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visor Suppor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8초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학습전이 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type within organization recognized by members of organization affecting learning transfer climate)

  • 김문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2호
    • /
    • pp.31-44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 질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커뮤니케이션, 조직 전망 커뮤니케이션의 4개 변수로 제시하였으며, 종속변인인 학습전이풍토는 상사지원, 동료지원, 전이기회, 조직보상 인식의 4개 하위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중소기업 핵심직무역량 교육과정에 참여한 후 3개월 이상 경과한 참가자 150명을 대상으로 통계상 무의미한 설문을 제외 한 116부를 최종 활용하였다. 한편,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의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순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분석, 단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인 상사의 지원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커뮤니케이션,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모두 상사의 지원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학습전이 풍토의 동요의 지원에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의 전이기화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동료와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한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 커뮤니케이션,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전이기회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의 조직보상 인식에 대한 영향관계에서는 상사와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문화와 정서노동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Labor: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이종호;안명숙;허희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5-1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constructive and defensive culture) and emotional labor along with the social supports (supervisor support, colleague support). Using data obtained from a survey of 419 flight attendants of a major airline company in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labor. At this point, colleague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ve culture and emotional labor. In addition, supervisor support and colleague support had a mediating role between defensive culture and emotional labor. This result concludes that flight attendants positively accept the essential manuals and safety regulations in the special working condition with a unified team servic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s are an important job resource for flight attendants helping them reach their work-related goals.

미용실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Beauty salon work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 유은주;심선녀;김순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27-439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미용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연령이 낮을수록 감정노동이 높으며, 연령, 학력, 경력, 직위가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높고, 연령과 학력이 낮고 휴무일이 적을수록 이직의도가 많았다. 둘째, 원장/디자이너는 감정절제, 감정부조화, 심리적 스트레스,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의도가 유의미하고 스텝은 감정부조화, 심리적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전체는 원장/디자이너는 감정절제, 역할스트레스, 상사지지와 동료지지가, 직장관련 이직의도에는 감정절제, 역할스트레스, 동료지지, 비인격화가 영향을 미친다. 스텝은 이직의도전체와 직장관련 이직의도에는 상사지지, 동료지지, 비인격화가, 직업관련 이직의도는 상사지지가 영향을 미친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in Clinical Nurses)

  • 김경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09-316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내면행위(r=.290, p<.01)와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r=.389, p<.01)와 동료지지(r=.160, p<.05)는 직무배태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직무배태성에 대한 영향에서 감정노동의 내면행위(${\beta}=.236$, p<.001)와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beta}=.319$, p<.001)는 직무배태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촉진하기 위해 감정노동의 내면행위와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들이 임상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조직지원 특성에 따른 효과성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Company HRD Education & Training Program)

  • 류석우;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97-507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지원 특성이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으로 구성된 조직지원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반응, 학습, 전이, 결과수준을 효과성의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8월 16일부터 9월 9일까지 국내 상장 및 코스닥 등록 증권사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상시 재직자 온 오프라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5개 기업의 임직원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3차로 나누어 총 340부가 배포되었으며, 총 164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검증 결과, 가설 1. 조직지원 특성이 반응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반응수준에 대해서 모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2. 조직지원 특성이 학습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학습수준에 대해서 p<0.05,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3. 조직지원 특성이 전이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전이수준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조직지원 특성이 결과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결과수준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 교육훈련의 효과성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도 중요하지만, 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지지체계와 학습한 것을 실제 업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제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실시하는 기업이나 전문가들은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특성도 중요하나, 조직지원 특성이 교육훈련 효과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구성원의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사의 지원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역할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Exploring the Role of Supervisor Support and Perceived Internal Equity)

