, with initial application to the Anseo standard watershed. Utilizing data from 32 facilities within the standard watershed, the study conducted water balance analysis through watershed linkage, highlighting differences and improvements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대한 교장의 인식분석 (Analysis of a Principal's Cognition on his Job Performance in Meister High Schools)

  • 현수;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47
    • /
    • 2013
  •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기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역량을 갖추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영역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직무수행 기준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직무수행기준을 토대로 전국 35개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인식 분석을 하였다. 질문지는 직무수행빈도, 중요도 및 곤란도의 세 가지이었고 질문 내용은 10개 직무 영역의 80개 직무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인식분석결과 첫째, 학교 경영 계획 영역에서는 학교 경영계획 수립, 예산확보 계획 수립, 학교 경영실적 평가 및 피드백, 둘째, 학교 경영 관리 영역에서는 학교 예산 확보, 교직원의 예산 요구 검토 및 예산안 조정, 학교 예산 집행 및 관리, 학교 시설 설비 확보, 학교 시설 설비 유지 관리, 학교급식 관련 업무 관리, 학교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리, 학교 운영위원회 협의 결과를 학교 운영에 반영, 셋째, 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산업체 직무분석, 교육과정 개발, 넷째,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영역에서는 학생, 학부모, 산업체의 요구 분석,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프로그램 개발, 마이스터 성장 경로 분석 및 학교 교육과정 반영, 다섯째, 학생 지도 영역에서는 학생 상담 활동 지원, 각종 학교 행사활동 관리, 여섯째, 대외 협력 지원 영역에서는 산학협력 연계 교육계획 수립, 산학협력 연계 교육 산업체를 확보, 지역사회지원 확보, 대외기관 지원 확보, 일곱째, 교직원 전문성 개발지원 영역에서는 교직원의 자율장학 및 연구 활동이 지원 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결론으로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이 보다 직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대외 협력 지원, 실습실 구성 및 운영, 교직원의 전문성 개발 지원,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 등과 관련된 능력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조선 후기 원유의 영선체제와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and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 the Late Choson Dynasty)

  • 전영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90
    • /
    • 1998
  •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ere the most significant project in Choson Dynasty. The kind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ere the rear garden of the palace, the groves of the royal shrine and orchard, etc. As the important project of the country, these constructions were controlled by the administrative system without division into the fields of engineering, building and landsca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 Hanyang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historic documents and a survey of the relic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composed of the government offices under Industry Board as a permanent organization - Yongjosa, Santaeksa, Chunchonsa, Songonggam, Changwonso - and Togam as a temporary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se organizations, there were Revenue Board, Ceremony Board, Military Board, which served as supporting organizations. The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held by decision makers, executors of works and management. 2) The gener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cluded Sangji and Kyuho다 as the first step; In ca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former examples and drawings, the most of the planning and design was already fixed. In the case of landscape, those things aimed a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The works in the 2nd step; This process was divided into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and planting. In case of construction of facilities, those works were done by Togam and Songonggam. The high cost works were carried out through Togam and normal repairing works were completed by Songonggam. In case of planting, those works were carried out through Chunchonsa and the military. The management in the 3rd step; This process was done by two parts like the process of works. In case of facilities, management was done 효 the officers of Pongshim. In case of groves of newly - planted trees, this management was done by Tongsanbyonlgam and Tongsanjik who served cultivation and harvest of fruit trees as an expert.

  • PDF

서울.경기 소재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 조사 (A Study on Supportive State for Disabled Students of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nd Kyonggi)

