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ementary learning too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교육에서 학습자 중심형 UI/UX 디자인이 적용된 블로그 기반의 보조학습도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Performance on Supplementary Learning Tool based on Blog using Learner-Centric UI/UX Design in Higher Education)

  • 배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31-5540
    • /
    • 2011
  • 최근 사용자가 주체가 되는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설계원리가 적용된 학습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웹 2.0의 많은 요소들 중에서도 블로그는 집단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해가는 웹의 경향을 잘 반영한 도구이며 게시판 같은 도구와 달리 개방적이며 정보와 콘텐츠의 생산 및 확산에 쉽게 동참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되는 도구이다. 본 논문은 웹 2.0 기술과 교육을 연결시킨 새로운 학습 방법을 고안하려는 차원에서, 대학교육에서의 학습자들이 학습자 중심형 UI/UX 디자인이 적용된 블로그 기반 학습도구를 보조학습 도구로 활용을 할 경우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도구로써 사용자 중심의 설계가 가능한 설치형 블로그를 실험환경에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설문결과와 학습평가점수, 과제수행점수의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형 UI/UX 디자인이 적용된 블로그 기반의 보조학습도구가 학습성취도와 학습몰입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학습 보조 도구로서 온톨로지 검색 모델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n Ontology-Based Information Searching Model as a Supplementary Learning Tool)

  • 최숙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59-1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기반의 정보검색 모델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학생들이 검색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에 의해 검색된 관련 정보의 양이 기존의 검색에 의한 것보다 더 많음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에 의해 찾아진 북마크 정보의 관련성 비율이 기존의 검색 방법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인터뷰 결과에 의하면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 모델은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자료를 검색하는 데 매우 유용했으며, 이에 따라 그들이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톨로지기반 검색 모델에서 제공하는 학습 개념들간의 관련성 정보는 검색뿐만 아니라 한 학습 주제에 관련된 학습 개념들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WBI를 위한 개별 학습 공간 시스템 (An Individual Learning Space System for WBI)

  • 홍현술;서인규;박문환;한성국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63-66
    • /
    • 2000
  • WBI provides new opportunities to realize the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hypermedia and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with a diverse interaction. The instructors or learners in WBI claim to be able to resolve reluctant fluctuations such as disorientation and cognitive overload. To overcome these phenomena, a supplementary tool able to manage learning space organized by the instructor's or learner's own way and offer effective navigation techniqu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A learning space management and navigation tool called HyperMap dynamically represents the learning space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labeled graph. This HyperMap also can be used for an instruction design tool, learner's portfolio for the exchange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assessment of WBI.

  • PDF

초등학교 수학과 학생평가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udent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21-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had the individual interviews. The surrey items consisted of the six main parts: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he method to assess, the grad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the opening of learning effect, and the follow-up guid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 First, elementary teachers depended heavily on internet sites for developing assessment problems. Second, elementary teachers made use of a performance assessment, a unit assessment, and a term examination at ordinary times. Third, unit assessment was largely referred for grading by elementary teachers. Fourth, in selecting the students for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both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nd norm-referenced assessment were considered. After finish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dditional tests were usually taken. Fifth, elementary teachers took a negative attitude in opening of learning effect. specialty opening of test paper to parents of students was done under 30%. Sixth, fellow-up guidances were the most through the classroom guidances. but consulting with parents of students was not frequently conducted by teachers.

  • PDF

WBI를 위한 학습공간 네비게이터 구현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Space Navigator for WBI)

  • 홍현술;한성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75-181
    • /
    • 2001
  • WBI(Web-Based Instruction)는 하이퍼미디어를 토대로 유연한 학습환경을 실현하고,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다. 그러나, WBI 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하이퍼텍스트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하이퍼미디어의 가상공간에 방치되므로 방향상실과 인지적 부하등과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자신이 학습공간을 구축하여 관리하며, 효과적으로 학습공간을 탐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원시스템을 설계/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구현한 하이퍼맵은 학습공간을 2 차원 그래프 형식으로 정적 또는 동적인 방식으로 표현한다. 또한, 학습공간의 탐색은 기존의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1 차원 선형방식이 아닌 2 차원 탐색방식을 기반으로 하므로써 방향상실과 인지적 부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논문의 하이퍼맵은 교육설계 도구와 학습경험의 상호교환을 위한 학습자의 포트폴리오로 사용할 수 있으며 WBI의 평가도 적용할 수 있어, WBI를 교육현장에 정착시키는데 유용하다.

