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b Landscap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한강(漢江)의 역사문화경관 연구 - 조선시대 경강(京江) 동호(東湖)지역(地域)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an River - Around East Lake of Kyung River in Joseon Dynasty -)

  • 김선화;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67
    • /
    • 2014
  • 조선시대 경강 동호지역은 역사와 문화적 요소가 풍부하여 역사문화경관의 명승명소가 많았으나 현대 한강은 자연경관에 비해서 문화성과 역사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이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적 요소를 한강의 경관에 적용하고자 조선시대 문화공간의 경관 특성을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요소에 적용하여 경관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호를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적용했을 때 '통로'로서 높게 인식되었고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경계'의 명료성 또한 동호가 높게 인식되었다. 방향 전환점인 '결절점'은 두모포가 인지도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서 '랜드마크'를 문화공간에 적용했을 때 경강 동호, 압구정, 제천정이 우월한 인지도를 보임으로써 역사문화경관의 지명도와 명성은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비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공간의 패턴, 구조, 의미가 명료하고 정체성이 확실할수록 '랜드마크'와 '지역'요소가 높게 인식되었다. 공간의 지명도가 높을수록 역사문화경관의 인지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한강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시 시각적 인지도를 고려하여 조사하고 사례연구 함으로써 장소의 복원과 함께 역사성과 문화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문분석을 통한 영남루의 경관 특징에 관한 연구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Youngnam-Lu through the Analysis of Poetry)

  • 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4
  • 본 연구는 밀양 영남루가 갖고 있는 경관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해 영남루와 관련된 354편의 시문에 대한 핵심어(keyword)분석과 시문 요소 분석, 그리고 보조적으로 CAD를 활용한 지형분석과 고지도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남루 시문에 대한 핵심어를 분석해 보면 명승이 56회, 장강(長江)과 장림(長林)이 39회, 최고 제일경관이 31회, 큰 들판 조망경관이 19회, 천겹 산악경관이 14회로 나타났는데, 이것을 모두 합치면 159회로 전체 시문의 44.9%에 해당한다. 영남루 시문에 나타난 자연요소를 분석해 본 결과 자연현상(44%), 지형(33%), 식물(14%), 동물(9%) 순이었는데, 자연현상 가운데에는 특히 하늘천(天)이41회로 제일 많았는데, 이것은 영남루의 '천(天)'의 경관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 영남루 지형경관의 특징은 '강 흐름'과 '모래섬'이었다. 또한 영남루에서는 악기 출현빈도(8%)가 높아 다양한 악기를 공연하는 공간이었다.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영남루가 고려시대부터 제일가는 누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Influence of Upland Soil Texture on Dry Weight and Growth of Yellow Mustard as a Landscape and Green Manure Crop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eo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77-682
    • /
    • 2015
  • Although it is not a landscape crop according to MIFAFF(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yellow mustard is considered a superb landscape crop because of its growth and flower characteristics. We sowed yellow mustard as a landscape and green manure crop in upland soil (four types of soil texture) in spring. And we studied its flowering characteristics, dry weight, and nitrogen yield. The growths of yellow mustard were possible in every soil ranging from sandy soil to clay loam. Its height was 54.1 ~ 76.1cm and the number of node per hill was 11.3 ~ 17.0. Its flowers had a light yellow. It took about 44 ~ 50 days to flower, and flowered for 22~25 days. The dry weight of yellow mustard was $2.27{\sim}3.60tonha^{-1}$ with highest in sandy loam and loam. Among the nutrients of yellow mustard, nitrogen(T-N) was $12.6{\sim}20.8gkg^{-1}$, and C/N ratio was 21.6~37.7. The nitrogen yield of yellow mustard was $35{\sim}62kgha^{-1}$. In conclusion, because of its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dry weight, yellow mustard was considered appropriate for both green manure and landscape crop uses.

Evaluation of the Functions and Reliability of an Eco-Friendly Vegetated Soundproof Wall for Climate Benefits

