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flower seed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2초

녹차 종자의 일반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eed of Korean green tea plant(Camellia sinecis L.))

  • 나효환;백순옥;한상빈;복진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272-275
    • /
    • 1992
  • 한국산 녹차 종자(Camellia sinecis L.)에 함유된 단백질, 탄수화물,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씨나 잇꽃종실(Carthamus tinctorius L.) 등과 대등하였으나, 조사포닌은 12.2%로 참깨(0.29%)나 땅콩(0.63%)보다 월등히 높게 함유하였고, oleic acid를 비롯한 불포화 지방산 조성은 82%였다. Tocopherol은 ${\alpha}-form$$22\;{\mu}g/g$ 보였을 뿐 일반종자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함유하였다.

  • PDF

식용유(食用油)(해바라기)의 저장후건(貯藏候件)에 따른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the Lipid Components of Edible Oil (Sunflower Seed Oil) under Storage Conditions)

  • 황주호;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5
    • /
    • 1981
  • 국내산(國內産) 해바라기 종자유(種子油)를 사용(使用)하여 가열산화(加熱酸化)에 의(依)한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및 중성지질성분(中性脂質成分)의 변화(變化)와 특성(特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종자유(種子油) 중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94.1%, 3.2% 및 2.7%였다.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채유직후(採油直後) oleic acid가 59.84%로 가장 많고 linoleic acid는 29.48%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palmitic 및 stearic acid가 각각(各各) 6.21% 및 4.50%였다. 이는 외국(外國)에서 생산(生産)되는 종자유(種子油)와 비교(比較)하면 linoleic acid가 $20{\sim}30%$ 낮은 반면(反面)에 oleic acid는 $20{\sim}30%$정도 높았다. 처리후(處理後) linoleic acid 함량(含量)은 $100^{\circ}C$, $180^{\circ}C$에서 각각(各各) 1.48%, 5.32% 감소(減少)되었으나, oleic, palmitic 및 stearic acid는 상대적(相對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중성지질(中性脂質) 성분(成分)은 triglyceride,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등(等)의 함량순(含量順)으로 6개(個)의 성분(成分)을 확인 하였고 처리후(處理後)에 있어서는 triglyceride는 감소(減少)한 반면(反面)에 diglyceride 및 monoglyceride는 증차증가(漸次增加)하였다. 또한 free fatty acid는 $100^{\circ}C$에서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으나 $180^{\circ}C$ 16시간(時間) 이후(以後)에는 약간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옥도가(沃度價)는 처리후(處理後) 감소(減少)하였으며,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는 $100^{\circ}C$에서 점차(漸次) 계속 증가(增加)하였으나. $180^{\circ}C$에서는 16시간(時間) 까지는 증가(增加)하였으나 그이후(以後)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었다.

  • PDF

Determination and Prediction of the Amino Acid Digestibility of Sunflower Seed Meals in Growing Pigs

  • Liu, J.D.;Li, Q.Y.;Zeng, Z.K.;Li, P.;Xu, X.;Wang, H.L.;Zhang, S.;Piao, X.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86-94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mino acid (AA) digestibility of sunflower seed meal (SFSM) and to use this data to develop prediction equations for estimating AA digestibility for growing pigs. Ten SFSM were collected from five provinces in China. Twelve barrows ($38.8{\pm}4.6kg$), fitted with ileal T-cannula were allotted into two $6{\times}6$ Latin square designs. Each of six experimental periods comprised a 5-d adaption period followed by a 2-d collection of ileal digesta. The ten test diets contained 50% SFSM as the sole source of AA. Another nitrogen-free diet was used to measure the basal endogenous losses of crude protein (CP) and AA. Chromic oxide (0.3%) was used as an inert marker in each diet. There was considerable variation (CV>10%) among the ten SFSM in chemical composition (dry matter [DM]). The concentration of CP and ether extract (EE) ranged from 29.33% to 39.09% and 0.88% to 11.33%, respectively. Crude fibre (CF),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ranged from 21.46% to 36.42%, 38.15% to 55.40%, and 24.59% to 37.34%, respectively. There was variation among the ten SFSM in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for lysine and threonine, which ranged from 63.16 to 79.21 and 55.19% to 72.04% for AID and 67.03% to 82.07% and 61.97% to 77.01% for SID, respectively. The variation in CP and methionine ranged from 60.13% to 74.72% and 74.79% to 88.60% for AID and 66.70% to 79.31% and 77.16% to 90.27% for SID, respectively. Methionine was a good indicator to predict AA digestib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ventional chemical composition of SFSM was variable (CV>10%) among the ten SFSM (DM). The results of AID, SID and prediction equations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digestibility of SFSM in growing pigs.

Galactomannan 이용에 관한 연구;Affinity Chromatography법에 의한 해바라기씨 유래 $\alpha$-Galactosidase의 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Sunflower Seed $\alpha$-Galactosidase by Affinity Chromatography.)