  • PDF

교사-학생간의 홈페이지를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homepage for English reading class)

  • 방영주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3호
    • /
    • pp.187-210
    • /
    • 200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homepag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for English reading classes. The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s of whe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homepage, compared to the teacher-centered learning, would enable a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 in the students' achievements and of what their responses to this new learning method are. 72 students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and t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hree levels (high, medium, low) of proficiency.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ir scores of reading proficienc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question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learning experience, the three group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survey with regard to the positive attitude of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learning materials, and usability of the homepage. In genera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dered the experience satisfactory, although the degree of positive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group.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using the computer and internet as a supplementary learning tool.

  • PDF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사용자 안구운동 분석 기반의 지능형 학습도구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Learning Tool based on Human eyeball Movement Analysis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Competence)

  • 신지혜;장영민;김상욱;;배정옥;최성묵;이민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1호
    • /
    • pp.153-161
    • /
    • 2013
  • 최근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및 테스트를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기반 하여, 온라인 학습 도구와 방송매체 등의 IT 기술을 이용한 e-learning 교육용 콘텐츠 개발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의 IT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콘텐츠들은 단방향의 학습 정보만을 제공하기에, 외국어 글을 이해하는 데는 사용자의 학습 편의를 제공하기 어렵다. 사용자 편의가 제공되려면 사용자의 학습 진단에 대한 부가적인 off-line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실시간(on-line)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외국어 능력을 진단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사용자 안구운동 분석 기반의 지능형 학습 도구를 제안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학습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지심리학/신경생리학 기반의 사용자 학습상태와 관련된 안구 운동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판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지능형 학습 도구는 앞서 언급한 사용자 안구운동 특징 정보를 기저로 하여 사용자가 외국어 읽기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단어에 대하여, '안다/모른다'를 분석하여, 모르는 단어일 경우 실시간(on-line)으로 웹에서 단어를 검색하고,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외국어로 된 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가 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 도구를 제공하고, 자동화된 학습 콘텐츠로 외국어로 된 글의 이해에 대한 성취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수준별 학습을 위한 웹 기반 교육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Education Tool for Level Learning)

  • 김옥남;임인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52-25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수준별 학습을 위한 웹 기반 교육도구를 설계 및 구현 하고자 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교사가 사용할 관리자 영역과 학생이 사용할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관리자 영역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을 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원별 강의안 등록, 수준별 평가문제의 출제 및 평가를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인 학생은 누구나 사용자 등륵만 하면 사이버스쿨(Cyber shool)에 로긴(Login)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하고,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평가 후에는 즉시 자신의 점수를 확인하고 점수를 따른 보충학습, 또는 심화학습을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수준에 맞는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흥미를 유도하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PDF

베이지언 추론망 기반 지능형 온라인 퀴즈 저작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On-line Quiz Authoring Tool based on Bayesian Inference Network)

  • 박홍준;전영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5호
    • /
    • pp.403-41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에게 학습자의 지식 요소별 진단을 해 주는 것이 가능한 지능형 온라인 퀴즈를 저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 도구는 베이지언 추론망을 활용하여 학습 요소들 간의 관계를 표현함으로써 학습자 모델을 설계하고 베이지언추론에 의해 학습자의 지식을 추론하는 진단 엔진을 자동적 생성한다. 또한 이 도구는 온라인 퀴즈 페이지를 생성하며 퀴즈 풀이 후에 학습자 보고서를 제시하며 학습자 개인별로 부족한 학습 요소를 보충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저작도구 자동생성 기법에 따라 개발된 이 지능형 온라인 퀴즈 저작도구는 학습자 개인의 부족한 학습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그 진단 결과에 따른 학습전략 수립과 다음 학습 내용 선택 그리고 부족한 지식 요소를 보강하기 위한 보충학습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발적 학습에서 개인특성과 주관적 규범이 e-learning 수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 Norm on User Acceptance of e-Learning for Voluntary Studies)

  • 이태환;서창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4호
    • /
    • pp.99-127
    • /
    • 2008
  • E-learning become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 these days in Korea. Students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learning when the e-learning was used as a supplementary learning tool within a traditional class or a stand-alone distanc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tudents' intention of e-learning acceptance for voluntary studies. In voluntary study, students have the rights to adopt the e-learning or not for their personal study. We us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the external variables of TAM to explain user acceptance of e-learning for voluntary studies and examined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user's beliefs. Research model and nine hypotheses were set up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based on investig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The theoretical model is tested with questionnaires from 420 users who accept e-learning for voluntary studies. We tested the measurement and research models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using the AMOS 5.0. Overall,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model as explaining acceptance of an e-learning system. Most path coefficients in the research model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usefulness and enjoyment and subject norm were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of students using e-learning. In addition, usefulness and subject norm were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students using e-learning. The results show innovation and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perception of ease of use. Self-efficacy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ser's perception of usefu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