  • Jong-Sung Kim;Young-Hyoo Kwon;Yong-Jo Ju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2호
    • /
    • pp.141-150
    • /
    • 202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a soundproof wall capable of planting at the urban ecological. The vegetative soundproof wall developed in the study showed highly superb structural test results fo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and met the quality standards in the sound-absorbing performance test. Its structure is systemized to supply water to soils and plant roots inside the planting basis with rainwater running down the inclined planes near the planting basis in the front of the vegetation panel. It allows for sporadic water supply for about 30 days of drought.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plants continued favorable growth and development in leaves, stems, and roots, making the vegetative soundproof plate a product capable of reacting to climate environment changes.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 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ca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 임의제;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
    • /
    • 2016
  • 본 연구는 용어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료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전통 수경(水景) 요소의 쓰임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문헌분석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조선 전기 관찬(官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 항목에서 수경과 관련된 지명을 발췌하여 다양한 수경 요소를 파악하고, 사전적 정의와 원문에 대한 해석 및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수경 요소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산천" 항목에 수록된 수경은 22개 요소였으며, 이를 입지와 물 흐름의 방식에 따라서 하천경관, 호소(湖沼)경관, 해안경관으로 분류하였다. 2. 자연적 물 흐름을 항시 유지하는 하천경관은 물줄기의 위계와 관련된 선적(線的) 형태의 '수(水)', '강(江)', '천(川)', '계(溪)'와 감입곡류하천 특성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점적(點的) 형태의 '탄(灘)', '뢰(瀨)', '폭(瀑)', '저(渚)'로 구성된다. 3. 일정 구역에 모인 물 형태를 갖는 호소경관은 '강'의 중하류에 형성된 넓고 잔잔한 지점을 일컫는 '호(湖)', 하천 중상류 유로 상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연(淵)', '담(潭)', '추(湫)', 평지에 모인 물로서 '지(池)', '당(塘)', '택(澤)', 그리고 자연적으로 솟아나는 샘을 지칭하는 '천(泉)', '정(井)'으로 구성된다. 4. 해안경관에는 육지와 섬, 혹은 섬과 섬 사이 공간을 지칭하는 '량(梁)'과 '항(項)', 바다를 향해 돌출된 '곶(串)', 바닷가 모래사장 형태의 '정(汀)', 그리고 도서 지역의 지리적 중요성이 반영되어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도(島)'가 포함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 수경 요소의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들이 입지적, 경관적,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특징을 반영한 개념이라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선조들의 자연경관에 대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력으로 형성된 자연에 대한 심미안이 인공을 최소화하고 자연이 주체가 된 우리 전통정원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바탕이 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A New Eye Tracking Method as a Smartphone Interface

  • Lee, Eui Chul;Park, Min 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4호
    • /
    • pp.834-848
    • /
    • 2013
  • To effectively use these functions many kinds of human-phone interface are used such as touch, voice, and gesture. However, the most important touch interface cannot be used in case of hand disabled person or busy both hands. Although eye tracking is a superb human-computer interface method, it has not been applied to smartphones because of the small screen size, the frequently changing geometric position between the user's face and phone screen, and the low resolution of the frontal cameras. In this paper, a new eye tracking method is proposed to act as a smartphone user interface. To maximize eye image resolution, a zoom lens and three infrared LEDs are adopted. Our proposed method has following novelties. Firstly, appropriate camera specification and image resolution are analyzed in order to smartphone based gaze tracking method. Secondly, facial movement is allowable in case of one eye region is included in image. Thirdly, the proposed method can be operated in case of both landscape and portrait screen modes. Fourthly, only two LED reflective positions are used in order to calculate gaze position on the basis of 2D geometric relation between reflective rectangle and screen. Fifthly, a prototype mock-up design module is made in order to confirm feasibility for applying to actual smart-phon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gaze estimation error was about 31 pixels at a screen resolution of $480{\times}800$ and the average hit ratio of a $5{\times}4$ icon grid was 94.6%.

'신선(神仙)'을 지명소(地名素)로 하는 바위명의 유형과 입지특성 (Types and Site Characteristics of Rocks with Sinsun Relevant Place Name Morpheme)

  • 노재현;박주성;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1-77
    • /
    • 2011
  • 본 연구는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중심으로 민간어원적으로 신선사상의 흔적이 장소와 결합하여 고착화된 '신선[仙]' 관련 바위 지명어에 주목하였다. 특히 신선 지명소를 포함한 대표적 지명의 유형을 분류하는 한편, 각 신선 지명별 입지 및 장소 특성을 개관함으로써 바위 지명에 남겨진 신선과 관련된 문화의 흔적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 관련 바위지명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지명은 신선바위(52개소)였으며, 이어서 신선봉(38개소), 신선대(31개소) 등의 지명이 압도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그밖에 강선대(12개소), 선유대(10개소), 사선대(5개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신선대는 '대(臺)' 라는 대상 자체의 경관성도 뛰어나지만 원경의 부감경관(俯瞰景觀) 조망이 탁월함 곳에 입지하고 있다. 3. 신선봉의 위치는 해당 산의 최고봉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봉(峰)의 의미에는 '하늘과 맞닿아 있는' 그리고 '우러러 올려보는' 등의 숭배의 개념이 내포된 공간이다. 4. 신선봉에는 신선바위와 같이 '신선 바둑' 또는 '신선 하강'과 관련된 전설을 잉태하고 있는 지명도 상당수 있었는데 '신선과 바둑'은 신선 지명 바위의 민간어원설을 이끄는 매우 중요한 모티프가 되고 있다. 그리고 신선대와 함께 신선바위는 내륙은 물론 해양경관이 수려한 바닷가 암상 위에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5. 신선 바위가 위치한 고도 분석 결과, 신선봉-신선대-신선바위 순으로 '해당 위치'뿐만 아니라 '지명이 속한 최고봉의 높이' 역시 동일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선봉이 산의 정상에 위치하거나 단일 산봉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음에 기인된다. 이에 비해 신선대는 대부분 파노라믹한 원경이 부감되는 곳으로, 정상은 아니더라도 신선경(神仙境)을 이루는 듯한 조망이 펼쳐지는 곳에 입지하였다. 그러나 신선바위는 높은 곳에 위치한 경우와 높지는 않지만 인가에서 멀리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암경(巖景)이 수려하고 계곡이 잘 발달된 곳에 입지하고 있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보아 고도 보다는 장소성에 기인된 지명임을 알 수 있다. 6. 신선지명을 보이는 곳의 암경적 특성은 숭배 대상의 시각적 존재감이 인정되고, 숭배 주체의 태도와도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숭배대상과 숭배주체의 소통방식과 깊이 관련되고 있는데 이는 신선 바위지명의 민간어원설을 이끄는 주요 사유인 것으로 보인다. 7. 신선사상이 시대 변천에 따라 점차 가시적이며 현실적 차원으로 우리 곁에서 구현되어 왔음을 가장 여실이 보여주는 대상이 바로 지명으로 표상(表象)되는 '신선[仙] 바위'이다.