  • 박현영;남태우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83-10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사립대학들 중에서 2008년도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시행한 30개 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대학의 장애학생들은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는지,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 및 기자재, 자료, 그리고 전담 직원이 현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설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도서관에 장애 학생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수준은 "보통" 이하(평균2.38)로 조사되었으며, 이용률은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60.0%)로 응답한 대학이 가장 많았다. 대학도서관의 시설 및 서비스 등의 응답률에서는 "매우 미흡"을 응답한 대학이 99건(32.27%)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우수"를 응답한 대학이 28건(7.0%)으로 가장 적은 응답수를 나타냈다. 한편, 부문별로 분석했을 때, 건물의 시설은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상(평균3.26)의 수준을 갖추고 있으나, 자료구비수준(평균1.8점)과 장애 학생에 대한 원활한 지원을 위한 직원교육과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평균1.87)은 "미흡" 이하의 수준이었다. 특히, 서비스 부문은 "미흡"(평균2.48)의 수준으로, 표준편차는 1.4이상으로 인력배치와 자료배달 서비스는 대학 간의 편차가 가장 큰 부문이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시설 등의 접근성은 상당 수준 개선되었으나, 자료, 인력 및 이용교육과 같은 도서관 고유의 정책은 일반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장기요양보장 인프라 확대정책의 집행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lementation Factors of Infrastructure Expansion Policy in Long-term Care Service - Focus on Long-term care facility -)

  • 김미혜;이은영;박지혜;김민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5-40
    • /
    • 2009
  • 2008년 6월 현재 전국의 노인요양시설 충족률은 96.4%로, 장기요양인프라 확대정책은 양적인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었으나 여전히 시설 인프라의 부족, 지역적 편중, 정부의 책임성 저하 등 정책집행의 실효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장 인프라 확대정책의 집행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규명하여 정책집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인프라 확대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중앙정부가 수립한 인프라 확대정책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였고, 지방정부차원의 실질적인 집행과정을 살펴보고자 K도, C시, C시 내 노인요양시설 4곳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Alexander(1985)의 분석틀로 정책집행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책목표의 명확성과 적절성, 서비스 공급주체의 성격, 정부 간 역할과 책임 등 정책변수와 재정부담 및 예산배정 의지, 예산의 신속한 집행 및 절차의 간소화, 재량권, 집행기관 간 상호관계 등 집행변수가 정책집행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 실수요를 기초로 한 시설필요도 산출, 민간참여에 대한 보완 등 몇 가지 정책개선과제를 제언하였다.

남자노인 1인가구의 거주지 주변 활동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The Use and Needs of Activity Spaces Near Housing Environments of Single Elderly Men Households in Korea)

  • 박성신;이민아;신영화;박영례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265-297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노인 1인가구의 공간복지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전북 군산시에 거주하는 18명의 남자노인 1인가구의 활동공간 이용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남자노인 1인가구의 사회정서적 네트워크는 친구나 동료에 집중되었고, 자녀및 노인과의 교류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웃과의 네트워크는 희박하였다.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공원이나 식음공간, 커뮤니티 시설과 같은 제3의 장소와 명확한 경계를 가진장소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희망하는 공간은 식사제공, 노인 공동생활, 일거리, 취미여가활동, 시설개선 등과 관련이 있었다. 활동공간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거주지역과 건강으로 분석되었고, 이 외에 사회정서적 네트워크와 경제적 상황, 취업여부 또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활동반경의 범위가 좁은 비활동적 노인들을 위해 거주지와 근접한 장소에 산책 및 여가 공간 등을 위치시키고, 이동을 지원하는 설비가 필요하며, 지역 주민들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기관 내 교육, 취미여가공간이나 젊은 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거주지 주변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정기적인 수선, 유지관리, 그리고 올바른 이용을 위한 주민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는 남자노인들에게 필요한 것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지원하는공간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수치지도를 활용한 주제도 작성에 관한 연구 (Constructing Thematic Map using Digital Map)

  • 백태경;신용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99-108
    • /
    • 2003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도시계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로 통합 제정되면서 '도시계획정보체계'가 '국토이용정보체계'로 전환됨에 따라 국토이용정보체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지표 개발과 주제도 작성을 목적으로 한다.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작업으로서, 부산광역시 각 읍 면 동의 사회 경제데이터와 수치지도상의 공공 편익시설 레이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첫째, 다변량해석(multivariate analysis)을 통한 부산광역시 공간구조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지도로 표현하여 하나의 주제도를 작성하였으며 둘째, 수치지도의 공공 편익시설 레이어와 읍 면 동과의 최소거리를 측정하여 각 시설별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