  • 장옥진;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71-579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이 내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보상의 요인은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의 두 하위차원으로, 내적 공정성은 분배공정성과 상호 작용 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업 구성원에 대한 보상이 상사의 지원에 따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이 달라질 수 있는지 그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는 다양한 기업의 157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외적 및 내적 보상은 직무만족, 지각된 내적 공정성, 상사의 지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구성원의 심리적 영역인 내적 공정성의 지각을 통해 영향관계가 형성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구성원에 대한 보상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관계에서 상사의 지원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보상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보상의 공정성에 주목하여 개인간 상대적인 보상 차이에 대한 합리적인 논리와 메커니즘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관리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도시보건소 공무원의 조직몰입도 인과요인에 관한 연구 - 한 가설적 인과모형분석을 통해 - (A Study on Causal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Servants in Urban Health Centers: Testing a Hypothetical Canusal Model)

  • 이상준;김창엽;김용익;신영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2-96
    • /
    • 1998
  • To find causal factors and improvement pla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servants in urban health centers, a hypothetical causal model, which included 2 endogenous variables(organizational commitment &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15 exogenous variables, was constructed. Exogenous variables consisted of individual factors (sex, age, education, job-grade, and annual salary), psychological variables(pride for organization,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upport of supervisor) ad structural variables(formalization, centralization, communication, job-conflict, job-decision, and workload). In the hypothetical causal model,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upposed to be effec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was presumed to be intervening variable to mediat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ogenous variables. For data collection, cross-sectiona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295 public servants from 32 urban health centers nationwide. The survey responses were from 934, 72.1% of subjects. But 756 responses(58.4%) were analyzed because of excluding ones with missing values. The hypothetical causal model was fitted by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tted causal model accounted for 33 and 55 percent of total varia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of public servants, respectively. (2) In order of effect size, pride for organization, supervisor support, communic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centralization had an indirect eff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centralization was negative. (3) Pride for organiztion,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job-conflict, supervisor support, communication, age, centralization, annual salar and extrinsic motivation had indirect or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of effect size. Among them, effects of job-conflict and centraldization were negativ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servants in urban health centers could be enhanced by pride for organizati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prevention of job-conflict and excess centralization, supervisor support and active communication. Especially, pride for organiz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expected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 PDF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과 후속출산계획 간의 관계: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 및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Female Managers: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 강하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2호
    • /
    • pp.25-39
    • /
    • 2021
  •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의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명 이상의 자녀를 두고 있는 여성 관리자 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혼 여성 관리자의 가족친화제도 운영 인식은 후속출산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가족친화적 상사지원인식과 일·가정 양립 갈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이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는 것에 더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 상황, 대인관계변수 중심으로 (Factors to Affect Turnover Intention of Nurse: Focusing on Personal, Situati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 Variables)

  • 임숙빈;조미경;허명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4-32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influences of supervisor's and colleague's supports, nursing work environment, ego-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79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in S city from July 1 to August 31,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9.0. Results: In case the subject was young, with work experience of 1~5 years, single, female and position of general nurse, turnover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urnover intention, supervisor's support, nursing work environ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go-resilie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ut burnou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case of controlling general characteristics, higher correlational variables with turnover intention accounted for 30.2%.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general nurses who showed higher intention with 1~5 years' work experience,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 variables such as supervisor's support as well as personal variables such as ego-resilience should all be considered.

콜 센터에서 이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마트워크와 상사지원 융복합 서비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verging smart work and supervisor's support in the study of turnover on job satisfaction in call centers)

  • 김계철;정기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01-114
    • /
    • 2015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콜센터 상담사의 이직요인을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에 대한 완화방안으로 콜센터 서비스에 스마트워크 기술과 상사지원 서비스의 융복합이 상담사의 직무만족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상담사의 이직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마트워크 효과와 상사지원효과를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정하고, 금융분야의 콜센터 상담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였으며, 영향관계 검증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담사의 개인적 이직요인에 대한 스마트워크 조절효과와 업무적 이직요인에 있어 업무 과부하는 상사지원이 상담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탈진감에 대한 상사지원 조절효과는 부(-)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상담사의 속사정을 모르는 지나친 상사의 지원은 오히려 상담사 개인의 자존심에 역효과를 주어 이직율 완화에 부정적인 영항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