18세기(世紀) 조선시대(朝鮮時代) 회갑연(回甲宴)과 회혼예(回婚禮) 회화(繪畵)에 나타난 식생활(食生活) 문화(文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the Festival for Elderly Person's $60^{th}$ Birthday (Hoegap) and Marriage Anniversary (Hoehon) Appearing in the 18th Century Painting of the Chosun Period)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36-543
    • /
    • 2003
  • The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revival for science, art, and culture, bringing about Silhak(practical science), a new trend in the history of Chosun thoughts. In the history of fine arts,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and genre paintings were popular as realism became prevalent. From the aspect of food culture, in particular, the luxurious and elegant Korean-styled food culture was completed during this period. Iwanwasuseoksihoedo was painted by Jeong Hwang (1735-1800) in 1789, depicting a banquet on an elder's $60^{th}$ birthday. It is classified as a genre painting in the late Chosun Period but it contains things that comes into our heart, which are white porcelain with blue celadon pictures, white porcelain bowls, busy atmosphere of a banqueting house where food is being carried in a hurry and elders' serene appearance. All these things show the abundance of life, the room and comfort of old ages, and the beauty and relish of life in the well-arranged living ground. Hoehonyedo was painted on an elder's $60^{th}$ marriage anniversary by an unknown artist presumably in the $18^{th}$ century is a painting as realistic as a documentary photograph. The work gives viewers pleasure and comfort because it describes not a mighty clan but the superb later years of an official who had lived right and upright life. In the aspect of food culture, it displays the food culture of the splendid sixtieth marriage anniversary of a Korean official through noble etiquette among family members, seat planning, unique table culture and high quality tableware including white porcelain with celadon pictures and pure white porcelain.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hysical Structure of Gudle-jang Paddy-field in Cheongsando)

  • 조영재;유학열;윤원근;최식인;이영옥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03-110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phy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Gudle-jang Paddy-field in Cheongsando.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potential value and the assignment for the preservation of Gudle-jang Paddy-field were suggested. Gudle-jang Paddy-field is centrally distributed to Cheongsando and has various features as follows. First, it has the Ondol structure which is used Gudle-jang. Second, it has an irrigation canal which has functions of the tank and the prevention of cold-weather damage as well as the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 The values of Gudle-jang Paddy-field are as follows; 1) It is the peculiar and inherent agricultural structure which is only found in Cheongsando. 2) It is the structure that the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and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technique of traditional methode are applied. 3) It has the worth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4) It is the important resource creating superb rural landscape of the region. In spite of these values of Gudle-jang Paddy-field, there were little efforts to preserve it. From now on, it is needed to form of sympathy about the value of Gudle-jang Paddy-field and to make efforts for preservation of it. Also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e and manage Gudle-jang Paddy-field.

원주시 우수비오톱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Based on Habitat Types of Superb Biotope in Wonju City, Korea)

  • 김지석;곽정인;노태환;이병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9-218
    • /
    • 2013
  •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자연하천, 산림계곡의 4개 대표 비오톱 유형에 33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0년 6월, 8월, 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자리는 총 9과 38종이 확인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하여 4개 서식처 유형별 종 조성을 비교한 결과, 3개 서식처(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산림계곡)는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였으나, 자연하천은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자리가 대부분이었으나 등줄실잠자리, 산잠자리, 왕잠자리 등은 서식처 차이를 보였다. 서식처 유형별 종다양성지수는 묵논습지, 자연하천, 자연형 저수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림계곡은 낮았다.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 산란유형은 묵논습지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식물체에 산란하는 잠자리 종류가 가장 많아 습생식물이 잠자리 풍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간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추잠자리와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 방울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와 애기좀잠자리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종간에도 선호하는 서식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