  • 박귀근;김욱동;박영서;강종백;소림수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6-322
    • /
    • 1998
  • N-$\varepsilon$-aminocaproyl-$\alpha$-D-galactopyranosylamine-sepharose를 담체로 하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한 해바라기씨 유래 $\alpha$-galactosidase($\alpha$-D-galactoside galactohydrolase EC 3. 2. 1. 22)의 정제방법과 정제효소에 대한 효소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다. N-$\varepsilon$-aminocaproyl-$\alpha$-D-galactopyranosylamine의 흡착제를 합성하여 sepharose에 coupling하였다. 기질 p-nitrophenyl $\alpha$-D-galactopyranoside에 대한 정제효소의 비활성은 291.66 units/mg였고, 조효소와 비교하여 115배의 정제 배율을 나타내었다. 정제효소의 순도는 SDS-polyacryl amide gel전기 영동법 에 의해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은 42,000으로 추정되었다. 정제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4.5, 55$^{\circ}C$이며, pH 4-5, 30-55$^{\circ}C$의 범위에서 pH와 온도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제효소는 Ag$^{2+}$, Hg$^{2+}$, CO$^{2+}$의 금속에 의해 70%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제효소는 melibiose, raffinose 및 copra galactomannan에 대한 galactose의 유리를 TLC에 의해 확인하였고, 각 기질에 대한 galactose의 가수분해 속도를 HPLC에 의해 비교하였다.

  • PDF

해바라기 유(油)의 탈납 (Dewaxing of Sunflower Seed Oil)

  • 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2-117
    • /
    • 1979
  • 해바라기유의 재래식 탈납공정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가지 유화제(0.2% sodium bexametaphosphate, 0.05% sodium lauryl sulfate, 0.001%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를 이용한 새로운 탈납공정을 개발하였다. 해바라기 원유를 회분식 (batch process)과 연속식(continuous process)으로 유화제 수용액과 유화시킨후 원심분리기로 분리시켰을 때 재래식 탈납공정에 비견할 만한 탈납을 할 수있음을 알았다. 탈납 공정에서 위에 설명한 탈납정도(degree of dewaxing)외에 또 하나의 중요인자는 수율(dewaxirg loss)인바 회분식 공정의 경우에는 재래식 탈납공정의 수율과 같았으나 연속식 공정의 경우에는 개량할 여지가 있음을 알았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회분식 공정의 경우 탈납전 원유에 함유된 납(wax)의 다과에 관계없이 수율은 $0.62{\sim}0.82%$로 재래식 공정과 같았으나 연속식 공정인 경우에는 탈납전 원유에 함유된 납의 양이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 각각 2.28%와 5.68%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속식 공정의 경우 원유와 유화제를 유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수율에 많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contactor와 static mixer를 썼을때 각각 5.2%와 2.8%이었다.

  • PDF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를 이용한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Low Trans Fats Using Rice Bran Oil, Palm Stearin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0-478
    • /
    • 2009
  •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하여 저트랜스 유지를 합성하였고, 합성 시 Thermomyces lanuginose로부터 획득된 TLIM 효소를 이용하였다. 반응 기질의 비율에 따라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solid fat content(SFC)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온도에 해당하는 SF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팜스테아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SF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SC를 통한 흡열 및 발열 곡선 분석결과, 팜스테아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피크가 높은 온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트랜스 유지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palmitic acid(C16: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가 주요 지방산들로써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총 트랜스지방산은 비율별로 0.5 area%의 수치를 보이며, 1% 미만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Triacylglycerol (TAG) 조성을 reverse-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TAG 조성은 OOL, PLO, PLP, OOO, POO, POP, POS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중 PLO와 POO 및 POP가 전체 조성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편, 여러 비율별로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총 tocopherol은 $6.94{\sim}11.83$ mg/100 g의 함량을 보였고, oryzanol은 $0.18{\sim}0.49$ mg/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phytosterol 함량은 전체적으로 $182.48{\sim}269.07$ mg/100 g 사이의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각종(各種) 탈지박(脫脂粕)의 영양가(營養價)에 대(對)하여 (A Nutritional Study on Various Defatted Oil-Seed Flours and Mixtures)

  • 박원옥;성낙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8-146
    • /
    • 1974
  • 체중(體重) $47g{\sim}60g$되는 이유직후(離乳直後)의 흰쥐(Splague Dowley) 수컷 60마리를 사용(使用)하여 식이중(食餌中) 단백급원(蛋白給源)을 바꾸어 탈지유(脫脂乳), 대두박(大豆粕), 참깨박(粕), 채종박(菜種粕), 해바라기씨박(粕), 면실박(棉實粕)을 각각 24주간(週間) 투여(投與)하는 동안, 체중(體重)의 변화(變化), 장기중량(臟器重量) 변화(變化), 혈청(血淸) 및 간(肝) 조직내(組織內) 구성지질중(構成脂質中) Cholesterol, Phospholipid, Triglyceride를 정량(定量) 비교(比較) 관찰하였다. 1) 각종(各種) 유종실박중(油種實粕中) 단백질(蛋白質)은 대두박(大豆粕)과 혼용(混用)함으로써 기(其) 질적(質的)인 향상(向上)을 엿볼수 있었으며, 특(特)히 참깨박(粕)과 해바라기씨박(粕)은 식용(食用)으로서 권장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2) 채종박(菜種粕)과 면실박(綿實粕) 같이 이미 독성성분(毒性成分)의 함유(含有)가 문제(問題)된 박(粕)에 있어서도, 실험동물(實驗動物)의 혈청(血淸) 및 간(肝) 조직내(組織內) 지방성분(脂肪成分) 함량(含量) 변화(變化)로 보아, 독성작용(毒性作用)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이후 더 많은 검토(檢討)가 필요(必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해바라기 유전자원의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변이 (Variation of Seed Characteristic,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unflower Germplasm)

  • 이윤호;송항림;박향민;박경호;남상영;김인재;최성열;장영석;김홍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45-252
    • /
    • 2010
  • 해바라기의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품종 육성과 생산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국자원 34종, 미국자원 219종 및 그 외의 다른 국가로부터 도입된 자원 22종을 포함한 총 275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 변이 조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형태는 광난형, 협난형, 원형 및 장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광란형이 40.4%로 가장 많았으며, 장형이 5.0%로 가장 적었다. 종실의 과피색은 회색종, 갈색종, 흑색종 및 백색종으로 구분되었고, 회색종과 갈색종이 많았고 백색종이 적었다. 100립중과 $1{\ell}$ 중의 평균은 각각 6.3 g 및 322.5 g이었고, 분포범위도 각각 2.9~15.5 g 및 178~43 9 g이었다. 2. 해바라기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의 평균은 25.5%이었고, 그 범위는 11.7~45.6%이었다. 지방함량의 분포는 22~28%의 범위가 가장 많았고, 40%이상이 가장 적었으며, 지방함량이 40%이상으로 높은 유망자원은 미국 도입자원인 IT031967, IT031970 및 IT031965의 3종이었다. 3.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 함량의 평균은 4.7%이었으며, 범위는 3.1~7.6%, 스테아린산 함량의 평균은 2.2%, 범위는 1.3~4.1%이었고, 포화지방산(팔미트산 + 스테아린산) 함량의 평균은 6.9%, 범위는 5.4~9.4%이었다. 4.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의 평균함량은 55.2%이었고 18.1~75.5%의 범위이었으며, 올레산이 70% 이상인 자원은 IT031831, IT031699, IT031895, IT031938 및 IT031694의 5종이었다. 리놀레산의 평균함량은 38.0%이었으며 범위는 18.1~74.1%이었다. 불포화지방산(올레산+리놀레산)의 평균 함량은 93%, 범위는 89.6%~94.8%이었다.

유기 반추동물 전용 수입산 유기사료 및 국내산 유기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of Imported Organic Feeds and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By-product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 박중국;김창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3-52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locally produced organic agricultural by-products to substitute imported organic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Imported organic feeds (corn grain, soybean meal, soybean seed, oat grain, barley grain, wheat grain, buckwheat, sunflower seed meal) and byproducts (rice bran, grape seed meal, rice straw, soybean hull, soybean curd, rice hul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NDF, ADF, mineral, and amino acid content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Dry matter, NDF and ADF contents in organic f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feeds. Especially, the 9.65% fat content of organic soybean meal was 6 times higher than the 1.95% fat content of conventional soybean meal. Fat contents of rice bran, grape seed mea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25.66, 6.09, 3.57 and 1.59%, respectively. Protein contents of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were 14.68 and 19.87%, respectively, which are highest among organic by-products. Levels of aflatoxin in all feeds were below the safety level. Therefore, organic rice bran,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as energy source, and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as protein source could partial replace imported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의한 염소의 피부염 (Caprine Dermatitis Caused by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팔 마헨드라;수쿠마란 케이;세즈라 아난드 램;이창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7-152
    • /
    • 1991
  • 습도가 높고 환기가 불량하며 비위생적인 우리에서 같이 사육한 두 마리의 어린 염소에서 발생한 진균성피부염의 일차원인이 Trichophyton mentagrophytes이었음을 보고하였다. 두 환축의 진단은 피부소파 시료에 KOH를 사용하여 균요소를 검출하고 3$0^{\circ}C$의 진균배지에서 순수배양하여 균을 분리하여 확인하였다. 한 마리는 안면에서 나머지 한 마리는 목과 귀에서 병변이 발견되었다. 같은 우리에서 사육 중이던 두 마리의 성축에서는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다. 더욱이 염소의 주인과 주인가족들에서도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다. 두 분리균주를 개량된 sunflower seed medium을 이용하여 유전적 교배실험을 한 결과 둘 다(-) mating type에 속했다. Hair performance test결과 두 균주는 모두 각질용해작용을 나타내었다. 공중위생학적인 중요성과 화학요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감염경로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힐 수 없었다.

  • PDF